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꽃꽂이 작업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 및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적용사례

        이손,박신애,권오윤,송종은,손기철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4

        본 연구는 신체재활을 위해 다양한 꽃꽂이 작업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꽃꽂이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꽃꽂이 작업 시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결과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꽂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상지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주요한 꽃꽂이 작업을 분류한 다음, 작업 분석을 토대로 8가지 꽃꽂이 기본 작업(자르기 1, 굵은 줄기; 자르기 2, 가는 줄기; 꽂기 1, 긴 줄기; 꽂기 2, 짧은 줄기; 말기; 관엽 이용; 휘기 1, 굵은 줄기; 휘기 2, 가는 줄기; 감기, 절화용 와이어 이용)을 재분류하였다. 강원도 소재 대학의 8명의 남학생(평균 연령 24.1 ± 2.5세)들이 8가지 꽃꽂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실시간 동작 분석 시스템과 근 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각 근육부위별 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꽃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대상자들의 의사에 따라 4명은 원예치료군에 나머지 4명은 작업치료군에 배정되었다. 원예치료는 1일 2회(총 33회기)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관절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기능평가가 수행되었다. 꽃꽂이 작업 수행 시 어깨관절은 자르기 1 작업에서 관절가동범위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팔꿈치 관절은 감기 작업에서, 손목부위 관절은 휘기 1 작업에서 가장 큰 관절가동범위를 나타냈다(P < 0.001). 수행된 꽃꽂이 작업에 따라 상지 근육의 부위별 근육 활성도는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며, 한 가지 작업에 대해 여러 부위의 근육들이 동시에 사용되었다(P < 0.001). 또한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는 작업일지라도 재료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와 근수축의 차이가 나타났다(P < 0.001).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해 실시된 꽃꽂이 작업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어깨, 팔꿈치, 손목관절)의 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꽃꽂이의 주요 작업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기능향상이 필요한 대상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 재활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맞춤형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for joints and muscle activation of upper limb for flower arrangement task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to tes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using flower arrangement tasks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Major flower arrangement tasks were classified with eight tasks (cutting 1, thick stem; cutting 2, thin stem; fixing 1, long stem; fixing 2, short stem; rolling a leaf; bending 1, thick stem; bending 2, thin stem; and winding, using a wire) based on the occupational analysis. When eight male university students (mean age 24.1 ± 2.5 years) conducted the eight flower arrangement tasks, range of motion for joints and muscle activation of upper limb were measured by a 3D motion analyzer and electromyography,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ange of motion and muscle activation of upper limb,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using flower arrangement tasks (total 33 sessions)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was conducted at a rehabilitation hospital, Seoul, South Korea and then the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and upper limb function of the patients were tested. Among the eight flower arrangement tasks, cutting 1, winding, and bending 1 induced the highest value for the range of motion in joints of shoulder, elbow, and wrist, respectively (P < 0.001). In terms of muscle activation, eight flower arrangement tasks performed in this study showed various patterns of muscle activation and several muscles were simultaneously used for each task (P < 0.001). In addition, thickness and length of the materials used in a task had a prominent effect on the range of motion for joints and muscle activation of upper limb (P < 0.001). The stroke patients had positive effects for their range of motion of upper limb (shoulder, forearm, and elbow), grip strength, and overall upper limb function through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flower arrangement tasks would be a potential horticultural activity for physical rehabilitation program. It would be interesting to apply a customize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flower arrangement tasks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patient for physical rehabilitation.

      • KCI등재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손연 ( Son-yeon Lee ),변길희 ( Kil-hee Byon ),심성경(교신저자) ( Seong-kyung S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K어린이집의 만 3세 4개 학급의 유아 총 64명으로, 두 학급의 유아 32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만 본 연구자가 고안한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을 실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영자,이종숙, 신은수(2002)의 유아용 정서지능 평정척도와 Barnett(1982)이 제작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것을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동화에 기초한 모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정서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정서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 등 유아의 정서지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다. 둘째, 동화에 기초한 모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등 유아의 놀이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동화에 기초한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children of 3 years of age in 4 classes at two day care centers in D city, South Korea.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thirty two children of one center respectively.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designed by researcher were implemented to only experiment group. Test tool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for children of Lee Young ja, Lee Jong sook and Shin Eun soo(2002) and a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of Yoo Ae Yeoul(1994)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generally improve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terms of four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thinking stimulation by emotions, use of emot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control of emotions. Second,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generally improved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terms of five sub-areas of playfulness: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voluntariness, expression of delight, and sense of humo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Water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 Composite Films Containing Surface-modified Tetrapod Zinc Oxide Whiskers

        김도완,서종철,이손이,권혁 한국고분자학회 2015 Macromolecular Research Vol.23 No.12

        Tetrapod zinc oxide whiskers (TZnO-W)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via a thermal oxidation method and surface-modified TZnO-W (STZnO-W) were prepared using a silane coupling agent to ensure good dispersion interaction in a poly(vinyl alcohol) (PVA) matrix. Their chemical structure, morphology,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five different PVA/STZnO-W composite film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STZnO-W content. Compared with pure PVA, the thermal properties and moisture barrier properties of the PVA/STZnO-W composite films were enhanced as STZnO-W, which may be the result of the strong interfacial interactions of the -OH groups of PVA and -NH2 of STZnO-W in the composite films. Furthermore, the addition of STZnO-W with a high surface to volume ratio and hydrophobicity may act as an excellent moisture barrier and form a tortuous path to adsorb and diffuse water molecules in the PVA matrix. The PVA/STZnO-W composite films showed remarkably enhanc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E. coli) and Vibrio vulnificus (V. vulnificus) compared with gram-positive micro-organism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The enhanced thermal, moistur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achieved by incorporating STZnO-W can be advantageous in various packaging applications, though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around gram-positive micro-organisms require further research.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