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델링 툴과 게임엔진을 이용한 캐릭터 구현 및 스토리텔링

        이솔아(Sola Lee),전수인(Suin Jun),박미혜(Mihye Park),박수이(Sui Park),최종인(Jongin Choi)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게임 산업이 부상하며 게임의 세계관과 스토리텔링의 중요도 또한 커지고 있다. 게임의 특정 세계관을 전달하는 것은 게임의 몰입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침으로 스토리를 전달하는 방식은 계속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링 툴을 이용하여 캐릭터를 구현하고 게임엔진을 사용하여 게임의 초반 스토리를 대화창을 통해 전달하였다. 연구를 통해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를 세우고, 그 과정을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는 차후에 보다 더 정교한 게임 캐릭터 개발과 원활한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With the rise of the game industry, the importance of the game's storytelling is also increasing. Delivering a specific world view of a game has a tremendous effect on the immersion of the game, so the method of delivering a story needs to be studied continuously. In this study, the character was implemented using 3D modelling tool, and the initial story of the game was delivered through a dialogue window using a game engine. Through the research, we were able to establish a workflow for telling stories using a character and understand each process in depth, which we expect to be the basis for more sophisticated game character development and smooth storytelling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소아 청소년의 급성 충수염: 천공과 연관된 인자 및 원인균

        이솔,권혁진,안수민,이관섭,김광남,Lee, Sol,Kwon, Hyuck Jin,Ahn, Soo Min,Lee, Kwan Seop,Kim, Kwang Nam 대한소아감염학회 201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5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perforated appendicitis. We also conducted a survey to identify the causative organism. Methods: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4, 569 pediatric patients (322 male) younger than 19 years old who underwent an appendectomy due to acute appendicitis at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were enrolled.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determine their clinical manifestations, laboratory and imaging results, and pathogens. Results: About 127 patients (22%) had perforated appendicitis. The rate of perforated appendicitis in preschool, late childhood, and adolescent ages were 50%, 27%, and 16.8%, respectively. The risk factors of perforation were high C-reactive protein levels and the presence of appendiceal fecalith (P<0.001). Of the 24 samples of peritoneal fluid and periappendiceal pus that were collected intraoperatively, 16 were culture positive. The most common pathogen was Escherichia coli (n=10), and others were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spp., and Staphylococcus spp. Conclusions: The perforation rate of appendicitis among patients younger than 5 years old was 50%, and this decreased in proportion with age.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perforation when patients with appendicitis have high C-reactive protein levels or the presence of appendiceal fecalith on imaging.

      • 동적 작업 환경 기반의 다수의 사용자 간 행위분석을 위한 관찰 시스템 구축 및 분석

        이솔아(Solah Lee),김두정(Dojeong Kim),정희웅(heewoong Jeong),이성일(seoungil Lee)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동적이고 복잡한 작업 환경에서의 기존의 사용자 관찰 방법론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한다. 사용자의 행위를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 1) RFID 를 이용하여 object tracking 을 수행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ystem 2) 압력센서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는 smart floor monitoring system 3) 공간상에서의 과업수행 과정과 모습 등을 촬영하기 위한 video system 을 구축하였다. 상기 세가지 시스템을 통해 얻은 데이터는 시간적으로 동기화 되어 분석에 사용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사용자 행위 관찰 시스템의 효용성 검증을 위해 실제 커피숍 환경을 구축하여 커피숍 환경에서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과업수행 과정을 개선하는 종합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improve existing methodology for user observation to evaluate user performance in a dynamic and complex work environment. We developed a new user behavior monitoring system to observe more specifically and accurately user behavior. 1)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ystem to observe object tracking using RFID. 2) Smart floor monitoring system to understand user movement through a pressure sensor’s change. 3) Video system to observe task performance process and appearance. Data obtained this three system are temporally synchronized. Also, the system is installed in an observation room where a model take-out coffee shop was simulated for verifying the utility of the proposed observation system. The system would provide comprehensive analysis to improve user behavior pattern and task performance process.

      • KCI등재

        어븀-실리사이드/p-형 실리콘 접합에서 쇼트키 장벽 높이 변화

        이솔,전승호,고창훈,한문섭,장문규,이성재,박경완,Lee, Sol,Jeon, Seung-Ho,Ko, Chang-Hun,Han, Moon-Sup,Jang, Moon-Gyu,Lee, Seong-Jae,Park, Kyoung-Wan 한국진공학회 2007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6 No.3

        Ultra thin Er-silicide layers formed by Er deposition on the clean p-silicon and in situ post annealing technique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change of the Schottky barrier height. The formation of Er silicides was confirmed by XPS results. UPS measurements revealed that the workfunction of the silicide decreased and was saturated as the deposited Er thickness increased up to $10{\AA}$. We found that the silicides were mainly composed of Er5Si3 phase through the XRD experiments. After Schottky diodes were fabricated with the Er silicide/p-Si junctions, the Schottky barrier heights were calculated $0.44{\sim}0.78eV$ from the I-V measurements of the Schottky diodes. There was large discrepancy in the Schottky barrier heights deduced from the UPS with the ideal junction condition and the real I-V measurements, so that we attributed the discrepancy to the $Er_5Si_3$ phase in the Er-silicides and the large interfacial density of trap state of it. p-형 실리콘 기판 위에 수 ${\AA}$ 두께의 어븀 금속을 증착하고, 후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어븀-실리사이드/p-형 실리콘 접합을 형성하였다. 초고진공 자외선 광전자 분광 실험을 통하여 증착한 어븀의 두께에 따라 어븀-실리사이드의 일함수가 4.1 eV까지 급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X-ray 회절 실험에 의하여 형성된 어븀 실리사이드가 주로 $Er_5Si_3$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혔다. 또한, 어븀-실리사이드/p-형 실리콘 접합에 알루미늄 전극을 부착하여 쇼트키 다이오드를 제작하고, 전류전압 곡선을 측정하여 쇼트키 장벽의 높이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쇼트키 장벽의 높이는 $0.44{\sim}0.78eV$이었으며 어븀 두께 변화에 따른 상관 관계를 찾기 어려웠다. 그리고 이상적인 쇼트키 접합을 가정하고 이미 측정한 일함수로부터 산출한 쇼트키 장벽의 높이는 전류-전압 곡선으로부터 산출한 값에 크게 벗어났으며, 이는 어븀-실리사이드가 주로 $Er_5Si_3$ 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Er_5Si_3/p-$형 실리콘 계면에 존재하는 고밀도의 계면 상태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이솔아(Sol Ah Lee),양혜정(Hae-Chung Yang)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여 1인 가구의 증가와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확산으로 홀로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미혼 초기성인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18~39세 미혼남녀 6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계층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그 형태에 따라 ‘높은 적응 비외로움’, ‘중간 적응’, ‘낮은 적응 고독’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집단의 적응도가 낮아질수록 외로움,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고,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의 경우 ‘높은 적응 비외로움’과 ‘낮은 적응 고독’ 집단 간 차이만 유의하였다. 나아가 계층 간에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문제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BCH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높은 적응 비외로움’ 집단은 세 집단 중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문제 수준은 가장 낮았다. ‘중간 적응’ 집단은 ‘낮은 적응 고독’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하위척도 중 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낮은 적응 고독’ 집단은 세 집단 중 가장 낮은 자기효능감을 보고하였고, 가장 큰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라 내담자의 외로움의 경험과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상담방식을 설정하는 데 기반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potential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neliness, adult attachment, and motivation for solitud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arly unmarried adults in a social background where time alone increases due to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and spread of non-face-to-face communi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633 unmarried early adults aged 18-39.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tent profile analysis(LPA), three classes were the most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form, they were named as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medium adaptation’, and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s. The lower the group’s adapt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lonelines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non-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In the case of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and the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group was significant. Furthermore, BCH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group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self-efficacy and was experiencing the lowest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intermediate adapt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and confidence among the sub-scale than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Finally,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self-efficacy and was found to be experiencing the greatest interpersonal problem among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setting up a differentiated counseling method that can intervene in the client’s experience of lonelines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counseling field.

      • 고령자를 위한 병원 안내 시스템 설계 및 사용성 평가 : 사용자 중심의 화면 인터페이스 및 인터랙션 설계와 시나리오 기반의 사용성 평가

        이정원(Jeongwon Lee),최예은(Yeeun Choi),이솔아(Solah Lee),이성일(Seongil Lee)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인지적인 어려움과 모바일 플랫폼의 한계를 고려하여 고령자들이 본인의 진료 절차에 대해 실시간 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병원 안내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에 적합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고령자에게 특화된 병원 안내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안내 기능을 일정 안내와 경로 안내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기능에 따라 화면 인터페이스와 화면 전환을 위한 인터랙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병원 안내 시스템의 효용성 및 사용성 검증을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시나리오 기반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성 및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 to design guidance system, which helps users to know both clinical process and where to go, and carry out proper usability test. This system gives information in real-time. Difficulties of cognition of elder people and limitation of mobile platform are fully considered in this system. We separated function of this system into two: navigating the ways and informing schedules. The interaction for changeover display and interface of display depending on its own function is also designed. We made prototype to verify usability and utility of this system. We also implemented usability test based on scenario that aimed to users. This can be used to enhance usability and added value of mobile service that is for elderly.

      • KCI등재

        분산 클러스터 환경에서 오픈데이라이트 컨트롤러 성능 분석 및 최적화

        이솔,김태홍,김태준,Lee, Solyi,Kim, Taehong,Kim, Tae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6 No.11

        본 논문에서는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오픈데이라이트(ODL, OpenDaylight) 컨트롤러 클러스터 환경에서 클러스터의 구조를 분석하며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을 지원하는 컨트롤러 클러스터의 동작 방식을 다룬다. 또한 Raft 알고리즘의 리더 선정(Leader Election) 과정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시스템 운용을 위한 Leader Election 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샤드(Shard) 리더와 샤드 팔로어의 성능차이를 제시하고, 기존과 제안 방식의 컨트롤러 클러스터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리더의 성능은 팔로어의 성능보다 좋으며 하나의 컨트롤러로 요청이 집중되어 전달될 때보다 분산된 컨트롤러로 요청이 전달될 때의 성능이 더 좋다. 따라서 제안 기법을 통하여 컨트롤러로의 요청을 분산함으로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OpenDaylight is an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open source framework, which is popular in network fields recently. This paper analyzes the performance of a controller cluster architecture by focusing on distributed datastore and Raft leader election algorithm. In addition, we propose an enhanced version of Raft algorithm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stributed datastore by distributing shard leaders over controller cluster. This paper compares the conventional Raft algorithm with the proposed version of the Raft algorithm. Moreover,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distributed datastore according to shard roles such as leader and follow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hard leaders provide better performance than followers and Shard updating requests need to be distributed over multiple controllers. So, by using proposed version of Raft algorithm, controller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e details of the experiment results are cleary described.

      • A cell-instructive bioactive hydrogel with micro-channeled piezoelectric membrane

        조성우,조윤나,이솔,김희진,( Minkyung Lee ),( Hyunjoon Kong ),정재현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The hydrogel has been studi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controlled drug delivery, tissue engineering, micro-scale actuators and microfluidic flow contro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new method to align and control spatial organization of bioactive hydrogel into micro-channels of a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and guide growth direction and spacing of living cells. This integrated bioactive hydrogel system was prepared by fabricating a micro-channeled PVDF membranes and subsequently filling micro-channels with a hydrogel of biologically active collagen. The micro-channeled PVDF was fabricated by inducing the directional growth of cylindrical solvent crystals at a controlled freezing speed and removing them by lyophilization. Finally, the aligned micro-channels were filled with a collagen hydrogel in a vacuum for guiding and leading the myoblasts into the patterned myotub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