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비판적 실재론의 역행추론을 적용한 교육학 연구 설계의 실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성회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detailed processes of applying the social science philosophy of critical realism (CR) to educational research design in practice. For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key ontological concepts of CR, and then relates them to the purpose of critical realism studies, that is, to explain unobservable transfactual structure and generative mechanisms underlying certain educational phenomena. Accordingly, CR argues for retroduction as a main inference mode, which in turn informs the design of empirical studies. Lastly, this article illustrates hands-on practices of research design applying (abduction and) retroduction to the study of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relational teacher agency based on CR (Lee et al., 2021). This study contributes to highlighting the inextricable links between ontology, research aims, inference modes, and research design, which is a neglected scholarly issue i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ies. In particular, this study highlights the distinctions between critical realism and pragmatism. 본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이란 사회과학철학의 관점을 어떻게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교육학 연구 설계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였는지에 대한 실천적 과정을 면밀하게 보여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의 존재론적 가정을 담은 핵심 개념들을 살펴봄으로써,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연구의 목적이 교육 현상이 어떻게, 어떠한 조건에서 일어났는지에 대한 눈에 보이지 않는 초사실적 구조와 발생기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실재론의 대표적 추론양식인 역행추론의 원리를 제시하고, 이것이 교육학 연구 설계에 주는 함의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을 연구방법론에 직접 적용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개념모형 개발연구(이성회 외, 2021) 사례를 중심으로, (가추와) 역행추론을 적용한 연구 설계 과정의 실제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교육학 연구방법론에서 도외시되어온, 비판적 실재론과 같은 사회과학철학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연구 목적의 설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론 양식, 이에 따른 연구 설계 과정과 불가분한 관계에 놓여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과 실용주의의 차별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 제철산업단지 지역의 악취물질 분포 특성 연구

        이성회 한국교통대학교 2021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6 No.-

        In this study, the odor concentration level and major odor-contributing substances were identified by measuring odors at the outlets of various odor-discharging plants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the steel industry,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odors at the site boundary of villages was identified.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irection of future odor management measures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s. At the site boundary of the residential area., the complex odor was evaluated 6 times, confirming that odor substances were distributed in the atmosphere. Dimethyl disulfide (44.7 %), butylic acid (33.3 %), valeric acid (7.9 %)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emission sources of these odor-contributing substanc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ethyl disulfide may affect industrial waste treatment plants, cement auxiliary material production plants, and domestic waste treatment plants. Butyric acid can be mentioned in workplaces that produce concrete admixtures, workplaces that produce casting parts for the automobile industry, and treatment plants of household waste. Overall, it is judged that it is a business site that mainly emits bad odors from steel by-product processors and waste disposal companies, but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is needed to make an accurate judgment.

      • KCI등재

        기혼여성의 인력개발과 카텍식스 : 아내의 소득, 부부관계만족과 남편의 가사노동이 아내의정서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검증

        이성회,윤지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여성연구 Vol.97 No.2

        이 연구는 기혼여성의 인적자원개발 논의에서 유리천장으로 대변되는 ‘권력’과 ‘노동’의 문제는자주 언급되는 반면, 여성의 ‘카텍식스’ 문제가 도외시되어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카텍식스란 ‘(남편과 같은) 특정한 대상과 관련해 정서적으로 채워진 사회적 관계의 구성’을 의미한다(Connell, 1987). 이 연구의 목적은 성(性)과 권력이론(Connell, 1987)을 바탕으로, 기혼여성의권력과 노동, 카텍식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도 여성가족패널조사를 활용해, 아내의 권력(자본주의 사회에서 아내의 소득으로 대변되는 경제력), 노동(남편의가사노동시간), 카텍식스(아내의 부부관계만족)가 아내의 부정적 정서(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아내의 소득과 부부관계만족,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은 모두 아내의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아내의 부정적 정서에 가장 큰 영향을 준요소는 아내의 소득과 남편의 가사노동시간보다는, 아내의 부부관계만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여성의 인적자원개발 논의에서 직업능력 개발과 같은 기계적이고 양적인 접근방식에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오히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정서문제와 부부관계만족과 같은 카텍식스 구조를 유리천장으로 대변되는 노동 및 권력 구조와 함께 다루는 보다 통합적이고 질적인 차원의 여성인력개발 전략이 훨씬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사 간 관계재(relational goods) 산출 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성회,이호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surement methods of Relational Goods(hereafter, RG) amongst school teachers and to attempt to apply those developed methods to an empirical survey of 8 schools. The concept of RG draws on the conceptual model of Relational Teacher Agency(hereafter RTA) based on critical realism. First, we found that existing studies on relational goods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did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generative mechanisms of RG, such as differences in structural, cultural and relational contexts, qualitative differences in social interactions, and diversities in reflexivity. 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evised a measurement method of RG by 1) selecting items for measuring teachers’ social relationships, 2) deriving relevant factors to be considered 3) measuring RG using factor scor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lear bimodal distribution in teachers’ R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most schools surveyed, there are teachers who are separated from the majority of teachers and do not produce appropriate RG.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as a future task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future research target and find a way to estimate the degree of emergence of RG in Korean schools an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Relational Teacher Agency)’ 개념모형을 토대로 교사 간 관계재(relational goods)를 산출하는 방법을 구안하고, 이를 활용해 실제로 A교육청 8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관계재 현황을 탐색하는 데 있다. 관계재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구조적·문화적·관계적 맥락의 차이, 사회적 상호작용(혹은 관계)의 질적 차이, 성찰(reflexivity)의 차이 등 관계재 발현의 메커니즘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교사 간 관계재 산출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1) 관계재 측정 문항 선별 2)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개념모형의 타당성 및 관계재 측정 시 고려해야 할 관련 요인 도출 3) 요인점수를 활용한 관계재 측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별한 문항과 영역을 중심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요인점수를 추정하고 그 값을 관계재 지수로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 조사에 참여한 전체 교사를 대상으로 관계재 분포를 분석한 결과와 학교별로 학교 내 교사 간 관계재 분포를 분석한 결과에서 모두 낮은 수준의 관계재를 소유하는 교사 집단과 높은 수준의 관계재를 향유하는 교사 집단으로 명확하게 나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에서 다수의 교사와 동떨어져 적절한 관계재를 형성하지 못하는, 즉 관계에 있어서 소외를 경험하는 교사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방법론적 정합성을 강화하는 관계재 산출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조사대상의 범위를 확장하여 우리나라 학교와 교사에게 나타나는 관계재 창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실재론(social realism)의 지식관이 역량기반 교육과정 정책에 주는 시사점

        이성회 한국교육개발원 2021 한국교육 Vol.48 No.1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backgrounds of social realism, a social theory of knowledge, three principles of critical realism, a meta-theory, and the epistemology of social realism.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indings/Results: Social realism has been developed in England as an alternative epistemology to radical constructivism/postmodernism and new sociology of education. The three major principles of critical realism are ontological realism, epistemological relativism and judgemental rationality. Based on these, social realism argues that: 1) knowledge exists independently from knowers; 2) knowledges are differentiated. For instance, there is a more powerful knowledge; 3) Knowledge is socially constructed, so it can be more objective. Valu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of social realism for the future curriculum policy, particularly, student-centred competency-based one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영국에서 태동한 지식에 대한 교육사회학이론인 사회적 실재론의 등장배경, 사회적 실재론의 과학철학적 토대인 비판적 실재론의 세 가지 주요 원리, 사회적 실재론의 지식관을 전반적으로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실재론은 신교육사회학과 급진적 구성주의/포스트모더니즘의 태생적 한계인 상대주의(relativism)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비판적 실재론의 세 가지 주요 원리는 1) 존재론적 실재론, 2) 인식론적 상대주의, 3) 판단의 합리성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실재론의 지식관의 특성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지식(knowledge)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knower) 밖에서 독립적으로 실재한다, 2) 지식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차별화된다. 예를 들어 더 강력한 지식이 있다, 3) 지식은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왔기 때문에 더 객관적이 될 수 있다. 사회적 실재론의 지식관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 학생역량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강력한 지식을 매개로 지식-교사-학생이 균형을 이루는 미래 교육과정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4년제 대학으로 되돌아온 성인‘여성’의 학부교육경험 사례연구

        이성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7 평생학습사회 Vol.13 No.4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으로 되돌아온 고학력 성인여성대학생의 학부교육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생애사적 관점과 여성주의 시각에서 20명의 성인여성대학생을 대상으로 생애사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녀들이 위치한 젠더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로 20∼30대의 연령대로 구성된 성인여성대학생은 학령기시절 거의 겪어 보지 못한 성차별적인 경험을, 성인이 되어 노동시장과 결혼이라는 새롭게 맞닥뜨린 젠더구조 속에서 체험하면서 더 나은 (재)취업의 기회를 찾아 자아를 실현하고자 대학으로 되돌아왔다. 이들은 기존의 고등교육경험으로 인해 매우 독립적이고 능숙한 학습자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었다. 하지만 여전히 남성 교원이 주류를 이루고, 젊은 학생들의 전유공간이라 여겨지는 캠퍼스 내에서 학업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인여성으로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사적인” 문제로 치부하여 개인적으로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학부교육의 목표와 대상이 ‘특정한 성(性)을 우위에 둔 가치(남성 우위의 개념에 기초한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자 양성)를 목표로 한 특정한 연령대의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과 함께, 그동안 침묵해 왔던 성인여성대학생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수준을 넘어서서, 그녀들의 생애사와 젠더구조와 연계된 학부교육경험에 대한 총체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ed highly-educated mature women under– graduates’ experiences at 4-year universities. From a biographical and a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life histo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 adult women. Documents were also collected with regard to the structure of gender in which the women’s biographies were positioned. Data analysis suggests that the adult women commonly had experienced the gender discriminative labour market and returned to higher education to make use of their degree subjects for their future career. Owing to their prior higher education experiences, they took independent and individualistic approach to their learning. However, they struggled in balancing between their off-campus lives and their academic work on campus in which male academic staff and younger students are dominant. In such an academic environment, adult women regarded their life challenges, which made a critical impact on their learning, as “personal” rather than “academic” without being offered any institutional supports. Drawing on the analysis, this paper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regarding the purpose and the object of an undergraduate education: are they premised upon specific age and certain gendered values e.g. masculinist conceptions of fostering autonomous, in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ers? This study is original in that it offers a holistic and in-depth knowledge about mature women undergraduates’ experiences with reference to their biographies and the structure of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