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 속표지의 특성 연구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이서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4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picture book refers to the page before the picture book is developed in earnest. It plays the same role as the opening sequence of a movie and leads readers to the world of picture books by introducing titles and auth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title page and 9 books of domestic picture books are analyzed. Analyzing the articles and pictures in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analyzed picture book, the analysis result categorized as the intro role of the text, the structu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ext, and the link between the endpaper and the 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picture book was the intro that opened the beginning of the tex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itle sheet was linked to the end of the text and that the subject was effectively conveyed. Third, the inside title page of the picture book was the link between the endpaper and the text. Therefore, it should be presented as a way to communicate with a picture book because the inside title page of a picture book has meaning as an important reading object as well as text. 그림책의 속표지(inside title page)는 본격적으로 그림책이 전개되기 전 페이지를 가리킨다. 이것은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와 같은 역할을 하며, 제목과 작가를 소개하면서 그림책의 세계로 독자를 이끈다. 이러한 그림책 속표지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분석대상 그림책은 국내 그림책 9권이다. 분석대상 그림책의 속표지에 나타난 글과 그림을 분석했으며, 분석 결과 본문의 도입부(intro)역할, 본문의 마지막 부분과 연결되는 구조, 면지와 본문과의 연결고리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그림책의 속표지는 본문의 시작을 열어주는 도입부(intro)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속표지가 본문의 마지막과 연결되면서 주제의 효과적인 전달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 속표지가 면지와 본문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림책의 속표지도 텍스트 못지않게 중요한 읽기의 대상으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그림책과 소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제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핵임계 안전성 검증 방법론 정립 및 적용

        이서정,차균호,Lee, Seo Jeong,Cha, Kyoon Ho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6 No.3

        A subcritical facility must ensure nuclear criticality safety under all circumstances.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have a procedure to validate that calculated values do not exceed upper subcritical limit (USL), determined by quantifying the bias and uncertainty. However, there are several validation methodologies of nuclear criticality safety and these can yield different US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ies to establish one methodology that can provide the most appropriate USL. In this study, two documents, a guide for validation of nuclear criticality safety calculational methodology (NUREG/CR-6698) and a criticality benchmark guide for light water reactor fuel in transport and storage package (NUREG/CR-6361),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the methodology in NUREG/CR-6361 is applied to the USLSTATS code.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ethodology in NUREG/CR-6698 is more appropriate, for several reasons. This is applied to decision of USL to design casks using SCALE code version 6.1.

      • KCI등재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동반되는 베르니케 뇌병증의 선별 및 치료

        이서정,이수영,하라연,김어수,정영철,남궁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1 신경정신의학 Vol.5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Wernicke’s encephalopathy (WE) patients in alcoholics and to evaluate the utility of Caine’s criteria as a screening test. Methods We made an admission note including Caine’s criteria and applied it to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n alcohol treatment unit. Demographic,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were collected on 204 alcoholics. Our alcoholics who met more than one of Caine’s criteria were considered at risk for WE and were given high-dose thiamine IV therapy. Results WE was diagnosed in 15.2% of the alcoholic patients. Age and head trauma history were risk factors of WE. The sensitivity of Caine’s criteria was 97% and specificity was 54%. High-dose thiamine IV therapy appeared to be a safe and cost-effective method to prevent the serious complications of WE. Conclusion Caine’s criteria is useful as a screening test for WE among alcoholic patients. High-dose thiamine IV therapy is cost-effective for alcoholic patients who are considered to be at risk for WE.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 탐색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이서정,임부연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pace meaning of houses in Korean picture-books. To analyze the space of a house in Korean picture-books, 8 picture-books were selected, and key word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pace of a house that appeared in a picture-book was a space where life was created and transformed. Second, the space where the house and the workplace coexist shows a form of residence in the industrialized era when joint parenting was possible. Third, the house shown in picture-books is a space such as a play field where flight and changes take place. Therefor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lives of children through the space called “house” in picture-books. 본 연구는 국내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을 분석하기 위해 그림책 8권을 선정하고, 분석 범주에 따라 핵심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책 속에 나타난 집의 공간은 삶이 생성되고 변모하는 공간이었다. 둘째, 집과 일터가 공존하는 공간은 공동육아가 가능했던 산업화 시대 하나의 거주 형태를 보여주기도 한다. 셋째, 그림책에 나타난 집은 탈주와 변화가 이루어지는 놀이의 장(場)으로서의 공간이다. 따라서 그림책에 나타난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유아들의 삶을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선박 AIS정보 응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현

        이서정,박인환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4 No.5

        As the marine transportation has increased, the safe maneuvering system has been required. SOLAS obligated regulations for carrying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onboard. This system provides navigationa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position, a ship's course and voyage status from own vessel to ground and other vessels. Being utilized in the most development of application service for safe maneuvering, they are to be managed systematic.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database system to manage the voyage status and navigational information of AIS message. It is classified by static or dynamic. A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display system is implemented to verify the design. 해상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선박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해 안전 운항을 위한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국제해사기구의 SOLAS에서는 선박에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탑재를 의무화 하였다. AIS는 육상과 타 선박에 신원, 종류, 위치, 항해 상태를 포함한 각종 항해정보와 선박상태를 자동으로 알리는 시스템이다. 안전운항을 위한 응용서비스 개발의 대부분의 경우에 AIS는 활용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정보의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도입하였다. AIS메시지를 정적정보와 동적정보로 나누어 저장하고, 전자해도 기반 AIS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구현을 통해 설계의 결과를 확인했다.

      • 상황인식을 지원하는 미들웨어를 위한 메타서버 모델

        이서정,황병연,윤용익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6 No.2

        An increasing number of distributed applications will be achieved with mobile technology. These applications face temporary loss of network connectivity when they move. They need to discover other hosts in an ad-hoc manner, and they are likely to have scarce resources including CPU speed, memory and battery power. Software engineers building mobile applications need to use a suitable middleware that resolves these problems and offers appropriate support for developing mobile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meta-server building for middleware that addresses reflective context awareness and present usability with demonstration. Metadata is consist of user configuration, device configuration, user context, device context and dynamic image metadata. When middleware send a saving or retrieval request to meta-server, it returns messages to middleware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request. This meta-server has the application for multimedia stream services with context awareness. 이동통신 환경의 분산 응용에서는 사용자나 단말기의 위치 이동을 파악하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모바일 기술이 요구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황 인식 미들웨어를 이용해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혹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CPU속도, 메모리 그리고 가용배터리의 변화를 적절히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는 사용자와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파일, 상황의 메타데이터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의 동적 반영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서비스에 필요한 메타서버를 모델링하고 구축했다. 메타데이터는 프로파일, 정책, 사용자 선호도로 구성되며, 메타 서버는 미들웨어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가를 판별 후, 결과를 돌려준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제공하는 이동동신 환경에서 사용자나 통신 단말기의 상황이 변동되는 시나리오에 적용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