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지각’ 개념과 라이프니츠 저작에서 ‘Aperception’의 의미와 번역

        이상명 ( Lee Sang My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이 논문은 라이프니츠의 프랑스어 저작에 나타나는 ‘aperception’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에 적합한 우리말 번역어를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의 프랑스어 저작에서 라틴어 ‘perceptio’와 영어 ‘perception’, 즉 ‘지각’에 대한 동사형으로 ‘percevoir’가 아니라 ‘apercevoir’가 쓰였다는 것을 밝히고, ‘aperception’이 근대 지각 개념과 관련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라이프니츠는 프랑스어 저작에서 ‘aperception’을 새로운 개념으로 정립하면서 ‘perception’과 ‘aperception’을 구별하였고, 그에 따라 ‘apercevoir’와 ‘s’apercevoir’도 구별해서 사용한다는 것을 보인다. 라이프니츠의 구별로 인해서 ‘aperception’ 개념은 우리말과 같은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 어려움이 생긴다. 이런 정황과 라이프니츠 철학 체계에서 ‘aperception’의 의미와 역할을 바탕으로, 나는 ‘apercevoir’는 ‘지각하다’로 번역하고, ‘aperception’은 ‘자각’으로, ‘s’apercevoir’는 ‘자각하다’라고 번역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번역어를 사용해 ‘자각’ 개념이 라이프니츠의 여러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견해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그 견해들은 첫째는 모나드의 무한한 등급과 그것들 간의 구별이고, 둘째는 인간과 동물의 구별에 대한 견해이고, 셋째는 로크와의 논쟁점 이었던 영혼은 항상 생각하는가라는 문제에 대한 라이프니츠의 입장이다. 이 고찰을 통해서 라이프니츠의 _신인간지성론_에 두드러지게 등장하는 ‘우리가 자각하지 못하는 무한하게 많은 미세 지각들이 있다.’라는 주장이 자각 개념의 형성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aperception’ in Leibniz’s French works and to suggest a suitable Korean translation. To this end, it was first revealed that ‘perceptio’ in Latin and ‘perception’ in English have ‘apercevoir’ as the verb form for ‘perception’, rather than ‘percevoir’ in Descartes and Leibniz’s French writings. It suggests that ‘aperception’ was made in relation to modern concept of perception. And Leibniz distinguished between ‘perception’ and ‘aperception’ by establishing ‘aperception’ as a new concept in French writings, and shows that according to this ‘apercevoir’ and ‘s’apercevoir’ are also used separately by him. Due to Leibniz’s distinction, the concept of ‘aperception’ presents difficulties when translating into other languages like our language. Based on this context and the meaning and role of ‘aperception’ in the Leibniz philosophical system, I suggest to translate ‘apercevoir’ as ‘perceive’, ‘aperception’ as ‘awareness’, and ‘s’apercevoir’ as ‘aware’. Using this translation, we look at how the concept of ‘awareness’ is connected with the various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views of Leibniz. The views are first, of the infinite degree of the monad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m, the second, the view of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the third, Leibniz’s position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oul always thinks, which was the point of controversy with Locke. Through this review, it is revealed that the assertion that “there are infinitely many minute perceptions that we are not aware of” prominently appearing in Leibniz’s New essays on human understanding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awareness.

      • 순위차원라우팅을 사용한 완전 이진트리의 3차원 메쉬로의 링크 충돌 없는 임베딩

        상명(Sang-Myung Park),이상규(Sang-Kyu Lee),문봉희(Bong-Hee Moon)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링크 충돌을 최소화 하는데 중점을 두고 순위차원 라우팅을 사용하여 완전이진트리를 3차원 메쉬로 임베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14]에서는, 완전이진트리를 3차원 메쉬에 임베딩 할 때 순위차원 라우팅을 사용하는 경우 1, 2 차원에서 링크 충돌이 발생하였고, 순위차원 라우팅을 따르지 않는 경우 1차원에서만 링크 충돌이 존재하도록 하는 임베딩 방법을 보였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는 순위차원 라우팅을 사용하고 링크 충돌이 존재하지 않는 임베딩 방법을 제안하며, 이 방법에 의해 임베딩을 수행한 결과, 임베딩을 위해 사용된 메쉬의 크기가 최적크기의 1.27 배를 넘지 않음을 증명한다. This paper is considered with the problem of embedding complete binary trees into 3-dimensional meshes using dimension-ordered routing with primary concern of minimizing link congestion. The authors showed that a complete binary tree with 2^p - 1 nodes can be embedded into a 3-dimensional mesh with optimum size, 2^p nodes, if the link congestion is two[14]. (More precisely, the link congestion of each dimension is two, two, and one if the dimension-ordered routing is used, and two, one, and one if the dimension-ordered routing is not impos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scheme to find an embedding of a complete binary tree into a 3-dimensional mesh of size no larger than 1.27 times the optimum with link congestion one while using dimension-ordered routing.

      • KCI등재

        조선후기 정자각의 서까래 고정기법 변화 연구

        이상명(Lee, Sang-Myung),김왕직(Kim, Wang-Jik)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changes of rafter fixation methods of Jeongjagak in the later Joseon period. For this purpose, forty two official reports of royal tombs in Joseon dynasty were analized for the measurement methods of rafter amount, the changes of rafter fixation, the installation methods of rafter nails and its connecting niddles. Jeongjagak has been known for government construction in Joseon dynasty which has enhanced construction and bearing capabilities of rafter work by using rafter nails to fix the rafters. As a result, it was induced to increase the comparison rate of rafter nail and to widen the fixed part.

      • KCI등재

        라이프니츠의 물체적 실체

        이상명(Sang Myung Lee) 철학연구회 2009 哲學硏究 Vol.0 No.84

        Die Kritik an der mechanistischen Begriff des Korpers und die Formulierung seines Begriffs der korperlichen Substanz sind die Hauptthemen von Leibnizschen Philosophie, mit den er sich von fruhen Zeit bis reifen kontinuierlich beschaftigt. Leibniz lehnt ab, dass die geometrische Eingenschaft, die Ausdehnung die Substanz des Korpers sein kann. Stattdessen behauptet er, dass die Vereinigung von Form, das Prinzip der Aktivitat und Materie, das Prinzip der Passivitat die Substanz des Korpers ist, und formuliert damit seine Konzeption der korperlichen Substanz. Es ist ein Hintergrund, dass er die substantiale Form im mechanistischen Zeitalter wieder einfuhrt. Nach dieser Konzeption betrachtet Leibniz die aktive Kraft im Korper als eine innewohnende Kraft. Mit dem Begriff der korperlichen Substanz, die das Prinzip der Aktivitat und das Prinzip der Passivitat bilden, stellt Leibniz eine neue Theorie der Dynamik auf. Die 4 Krafte von der Dynamik werden von Leibniz zur Erklarung nicht nur fur die korperliche Substanz, sondern auch fur die Monade verwendet, die der Kulminationspunkt in seiner Philosophie ist. Dort finden wir auch, dass seine Konzeption der korperlichen Substanz auf die Bildung des Monadenbegriffs einen Einfluss ausgeubt hat. Namlich ist die geschaffene Monade, außer der gottlichen Monaden, des reinen Geistes, durch das Bildungsprinzip seiner korperlichen Substanz geklart. Diese organische Monade ist das Konstruktionselement von der Welt, in der sich die Teilung und die Zusammensetzung unendlich wiederholen. In diesem Begriff der geschaffenen Monaden und dieser Konzeption der korperlichen Substanz bevorzugt Leibniz die fundamentale Vereinigung von Geist und Korper vor ihrer substantiallen Verschiedenheit von Descartes.

      • KCI등재

        독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축 현황에 대한 연구

        이상명(Sang Myung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3

        현재 독일은 ``케어비상사태(Pflegenotstand)``라는 말이 등장했을 정도로 ``요양서비스 질과 인력부족(Qualitat der Pflegeversicherung und Mangel an Pflegekrafte)``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독일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해 전문지식을 갖춘 노인요양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으며, 노인요양사라는 직업의 사회적 이미지와 위상을 높임으로써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것과 특히 젊은 세대를 노인요양인력 유치 주요대상자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 주고,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주요관점은 독일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요양사의 전문성을 고려한 교육체계에 초점이 맞춰있으며, 독일의 노인요양인력 양성 교육내용과 시스템과 더불어 교육내용에 내포되어 있는 노인요양인력의 역할 및 업무와 사회적 위치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며, 독일의 노인요양사 인프라 구축 대안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소개한다. Currently in Germany, there is talk of ``state of emergency care``, which is addressed to the problems of quality assurance in aged care and shortage of aged care work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aging German society, the federal government has set itself the goal of providing high qualified care givers through a systematic and on a high level of professional training opportunities. Various projects and measures have been carried out to improve the reputation of the primarily care profession in society and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especially young trainees for the aged care professions. The present work considers training and qualifications in the long-term care sector in Germany; it points out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ged care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 in the aged care education and attempts to highlight what roles and perception of tasks contained therein.

      • KCI우수등재

        연속 합성의 미로

        이상명(Sang Myung Lee)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1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와 라이프니츠의 철학에서 연속 개념을 연구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분할 문제를 중심으로 연속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 라이프니츠가 말하는 연속 합성의 미로가 무엇인지 해명한다. 이 두 철학자에게 연속은 시간, 공간, 운동, 물체와 같이 크기와 양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연속은 무한하게 분할 가능하기 때문에 부분이 없는 점과 같이 분할 불가능한 것으로 구성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라이프니츠는 연속을 구성하는 부분은 그 크기를 지정할 수 없으며, 최소 크기로서 분할 불가능한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한다. 연속은 어떤 고정된 크기를 갖지 않는 ‘무한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무한하게 작은 것은 존재론적으로 ‘허구적 존재’지만, 수학적 증명에서 뿐만 아니라 실재 세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생길 수 있는 오차도 무한하게 작아져 간과해도 무방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허구적 존재’와 같은 맥락에서 라이프니츠는 연속이 본래 관념적인 것인데, 이것을 현실적인 것, 특히 물체와 운동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혼란이 연속의 미로라고 한다. 즉 연속 합성의 미로란 관념적인 것과 실재적인 것 그리고 현실적 부분과 가능적 부분의 혼동이다. 하지만 그는 물체의 분할에서 ‘현실적 무한’과 ‘잠재적 무한’, 즉 ‘현실적으로 분할되어 있음’과 ‘무한 분할 가능성’을 동시에 인정하면서 연속 개념에서 미로와 같은 역설을 그대로 인정하고 있다. 라이프니츠에게 이 역설은 논리적 모순이라기보다는 ‘세계속의 무한한 세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원리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형이상학 체계는 이 미로 위에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견관절 충돌 증후군과 동반된 제2형 SLAP 병변 봉합의 추시 결과

        이상명(Sang-Myung Lee),박재철(Jae-Chul Park),송석환(Seok-Whan Song),김상일(Sang-Il Kim),박보연(Bo-Youn Park),이승구(Seung-Koo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충돌 증후군과 동반된 제2형 SLAP 병변 환자를 대상으로 SLAP 병변 봉합 및 견봉성형술을 시행한(S+A)군과 견봉성형술만 시행한(A)군을 비교하여 SLAP 병변 봉합술이 필수적인 치료인지에 대하여 검정하려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제2형 SLAP병변이 확진된 40세 이상의 충돌 증후군 환자 중 술 후 12개월 이상 관찰이 가능하였던 7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환자에서 견봉 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39예는 SLAP 병변을 봉합하였고 36예는 봉합하지 않았다. 결과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설문지 및 운동범위로 평가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33개월이 경과한 후 ASES 점수는 두 군 모두 술 전에 비하여 술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001)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78). 그러나 과격한 운동을 시행하는 군에서는 (S+A)군이 (A)군에 비하여 높은 ASES 점수를 보였다(p=0.014). 운동 범위는 (S+A)군이 (A)권에 비해 술 후 외회전이 유의하게 제한되었다(p=0.026). 결론: 40세 이상의 충돌 증후군을 동반한 제2형 SLAP 병변 환자에게 SLAP 병변 봉합술을 시행하는 경우 임상적 결과는 시행하지 않는 경우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과격한 운동을 시행하는 환자는 SLAP 병변을 봉합하는 것이 임상적 결과가 좋으나 증상 호전을 위해서는 과격한 운동을 자제히여야 한다. Purpose: Type Ⅱ superior labral anterior posterior (SLAP) lesions can occur in the setting of impingement syndrome. The authors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either an isolated acromioplasty or a combined type Ⅱ SLAP repair and acromi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3 and 2008, a total of 75 cases of SLAP Ⅱ lesions associated with impingement syndrome were recruited. In 39 patients, the type Ⅱ SLAP lesion was repaired and acromioplasty was performed. In the other 35 patients, acromioplasty was performed alone. All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questionnaire and range of motion. Results: At an average of 33 months postoperatively, the ASE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p<0.001) but the ASES score was similar in the 2 groups (p=0.278).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ES scores when the competitive sports activity of the 2 groups of patients postoperatively were compared (p=0.014). The SLAP repair patients showed limited external rotation motion compared to the acromioplasty alone patients (p=0.026). Conclusion: There are no advantages in repairing a type Ⅱ SLAP lesion when associated with impingement syndrome. However, type Ⅱ SLAP lesions should be repaired in patients involved with competitive sports activity but the competitive sports activity should be limited for a better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