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高句麗 古墳壁畵 模寫圖의 현황과 일제강점기 자료의 검토

        박아림(Ah Rim Park)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고구려 벽화고분이 20세기 초 학술적으로 발굴되면서 발굴한 벽화를 기록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벽화의 선과 색채, 그리고 석실 내부의 상태를 재현하면서 화폭에 그대로 옮기는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현존하는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관련 자료들을 비교하여 모사도 제작자와 제작시기에 대하여 재조명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이르게 모사도가 제작되기 시작하여 여러 본의 모사도가 현존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각 모사도 세트를 유리건판으로 남은 촬영사진, 모사도 초본, 흑백모사도, 소장정보 등을 검토하여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모사도 제작 작가에 대한 정보를 조선총독부 문서를 살펴서 재검토하였다. 1914년 평안남도 용강군 쌍영총 외 3개 고분벽화 모사에 오바 스네키치(小場恒吉)와 오타 후쿠조(太田福藏)와 같이 잘 알려진 모사도 제작 작가 외에 후나고시 겐(船越謙)이라는 인물이 참여한 기록이 있다. 마지막으로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감신총의 모사도들의 원화사진, 현존 모사도, 모사도에 남은 서명과 필치, 소장번호 등을 비교 검토하여 고구려 벽화 모사도의 제작 과정과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12년 오바 스네키치와 오타 후쿠조의 강서대묘와 강서중묘의 모사도 제작에서 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는 현재까지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종류의 모사도들이 존재한다. 일제강점기 모사도 관련 자료를 통해 본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의 제작과 보존 및 활용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이러한 모사도들이 학술적이고 자료적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각 모사도의 제작방법과 기술에 대해 상세한 기록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제작된 모사도들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의 관련 자료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각 모사도의 제작 시기, 제작 방법, 열화 표현 정도, 바탕 처리 정도 등을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모사 방법을 달리하는 여러 본의 모사도가 존재하는 강서대묘와 강서중묘, 감신총, 쌍영총 등도 각 모사도의 계통과 작가에 대하여 보다 고찰이 필요하다. 현존 모사도와 출간 도록에 실린 모사도, 모사도 제작 기록과 모사도를 찍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과 조선 총독부 문서 등을 검토하여 현재까지 남은 모사도의 제작 과정에 대한 정보를 복원하는 것이 향후의 연구과제이다. Since the Koguryo mural tombs have been excavated academically in the early 20th century, a replica painting has been produced as one of the measures to record the discovered murals as it reconstructed the linework, the colors, and the interior condition of a stone chamber. This paper looked up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tate of mural replicas of Koguryo since the Japanese colonial time period and then reexamined the painters and the dates of replicas as comparng the remaining materials regarding the Koguryo mural tombs. The Koguryo mural replicas started in 1912 when Oba Tsunekichi and Ota Fukujo made copies of wall paintings inside the Great Tomb at Kangso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Currently, they have been continuously produced in South Korea, North Korea, Japan, and China in various methods. As the paper investigated the production and the preservation as well as the usage of those replicas, in order to study those replicas as the academical and authentic research sourc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nditions must be recorded in details. As of the already existing replicas, we need to thoroughly examine the related materials to figure out the dates, the techniques, the expression of the deterioration, the painters, etc. Several tombs with different versions of replicas such as the Great Tomb and the Middle Tomb at Kangso and the Niche Spirit Tomb, and the Twin Pillars Tomb should be more carefully studied along with the remaining replicas and the replicas on the published catalogs as well as the written records of the replica produc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the glass dry-plates of Koguryo murals and replicas

      • KCI등재
      • KCI등재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역량을 조절변수로

        이상봉,이철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경영컨설팅 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수요자 입장에서 컨설팅특성과 컨설팅활용도 및 경영성과 간 영향 관계와 흡수역 량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경영컨설팅 성과 관련 선행연구들의 논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검토와 연구가설을 수립 하고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각 구성개념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후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 직접 및 간접효과 와 조절효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컨설팅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기업참여도와 컨설 팅활용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컨설턴트역량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컨설팅활용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기업참여도와 컨설팅활용도 간 그리고 기업참여도와 경영성과 간 영향 관계에서 흡 수역량 수준이 원인변수의 영향력을 강화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형 중소기업은 경영컨설팅 성과 향상을 위하여 적격성 있는 컨 설턴트와 기업 수행팀 간 협업 및 목표의 공동 달성 노력과 컨설팅 수행단계별 성과 간 시너지효과의 최대화 그리고 컨설팅 결과의 적용 및 활용 여건 조성을 위한 조직 내 변화관리 전략을 병행하여야 한다. 혁신형 중소기업은 이와 같은 한시적 및 일상적 경영활동 과정에서 자체 보유 흡수 역량을 이용하여 경영컨설팅 성과를 제고하고 내부화 및 안정화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 제고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recent changes in the domestic management consulting ecosystem,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on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lting characteristics, consulting utiliz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fromthe service consumer's point of view. To this en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reviewed,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innovative SMEs. After secur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construct, the direct & indirect effect hypotheses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mode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ultant competency and corporat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utilization. Second, corporate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but consultant competency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Third, consultant competency and corporat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consulting utiliza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and between corporate particip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to positively control the influence of causal variables. Therefore, themain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of innovation type SMEs are as follows: First, the joint achievement of goals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qualified consultants and corporate execution team, Second, maximizing synergies between the outcomes of each stage of consulting execution processes, Thir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and its maturity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create conditions for the high utilization of consulting results.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innovative SMEs will be able to achieve the goals of stabilizing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and enhancing corporate value.

      • KCI등재

        『詩經』「樛木」의 활용양상과 몇 가지 논의에 대해서 -史料와 문집을 중심으로-

        이상봉,유영옥 동양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3 No.-

        It is recorded in the Preface of Mosi(毛詩序):“「Drooping tree(樛木)」 is the contents that the queen's grace influences downward. It is said that her queen's benevolence affects her people and that she has no jealousy.” Moreover, Joo hee(朱熹), who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our literary people, said in Sijibjeon(詩集傳) , “(Junam(周南)'s) first five poems all spoke of the queen's virtue.” Joo hee(朱熹) understood 「Guanjeo(關雎)」ㆍ「Galdam(葛覃)」ㆍ「Cooklebur(卷耳)」ㆍ「Drooping tree(樛木)」ㆍ「Jongsa(螽斯)」 as a glorification of ‘the queen's virtue’. Therefore, Korean writers accepted and utilized 「Drooping Tree(樛木)」 from the viewpoint of glorifying ‘the queen's virtue’, like Junam(周南)'s other four works. Our writers used the contents of 「Drooping tree(樛木)」 when praising the queen's virtue or wishing the queen to become as virtuous as King Moon(文王)'s wife. Chaegmun(冊文)ㆍGyomun(敎文)ㆍPyojeon(表箋)ㆍMansa(挽詞)ㆍJimun(誌文), etc. were appropriate to praise the queen or to express the wishes of the queen's virtues. Therefore, 「Drooping tree(樛木)」 was used in various ways in Ogchaegmun(玉冊文)ㆍGyomun(敎文)ㆍPyojeon(表箋), which honors the queen, and Aechaegmun(哀冊文)ㆍMansa(挽詞)ㆍJimun(誌文), which commemorates the deceased, rather than in general poetry and pros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usage of 「Guanjeo(關雎)」, which was evaluated to have sang ‘the virtue of the queen’,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Drooping tree(樛木)」. It is expected that this tendency will be revealed more accurately if individual studies are completed on 「Galdam(葛覃)」 and 「Cooklebur(卷耳)」, which are currently being researched, and 「Jongsa(螽斯)」, which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毛詩序」에는 “「樛木」은 후비의 은덕이 아래에 미치는 것을 읊은 것이다. 은덕이 아랫사람들에게 미치고 질투하는 마음이 없는 것을 말한다.”고 되어있다. 게다가 우리 문인들에게 절대적 영향력을 가졌던 주희는 詩集傳 에서 “(「周南」의) 처음 다섯 시는 모두 후비의 덕을 말했다.”고 했다. 주희는 「關雎」ㆍ「葛覃」ㆍ「卷耳」ㆍ「樛木」ㆍ「螽斯」 모두 ‘후비의 덕’을 칭송한 내용으로 파악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 문인들은 「주남」의 다른 네 작품과 마찬가지로 「규목」도 ‘후비의 덕’을 칭송했다는 관점에서 수용하고 활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 문인들은 왕비의 덕성을 찬양하거나 왕비가 문왕의 후비처럼 덕스러워지기를 바랄 때 「규목」의 내용을 활용했다. 왕비에 대한 찬양이나 왕비의 덕성에 대한 기원을 담기에는 冊文ㆍ敎文ㆍ表箋ㆍ挽詞ㆍ誌文 등이 적당했다. 따라서 일반적인 시와 산문 보다는 왕비를 책봉하는 옥책문이나 교문ㆍ표전, 돌아가신 왕비를 추모하는 애책문이나 만사ㆍ지문 등에서 「규목」이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후비의 덕’을 노래했다고 평가받은 「관저」의 경우도 활용양상이 「규목」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재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갈담」ㆍ「권이」와 앞으로 연구를 진행할 「종사」에 대해서도 개별 연구가 완료된다면 이러한 경향성이나 차이점 등이 좀 더 정확하게 밝혀지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SMS (short message service) 시스템을 활용한 응급실 과밀화 해소의 효과

        이상봉,김동훈,정상민,강태신,정진희,이경우,김성춘,박인성,강창우 대한응급의학회 2012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3 No.2

        Purpose: Emergency departments (ED) are always overcrowded. Overcrowding is an important problem associated with emergency department treatment and patient satisfaction. Overcrowding can be caused by specific and complex issues and is affected by multiple influences. In an effort to reduce the degree of overcrowding, we evaluated relationships within the SMS (short message service) specialist’s notification system. Methods: This study involved establishment of a SMS specialist’s notification system and other activity for resolution of emergency department overcrowding.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ED patient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0, befor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and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1, after establishment of the system. Data on ED patients were obtain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the clinical data warehouse. Data were compared for mean length of stay and patient admission number. Results: Results of comparison showed that the mean length of stay for discharge, admission, operation, and transfer had been effectively reduced. Mean residence time for patients in each administration sector was reduced 80.3,462.3, 127.3, and 89.3 minutes, respectively, after overcrowding had been diminish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mean residence time were observed in each sector (p<0.001). In addition,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adoption of the SMS specialist’s notification system for each clinical department showed that mean length of stay of patient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significantly shorter after its adoption. Conclusion: By establishing a SMS specialist notification system, overcrowding can be resolved and length of stay can be shortened, which would result in improved satisfaction of both patients and emergency department professiona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디아스포라적 空間으로서의 오사카大阪 코리안타운의 로컬리티

        이상봉 한일민족문제학회 2012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2 No.-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s the previous ‘nation-oriented’ argument about diaspora, this study provides a ‘locality-oriented’ approach. If diaspora is observed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the local residents in a residential area rather than according to the previous way of thinking based on the place-of-origin (home-country), the locality of a diasporic space, in which local and migrated residents live together, becomes the main issue of a discussion. Furthermore, it is connected to the prospect of such post-modern alternative values as diversity, hybridity and co-living. Based on such points of view and directions for study, a case study has been planned to focus on various points which have not been properly dealt by the previous study about diaspora. The residential area occupied by the Korean residents in Ikuno, Osaka, seems to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won by generality compared not only with the general kind of diaspora but also with the diaspora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この論文は既存の民族中心のディアスポラ談論に対する批判的立場を堅持し、これに対してローカリティ中心の新しい接近を行う。即ち既存の民族中心のディアスポラ研究が本質的·抽象的·理論的·制度的側面を強調して来たとすれば、ローカリティ研究はこのような傾向によって隠されてきたディアスポラの具体性·歴史性·多様性·実践性を表せる。国家中心の視角から脫皮し、居住地ローカル住民との相互関係を通じてディアスポラを見ると、現地人と移住民が入り交じっていきっていく所謂ディアスポラ的空間(diasporic space)のローカリティが論議の中心に浮かび上がる。ひいてはこの論議は多様性·混種性·共生のようなポストモーダン的代案価値ともつながる。このような研究視角及び研究指向のもとで、既存のディアスポラ研究が手落ちしてきた多様な側面を表すために事例研究を行った。大阪市生野区のコリアン集住地域はディアスポラ一般は勿論在日コリアンディアスポラと比較しても一般性に包摂しかたい様々な特性を持つ。具体的な分析においては、1.集住地の形成から永住意識の表出までの時間的流れに現れる空間的変容。2.清算されない植民地経験をはじめとする一般化されかたい生野のローカル的な特性。3.トランスーローカルネットワ―クと共生の空間としての可能性。等を分析し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