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한 PDM/PLM 시스템 활용 프로세스의 효율성 개선

        이상일(Sangil Lee),류광열(Kwangyeol Ryu),송민석(Minseok Song) (사)한국CDE학회 2012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17 No.4

        Process mining is a useful methodology that can be used for extracting user patterns in log files in order to discover efficient or inefficient processes in organizations. In general, it is used to find and reduce differences between pre-defined processes and actually executed processes in an organ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processes in PDM/PLM systems based on process mining. In order to improve and detect the inefficient processes, we gathered event logs from PDM/PLM systems and derived process models using several process mining techniques such as α-algorithm mining, heuristics mining, and fuzzy miner. By comparing original process models with process mining results, it is possible to detect differences between predefined processes and real ones; thereby we can build improved process models for future application.

      • KCI등재

        MMPI-2 군집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원 대학상담센터 내담자의 유형 분류

        이상일(Lee Sangil),이유경(Lee Yugyeung),정두영(Jung Doo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원 대학상담센터를 방문한 대학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과학기술원 내 대학상담센터를 방문한 학생들의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제 2판(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이하 MMPI-2)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 그리고 내용 척도와 보충 척도 자료를 사용해 대학상담센터를 방문한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종 분석과정에서는 총 151명의 MMPI-2 타당도 및 임상 척도를 사용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특징을 내용 척도와 보충 척도를 통해 구체화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1은 ‘경미한 주관적 불편감 유형(총 60명, 39.74%, 척도 2 = 64.13점, 척도 7 = 62.05점, 척도 0 = 63.40점, ANX = 65.03점, DEP = 62.78점, LSE = 61.15점, SOD = 64.37점, WRK = 62.90점, Mt = 65.80점)’. 유형 2는 ‘심한 주관적 고통 호소 유형(총 28명, 18.54%, FBS = 67.29점, 척도 7 = 75.04점, 척도 2 = 72.14점, 척도 8 = 66.36점, ANX = 76.36점, DEP = 71.43점, HEA = 62.36점, OBS = 61.61점, Mt = 73.25점, PK = 69.57점, A = 66.93점)’, 유형 3은 ‘정상 프로파일 유형(총 63명, 41.72%,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를 비롯해 모든 척도들이 정상범위에 속함)’으로 정의되었다. 특히, 유형 2인 ‘심한 주관적 고통 호소 유형’의 경우 정서적 고통감과 낮은 자존감 그리고 자살 위험성을 나타내는 척도들의 상승이 나타나 주의 깊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각 유형들에서 비방어적인 태도와 낮은 외적 공격성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일반 종합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에서 방어적 집단이나 신경증적/정신증적 문제를 시사하는 프로파일 유형이 나타나지 않고 주관적 불편감 수준으로 유형이 분류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치료적 함의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subtypes of university student who visited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Data from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of students who visited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in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were used. Specifically, we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visited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using the validity scale, clinical scale, content scale and supplementary scale data. In the final analysis process, a total of 151 MMPI-2 validity and clinical scales were used to perform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types were concretized through content and supplementary scales. Type 1 was defined as Types of mild subjective discomfort(60, 39.74%, Scale 2=64.13, 7=62.05, 0=63.40, ANX=65.03, DEP=62.78, LSE=61.15, SOD=64.37, WRK=62.90, Mt=65.80), Type 2 as Types of severe subjective pain appeals(28, 18.54%, FBS=67.29, Scale 7=75.04, 2=72.14점, 8=66.36점, ANX=76.36, DEP=71.43, HEA=62.36, OBS=61.61, Mt=73.25, PK=69.57, A=66.93) , and Type 3 as Normal profile type (63, 41.72%, all scale including the validity scale and clinical scale are within the normal range) . In particular, Type 2 as ‘types of severe subjective pain appeals’ is considered that careful attention is needed because the scales indicating severe emotional pain, low self-esteem, and suicidal risk were elevated. On the other hand, non-defensive attitude and low external aggression were common in each type. And it is noteworthy that unlike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with general university students, no profile types suggesting defensive attitude, neurotic or psychotic problems appear and that the types are classified to subjective levels of discomfort. Finally,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친환경 원격 레이저 용접 가공 조건 예측을 위한 신경망 모델 개발

        이상일(Sangil Lee),류광열(Kwangyeol Ryu),이화섭(Hwaseop Lee),이경준(Gyeongjun Lee),김덕영(Duckyoung Kim) (사)한국CDE학회 2014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2

        원격 레이저 용접(Remote Laser Welding; RLW)은 공정 시간의 감소, 용접 품질의 향상, 유연성 있는 공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 공정에서 각광받는 새로운 기술 중에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량에 있어서 효율성, 친환경적인 공정 등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원격 레이저 용접은 운영 시스템의 한계로 인하여 레이저 용접 공정 도중에는 제품의 결점 및 용접 공정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 원격 레이저 용접시 가공 조건을 예측하기 위하여 신경망을 활용한 원격 레이저 용접 가공 조건 예측 모델을 개발 및 제안한다. 제안된 예측 모델은 레이저 용접 시 레이저 온도, 세기 등을 실시간을 관측하여 불량 및 결점을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레이저 용접 가공 조건을 변화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사용한다. 제안된 모델은 원격 레이저 용접에 필요한 컨트롤 모듈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품 결점 및 불량률 감소, 에너지/자원 소비량 감소, 생산성 향상에 많은 도움일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곡선구간에서의 전차선 편마모 개선을 위한 강체전차선 시스템 브래킷 개발

        이상일(Sangil Lee),장광동(Kwang Dong Jang),배상준(Sangjoon Bae),김현웅(Hyun Woong Kim),김진우(Jin Woo Kim)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5

        터널 및 지하구간의 곡선구간에서는 안전한 운행을 위해 캔트(cant)가 적용된다. 이때 기울어진 철도차량 판토그래프의 습동판과 강체전차선(R-BAR)이 기울어진 채 접촉하게 되며 전차선 편마모(side wear)가 발생, 교체주기가 단축돼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개발에서는 곡선구간에서 전차선의 편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경사조정형 브래킷 개발과 상호호환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 국내 금형산업을 위한 제조서비스 모델 개발

        이상일(Sangil Lee),류광열(Kwangyeol Ryu),신문수(Moonsoo Shin),김보현(Bohyun Kim)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

        국내 중소 제조기업은 국제 경쟁력 확보와 기업 핵심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국내 중소 제조기업의 핵심역량은 주변국가의 제조기업과 경쟁하기 충분하지만 핵심역량을 알리기 위한 홍보 및 마케팅 능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B2B (Business to Business) 전자상거래시장이 대두되었으나 대부분의 B2B시장은 대기업이 주도하는 판매자 중심의 수직적 SCM (Supply Chain Management)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판매자 중심의 B2B시장은 판매자와 구매자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수의 기업에게 중소 제조기업의 핵심역량 정보의 노출이 힘들다. 반면 중개자 중심형 B2B시장은 수평적 구조의 포털 형식으로 다수의 기업에게 다수의 제조기업에 대한 접근 및 정보의 노출이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소 제조기업의 핵심역량을 해외의 수요기업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스카우팅 시스템 (EMSS; Excellent Manufacturer Scouting System)을 제안하고, 제안된 시스템을 토대로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과 서비스 모델은 국내 중소제조기업에 특화된 중개자 중심형 B2B시장과 수평적 구조의 협업 네트워크를 제공하며, 국내 제조기업의 핵심역량을 해외 수요기업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FPGA 역공학 도구들의 실험적 검증 및 분석

        이상일(Sangil Lee),이한솔(Hansol Lee),유호영(Hoyoung Yu),김영민(Youngmin Kim),이형민(Hyung-Min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verse engineering tools for FPGA devices and experimentally verify their performance and limitations. The paper introduces the design flow for Xilinx FPGAs with emphasis on Xilinx Design Language (XDL), XDL Report (XDLRC), and bitstream. Then, existing reverse engineering tools, which utilize the bitstream to recover the netlist, are analyzed with quantitative comparison of measured recovery rates.

      • KCI등재후보

        "말하다" 동사의 분사형의 한국어 번역에 대하여

        이상일(Lee, Sangil)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0 신약연구 Vol.9 No.3

        When participles of SAYING verbs (e.g. λέγων) are translated, scholars have frequently faced interpretative difficulty because their semantic domains are overlapped with those of main verbs in a sentence. The participles of SAYING verbs often occur with hyponyms (e.g. ἀποκρίνομαι) or the very same saying verb(i.e. λέγω): ἀποκριθήσονται αὐτῷ οἱ δίκαιοι λέγοντες or οἱ δὲ εἶπαν αὐτῷ λέγοντες. In relation to the semantic or lexical overlap,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the participles of SAYING verbs as contact-induced syntactic change due to language contact because Semitic language has the same linguistic usage. So this is called Semitisms, Septuagintalisms, Semitic coloring, or Semitic interference among biblical scholars. However, it seems that the syntactic change of the participle of SAYING verbs does not result from language contact. There are two reasons. The same syntactic changes are also shown in non-Christian literature in Greek: Sophocles, Herodotus, Aristophanes, Demosthenes, Plato, or Thucydides. It is hard to imagine that Herodotus or Plato was influenced by Semitic language. This indicates that the syntactic change of the participles of SAYING verbs was not due to language contact but due to internal change. Furthermore, the same syntactic change also occurs in other languages: Ancient Akkadian, Kambera, Buru, Tukang, Besi, Ewe, Nama, Twi, Kusasi, Cahuilla, Saramaccan, Sranan, West African PE, Thai, Khmer, Vai, and Lezgian. These languages are not related to Hellenistic Greek politically, periodically, culturally, or geographically. This also shows that the syntactic changes do not come from language contact but from internal change of Greek language. Cognitive linguistic scholars have reached a consensus that this syntactic change is called grammaticalization. That is, the SAYING verb has lost its lexical meaning but gained a grammatical fun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ticalization theory, participles of the SAYING verbs with main verbs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ree ways. (1) The lexical meaning of the participles of the SAYING verbs is not overlapped with those of main verbs. The SAYING verbs can be translated literally. (2) The lexical meaning of the participles of the SAYING verbs is overlapped with those of main verbs. In other words, the SAYING participles are hypernyms of main verbs. The SAYING verbs should not be translated in a literal way because the SAYING verbs have lost their lexical meaning and, instead, gained grammatical feature (i.e. RECITATIVUM). (3) The lexical meaning of the participles of the SAYING verbs is same with those of main verbs. This is called tautology. The SAYING verbs should not be translated into Korean in a literal way. This also functions as grammatical feature without lexical meaning like (2). Accordingly, the participles of SAYING verbs which are semantic or lexical overlap with the meanings of main verbs should be considered as grammaticalized words due to internal syntactic change not Semitisms or Septuagintalisms due to language contact. In these cases, the SAYING verbs should not be translated in a literal way. The SAYING verbs function as complements(i.e. that).

      •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한 PLM/PDM시스템 활용 프로세스의 효율성 개선

        이상일(Sangil Lee),류광열(Kwangyeol Ryu),박용주(Yongju Park),Kezia Amanda Kurniadi (사)한국CDE학회 2012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2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비자의 요구도 다양해지면서 제품의 수명주기와 개발주기는 나날이 짧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품 개발 프로세스 및 제품 생산에 필요한 방대한 정보와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제품전주기관리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시스템 및 제품정보관리 (Product Data Management; PDM) 시스템과 같은 정보시스템이 제조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PLM 또는 PLM 시스템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프로세스의 효율적 관리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프로세스 마이닝은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로그(Log) 파일에서 공통적인 사용패턴을 추출하여 개선점을 찾아내는 방법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하여 PLM/PDM 시스템의 활용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활용 프로세스를 분석하기 위한 로그파일의 형식을 정의한다. 이후 정의된 로그파일과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하여 PLM/PDM 시스템의 활용 프로세스를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활용 프로세스에서의 개선점과 좀 더 효율적인 새로운 활용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 KCI등재

        걱정의 병리적 진행과정에서 인지적 회피의 매개 특성

        이상일(Lee, Sangil)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범불안장애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걱정의 병리적 진행과정에 개입되는 인지적 회피의 매개효과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각 진행 단계별로 인지적 회피 및 각 하위 요인(사고억제, 사고치환, 주의분산, 위험자극회피, 심상을 사고로 전환)의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고 상대적인 매개효과 크기를 비교하였다. 총 1,733명의 대학생에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걱정, 상위걱정, 인지적 회피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 걱정과 상위걱정이라는 두 진행과정에서 투입한 모든 매개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냈다. 그렇지만 하위 유형들의 상대적 매개효과 크기는 달랐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 간의 관계에서는 사고억제가 가장 큰 매개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반면에 걱정과 상위걱정 간의 관계에서는 사고억제가 가장 작은 매개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심상을 사고로 전환이 가장 큰 매개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걱정증상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해서는 걱정의 병리적 진행과정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인지적 회피의 매개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avoidance involved in the pathological process of worry based on the cognitive model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pecifically, a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cognitive avoidance and sub-factors (thought suppression, thought substitution, distraction, avoidance of threatening stimuli, conversion into thought) was conducted at each stage of progress, and the relative mediating effect size was compared. A total of 1,733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o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worry, meta-worry, and cognitive avoid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All media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two relations(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worry and meta-worry). However, the relative mediating effect size of the subtypes was differe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thought suppression represented the largest mediation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 between worry and meta-worry showed that thought suppression was the smallest, and transformation of images into thoughts was the larg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effective intervention for worry symptom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diating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avoidance that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progression of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