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띄어쓰기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이선웅 국어국문학회 2003 국어국문학 Vol.- No.134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shomng various examples of word-spacing that have not been noticed carefully. As Han-geul is Mitten in syllable basically, the problems of word-spacing is out of question in pragmatic standpoint. Therefore, to solve the pragmatic problems of word-spacing we should widen pennitted limits concerning orthographical rules.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pointing out shortcomings in orthographical rules on word-spacing I argue that 'N+N', 'V-eo(어) V‘ constructions and 'the preceding nouns + the dependent nouns' should be able to be Mitten in one group. About the construction of 'N+V, I argue that the semantic independency of N should be regard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a form in question is a word or not and that we should study functional verbs more deeply in order to make the problem of word-spacing easy.

      • KCI등재

        공형태소를 또다시 생각함

        이선웅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5

        ‘공형태소’는 특정 관점에 따라 공시적으로 분석된 형태가 어떠한 의미와 기능도 갖지 않는 경우를 위한 개념이다. 공형태소가 머릿속 어휘부에는 등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이 성립할 수 있는 이유는 ‘공시적 분석’을 단 하나의 관점으로 한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니라’의 ‘-니-’, ‘□ 브터’의 ‘□’, ‘-느냐’의 ‘-느-’는 모두 문법적 의미가 있으므로 공형태소로 보기 어렵고 ‘-오□’, ‘-옴’의 ‘-오-’는 문법적 의미를 찾기 어려우나 통사적 연쇄를 성립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요소는 ‘허형태소’로 규정할 수 있다. ‘거스리-’에서의 ‘-이-’, ‘빗글-’에서의 ‘-을-’과 같은 형태소가 실질적 의미, 문법적 의미도 없고 통사적 연쇄를 성립시키는 데 필수적이지도 않으므로 진정으로 공형태소라고 부를 만하다. 어휘부학의 관점이나 모어 화자의 언어 지식 구명의 관점에서는 공형태소 설정이 비판받을 수 있지만, 물리적 언어 형식에 대한 기계적 분석의 관점에서는 공형태소 설정이 일정 정도 의의를 지닐 수 있다.

      • KCI등재

        개인의 특성과 혁신성이 도우인의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치공동창출 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선웅,정진섭,김현규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3

        Recently, the perception change of consumers is changing the paradigm of corporate management. Now, as a new management paradigm, the era of “value co-creation” is being opened, where all stakeholders, beyond corporations and consumers, work together to create new values. In the process, not only companies can create financial or social benefits, but consumers can also create financial or mental or social benefits. Therefore,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ask for companies to use IT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nd SNS to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to companies to strive for value co-creation more effectively. This study is based on ‘Douyin (抖音)’, and positively investigates independent variabl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ttitudes of value co-creation, subjective norms of value co-creation, trust of platforms), and innov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value innovation), and the mediator variable of ‘act of value co-crea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intention to continuous participation.’ Based on positive analyses, most of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However, The hypothesis that ‘attitude of value co-creation’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ous participation’ was rejected. In addition, the hypotheses that “attitude of value co-cre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 “act of value co-creation” are also rejected. In the future, if companies conside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ness and foster a platform mediated by “act of co-creation of value”, it is judged that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various corporate ecosystems can be further promoted. 최근 소비자의 인식변화는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제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으로서, 기업과 소비자를 뛰어 넘어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가치공동창출(Value co-creation)”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기업이 재무적 이익이나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뿐만아니라, 소비자들도 재무적 이익이나 정신적 혜택, 또는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기업들에게소비자와의 소통을 위해 인터넷, SNS 등의 IT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가치공동창출(Value Co-creation)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도우인’을연구의 대상으로, ‘개인의 특성(가치공동창출의 태도, 가치공동창출의 주관규범성, 그리고 플랫폼의 신뢰성)’과‘혁신성(기술혁신과 가치혁신)’이라는 독립변수가 ‘가치공동창출의 행위’라는 매개변수를 거쳐 ‘지속참여의도’ 라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의 결과, 대부분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으나, ‘가치공동창출의 태도’가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가치공동창출의 태도’와 ‘기술혁신’이 매개변수인 ‘가치공동창출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각되었다. 향후 기업들은 개인적 특성과 혁신성을고려하고 ‘가치공동창출의 행위’를 매개로 하는 플랫폼을 육성한다면, 다양한 기업생태계에서 소비자의 참여를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格의 槪念과 分類

        이선웅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格 槪念을 정의하는 관점은 크게 傳統文法的인 形態格과 構造主義的인 不定格 혹은 生成文法的인 抽象格으로 나뉜다. 부정격과 추상격은 그것이 格 系列體를 구성하느냐의 여부에서 차이를 보일 뿐 그 기본 발상은 동일한 것인데, 이들을 인정하게 하는 적극적 근거가 없다. 構造格, 文法格, 內在格/本有格, 語彙格, 副詞格, 意味格 등의 많은 용어는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모든 개념을 문법격과 의미격으로 압축하되 전통문법적인 설명에서는 부사격을 의미격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고 前置詞가 있는 언어와의 對照分析에서는 後置詞 개념도 사용할 수 있다. 獨立語인 呼格은 격으로 인정하기 어려우나 관례에 따라 격으로 인정한다면 의미격과 부사격이 동의어가 될 수 없고, 의미격이 文法關係를 반영하는 부사격과 문법관계를 반영하지 않는 호격으로 나뉘게 된다. 부사격조사는 助詞別로 多義性을 충분히 기술하되 문법론적으로는 더 이상 下位分類할 필요가 없다. The views for the case are divided into morphological case of traditional grammar and indefinite case of structural grammar or abstract case of generative grammar. Indefinite case and abstract case are the same in essential, except that the former forms the paradigmatic relation of case unlike abstract case. But there is no proof which has the indefinite case or the abstract case reasonable. The concepts like structural case, grammatical case, inherent case, lexical case, adverbial case, semantic case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In this paper, I remove them except for the grammatical case and semantic case, but the adverbial case in the context of Korean traditional grammar's description and the postposition in the context of contrastive analysis with languages which have prep- ositions or the study on linguistic typology. If the vocative are accepted as a case, then semantic case cannot be a synonym with adverbial case, and the semantic case are divided into the adverbial case which reflects gram- matical relation and the vocative case which doesn't reflect grammatical relation. It is necessary that we describe polysemy of adverbial case markers, but not necessary that adverbial case is sub-classified in grammar.

      • KCI등재

        國語의 文章 提示語에 대하여

        이선웅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1

        In this paper, I aim at explaining syntactic, semantic,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entential theme. What I argu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hen an noun phrase(NP) or a quasi-NP as an independent constituent is used at the first position of a sentence without any (case) marker and the relevant predication follows the NP or the quasi-NP, sentential theme is defined as the NP or the quasi-NP. Thereby, we interpret the sentences in which the case marker of the first NP(or quasi-NP) lacks as the sentences of a sentential theme. Secondly, we can indicate a definite object by both theme and ‘eun/neun’ topic. In addition, we can indicate both an old information and a new information by the two, but cannot use ‘eun/neun’ topic for the object of a semantic and prosodic focus though even in case that it encodes a new information. Thirdly, the sentential theme is adjuncted at the top of sentence, that is final ending phrase(FP), and ‘eun/neun’ topic is adjuncted at VP. Fourthly, the function of Korean sentential theme is ‘evoking concentration’ in a word. 본고는 國語 文章 提示語의 統辭的, 意味的, 話用的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본고에서 필자가 주장한 바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文章 提示語란 獨立語 成分인 名詞句 혹은 名詞句 相當語가 아무런 標識 없이 쓰이고 그 뒤에 어떠한 방식으로든 그에 關與的인 敍述이 나올 때, 그 獨立語 名詞句를 가리킨다. 이에 따라 흔히 格助詞 省略으로 다루어진 일부 문장도 文章 提示語가 사용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제시어와 ‘은/는’ 主題語는 모두 限定的인 대상을 가리킨다. 또한 둘 다 舊情報와 新情報 모두를 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나 신정보로서 意味와 韻律의 焦點이 되는 대상은 ‘은/는’ 주제어가 될 수 없다. 셋째, 제시어는 문장의 최상층부, 곧 終結語尾句(FP)에 附加되고 주제어는 動詞句(VP)에 부가된다. 넷째, 국어 제시어의 話用的 機能은 ‘注意 集中’으로 요약할 수 있다.

      • KCI등재

        '의문사 + (이)- + -ㄴ가' 구성의 부정(不定)표현에 대하여

        이선웅 국어학회 2000 국어학 Vol.36 No.-

        '의문사+(이)-+-ㄴ가' 구성의 부정 표현은 의문사와 형태가 같은 어휘적 부정사 못지 않게, 아니 오히려 더 일반적으로 쓰이면서도 기존 논의에서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고의 관심은 이런 부정 표현의 쓰임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기술하는 데에 있다. '-ㄴ가' 부정 표현은 CP에서 NP로 범주가 변경된 것으로서, 범주 변경이 가능한 이유는 '-ㄴ가, -는가, -ㄹ까, -ㄴ지, -는지, -ㄹ지, -냐, -느냐'가 이끄는 내포문이 관념적이든 발화적이든 '직접 인용'의 성격을 지녔기 때문이다. 어휘적 부정사와 '-ㄴ가' 부정 표현은 그 의미에서 차이를 지닌다. 화자에게 문제의 대상이 미지의 것이 아니거나 화자가 그 대상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마음을 상정할 수 없을 때에는 '-ㄴ가' 부정 표현을 사용할 수 없다. '-ㄴ가' 부정 표현에는 의문의 논리가 아직도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칭 표현과 같이 극단적인 의미를 가진 구문에서는 '-ㄴ가' 부정 표현이 사용될 수 없다.

      • KCI등재

        UTAUT2 모델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술의 수용의도에 대한 실증연구

        이선웅,정진섭,윤영호 한국기업경영학회 2019 기업경영연구 Vol.26 No.6

        A blockchain is a decentralized ledger where participants can conduct business independently without third party intervention, enabling business transactions between untrusted parties. Since these decentralized system technologie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care, logistics, contents, and finance, as well as the public sector of the government, blockchain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a new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a driving force for new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future. Recently, the blockchain technology has a lot of influence on innovation of financial structure, spread of cryptocurrency, change of existing ecosystem, and is actively used in logistics/distribution, energy, medical/health, public service, finance and so on. Since these technologies are still in their infancy, research on them is a time when new business models must be created by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blockchain.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sent situation, we conducted empirical studies focusing on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intention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 created a new model by adding and subtracting variables based on UTAUT2 model, which is the latest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performance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cost reduction (or price value), and perceived value showed positive statistical results in acceptance intention [dependent variable], but no significant statistical results were found in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hedonic motivation. The variables of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hedonic motivation, and cost reduction showed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all variables showed mediating effect of “expected network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블록체인의 분산형시스템 기술은 정부의 공공부문은 물론 의료, 물류, 콘텐츠,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정부, 기업 및 학계에서는 모두 블록체인 기술이 미래의 새로운 기술혁신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블록체인은 금융구조의 혁신, 암호 화폐의 확산, 기존 생태계의 변화 등에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물류/유통, 에너지, 의료/보건, 공공서비스, 금융 등 분야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 수준은 아직 초기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 또한 시작 단계이며, 블록체인의 기술수용 모델에 대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했다. 이론적 배경을 고찰함은 물론, 최신 기술수용모델인 UTAUT2 모델을 기반으로 변수를 가감하여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다. 실증분석의 결과, 성과기대, 촉진조건, 비용절감, 인지된 가치는 종속변수인 ‘수용의도’에 긍정적 통계결과를 보였으나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에는 유의미한 통계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과기대, 쾌락적 동기, 사회적 영향, 비용절감의 변수는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냈으며, 모든 변수는 ‘기대된 네트워크 효과’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부문에서는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정책적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TV 코미디 프로그램의 유머 분석

        이선웅 한국어문학회 2005 語文學 Vol.0 No.89

        First of all,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umor to classify humors in some comedy programs of television. All comedies are classified into linguistic ones or non-linguistic ones. As humor is originally linguistic, so all humors are primarily classified into those by linguistic form and those by linguistic contents. And the primarily classified humors are secondarily classified into the type of absent- mindedness, the type of impossibility of prediction and the type of fallacy of prediction. I classified all humors in some comedy programs of television following the hierarchical types and illustrated some examples for every type.

      • KCI우수등재

        문장성분으로서의 주제어

        이선웅,박형진 한국언어학회 2019 언어 Vol.44 No.3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system of sentence constituent in Korean critically and to argue the syntactic status of topic. The current system of sentence constituent in Korean does not consider topic as a sentence constituent, because topic is discourse-pragmatic constituent. However, we cannot analyze syntactically Korean sentence exhaustively on the system. In order to acquire the completeness of the Korean grammar, it is necessary to set topic as a sentence constitu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Korean sentences, various constituents can be syntactically realized by not only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predicate but also the speaker’s communicative need. Topic as a sentence constituent has to be set a constituent which is not analyzed by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predicate. And topic as a sentence constituent is a syntactically realized constituent which was the semantic elements relating to comments. As regards topic as a sentence constituent, we can establish the concepts such as constituent topic, restructuring from constituent topic to sentential topic, topicalization of an argument of a grammatical subject, the optionally realized grammatical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