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변호사 시험의 최근 동향 및 시사점 - 출제 및 평가를 중심으로 -

        이소라 한국법교육학회 2019 법교육연구 Vol.14 No.2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discussions on improving the bar examination system in South Korea since 10 years have been pa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School system, and the passing rate of bar examination is consistently decreasing. Most of the discussions merely focus on the passing rate or the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exam. In the United States, the passing rate of bar examinations has also continued to decline in recent years. But the focus of discussions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 Of course, there is also a debate about the passing rate. However, others also exist: whether the bar examination is selecting the candidates with sufficient legal knowledge in a reasonable and reliable way; what factors affect the result of applicants; and what is needed for the failed applicants and law schools.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discussions in the U.S.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current bar examination system from various perspectives. Particularly,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bar examin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iming at ensuring that citizens should be protected from incomplete legal services. Furthermore, it is desirable to more elaborately manage the bar examination system by utilizing psychometric research output.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변호사시험 제도 개선을 위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이 출범한 지 10여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현행 변호사시험의 제도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논의의 방향은 대부분 변호사시험의 합격률 또는 합격자 수 산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관계자 또는 학생들은 합격률 상향을 주장하는 반면, 법조계 종사자들은 대부분 합격자 수가 현행대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최근 몇 년간 변호사 시험의 합격률이 계속 하락하였지만, 논의의 초점은 우리나라와 다소 상이하다. 물론 합격률에 대한 논쟁도 있지만, 그 외에도 변호사 시험 자체가 충분한 법률적 지식을 갖춘 응시생을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선별하고 있는지, 변호사시험 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수준 미달 로스쿨 또는 학생들에 대한 조치는 무엇이 필요한 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점들을 참고하여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현행 변호사시험 제도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나타날 필요가 있다. 특히 전문자격시험으로써의 변호사 시험의 근본적인 목적이 보다 비중 있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변호사 시험은 예비 변호사의 법률적 지식 또는 능력을 충분히 검증함으로서, 시민들이 불완전한 법률서비스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변호사시험 합격자 결정과 관련된 논의에서도 이러한 변호사시험의 목적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나아가 경험적으로 축적된 사회과학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변호사시험의 출제·평가 과정을 보다 정교하게 운영함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Air Anions Improve Growth and Mineral Content of Kale in Plant Factories

        이소라,강태환,한충수,오명민 한국원예학회 2015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6 No.4

        Air anions affect plant growth by stimulating various biological mechanism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tmospheric anion concentrations on plant growth and mineral concentration in kal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cv. TBC) plants cultivated in a plant factory. Kale seedlings grown under normal growth conditions for two weeks were transplanted to a nutrient film technique (NFT) system in a plant factory equipped with light-emitting diodes (LEDs) [red:white:blue (RWB) = 8:1:1 and red:green:blue (RGB) = 8:1:1, 181 ± 4.0 μmol·m-2·s-1, 12 h photoperiod]. Three concentrations of air anions (low, 2.9 × 105 ions·cm-3; medium, 5.4 × 105 ions·cm-3; and high, 7.8 × 105 ions·cm-3) were applied to the kale seedlings for four weeks using high voltage air anion generators. The medium and high levels of air anions increased shoot fresh weight to approximately 1.5-fold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four weeks. Medium and high-level air anion treatments led to significantly higher leaf area than the control. The medium level of air anions improved the photosynthetic rate at four weeks of treatmen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ir anion treatments and the control. In addition, transpiration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ow and medium levels of air anion treatments, which likely supported biomass accumulation. Air anions also increased mineral uptake. The content of macroelements (P, K, Ca, Mg, and S) was at least 1.5-fold higher for plants exposed to RGB LEDs and 1.3-fold higher under RWB LEDs exposure. Microelements (Fe, Mn, and Zn) were increased at least 1.6- and 1.3-fold in kale shoots treated with air anions under RGB andRWB LEDs, respectively. In conclusion, air an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kale growth and air anion generators could be used as a new technology for enhancing plant growth in plant factories and greenhouses.

      • KCI등재

        Clinical Efficacy of Oclacitinib and Lokivetmab in Dogs with Canine Atopic Dermatitis

        이소라,윤태식,구윤회,채연,이도희,최 동준,최유진,김학현,양만표,강병택 한국임상수의학회 2021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8 No.3

        Canine atopic dermatitis (CAD) is a genetically predisposed inflammatory and pruritic skin disease presenting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in dogs. Despite oclacitinib and lokivetmab being commonly used, no study has compared their efficacies in CA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icacy, safety, and control of CAD-associated pruritus and skin lesions between oclacitinib and lokivetmab.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switching to lokivetmab from oclacitinib or prednisolone had any benefits. Twenty-five client-owned dogs, newly diagnosed with CAD, were allocated to the oclacitinib (n = 20) and lokivetmab (n = 5) groups and administered oclacitinib (0.4-0.6 mg/kg orally, twice daily for 14 days, then once daily) and lokivetmab (2 mg/kg subcutaneously, every month) for 8 weeks, respectively. The switching group included five dogs previously administered with oclacitinib (n = 4) or prednisolone (n = 1) who were switched to lokivetmab directly at the start of the study. The pruritus visual analog scale (PVAS) and Canine Atopic Dermatitis Extent and Severity Index (CADESI-04) values were surveyed at weeks 0, 4, and 8. Oclacitinib and lokivetmab significantly reduced the PVAS and CADESI- 04 scores. Switching from oclacitinib or prednisolone to lokivetmab maintained the severity of pruritus (4 weeks: p = 0.068; 8 weeks: p = 0.068) and dermatitis (4 weeks: p = 0.144; 8 weeks: p = 0.068) at the levels measured at baseline. Thus, both oclacitinib and lokivetmab reduced CAD-associated pruritus by a similar degree. Switching to lokivetmab maintained the severity of pruritus and dermatitis at the same level as the previous treatment.

      • KCI등재

        Ehrlichia canis Infection in a Dog

        이소라,김현욱,최지혜,최을수,이창우 한국임상수의학회 2008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5 No.4

        3-year-old female Pitbull terrier dog that had been moved to Republic of Korea was diagnosed with Ehrlichia canis infection. Abnormal findings on a complete blood count (CBC) and serum chemistry profile were moderate anemia, mild thrombocytopenia, hyperproteinemia and hyperglobulinemia. Serologic screening test by a commercial ELISA kit for Ehrlichia canis was positive, and serum antibody titer was markedly high (> 1 : 10240). The morula of Ehrlichia organisms was not detected in buffy coat blood smear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done using the peripheral blood and the result was negative. Based on the serologic test results and the clinical signs, the dog was diagnosed as ehrlichiosis. The dog responded well to doxycycline and was uneventfully recovered.

      • KCI등재
      • 지자체 차원의 자원순환 이행평가 연구: 대전시 사례

        이소라,양희원,장용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정부에서는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을 통하여 국가 자원순환지표를 선정하고, 각 지표별 목표를 수립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 및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원순환 정책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자원순환 이행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국가 자원순환기본계획과 연계하여 지자체의 자원순환정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원순환 이행성과 평가기준이 마련되었으나 아직 평가사례를 통해 기준의 적합성이 검증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자원순환 이행평가 기준을 활용해 대전시의 이행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기준의 적합성과 문제점 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행평가 기준을 맞추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목표설정, DB 작성의 요령에 대해서도 검토해보고자 한다. 대전시 폐기물 발생량을 2012년부터 10년간 예측해 본 결과, 생활폐기물이 2021년 1596.7 톤/일, 사업장폐기물이 2021년 7,750.4 톤/일로 추산되었다. 또한 제3차 대전광역시 폐기물처리계획 1차년도인 2012년을 기준으로 이행평가를 실시한 결과, 4R 운영성과 부문에서 폐기물사업장 재활용 증가량 및 최종매랍자원량 감축량/감축률 항목이 우수하게 평가되었으며, 자원순환 기반구축 부문에서는 그린카드 참여율, 자원순환정책 의견 반영도, 자원순환 프로그램 추진도가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자체가 자원순환 이행평가를 통해 목표의 달성정도를 파악하고, 나아가 국가자원순환 지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Development of cubosome with nanostructure for drug delivery by capsulation

        이소라,최성호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최근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인 약물 전달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약물 전달 시스템의 한 종류인 리포좀은 인지질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산화적 분해가 일어나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가격이 고가이며 정제가 매우 까다로운 반면에, 큐보좀은 국내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기술로 제약이나 의약품 분야에서 경피흡수 기술로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가격이 저렴한 합성 양친매성 물질을 이용한 약물 전달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아데노신은 상처치유, 미백,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아주 낮은 농도로 사용되어 그 자체만으로는 피부 침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데노신을 진피층까지 침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약물 전달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캡슐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아데노신을 봉입시킨 W/O형 나노입자의 큐보좀을 제조하였다. 성공적으로 제조된 큐보좀은 DLS, XRD, cryo-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추후에, enhancer cell을 이용하여 아데노신을 봉입시킨 큐보좀의 피부 흡수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