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남서림(翰南書林)의 백두용(白斗鏞) 연구 -새 발굴 자료 『가상도서첩(家藏圖書帖)』을 중심으로-

        이민희 ( Min Heui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0 古典文學硏究 Vol.37 No.-

        翰南書林은 일제강점기에 新刊이 아닌 古書만을 간행, 판매하던 서점이자 출판사로서 유명하다. 특별히 한남서림에서 간행한 방각본 고소설 간행물은 고소설 연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남서림의 창업주였던 심재 백두용과 한남서림의 역사를 온전히 재구성할 만한 자료나 논의가 그동안 별반 없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격의 자료로 새롭게 발굴한 『家藏圖書帖』이 요긴하다고 보고, 이를 본고에서 처음 소개하고자 했다. 『가장도서첩』은 한남서림 개업을 축하하는 의미로 당대 324명에 달하는 유명 인사들과 지인들이 써 준 시문을 모아놓은 것으로 1913년~1916년 사이에 작성되었다. 『가장도서첩』을 통해 한남서림 개업 초기의 모습과 주인인 心齋 白斗鏞의 생애와 그에 대한 세간의 평가까지 종합적으로 정리,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당대 지식인들이 한남서림의 설치야말로 보다 많은 이들이 독서할 수 있도록 만드는 仁者의 행위이자 公利的 사고의 산물로 인식했음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 20세기 초 서적 및 소설 유통과 출판, 소비와 생산의 문제를 초창기 서점과 서점주인(서적상)을 매개로 문학사회학적 측면에서 들여다보는 데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본고는 백두용의 한남서림과 『가장도서첩』에 관한 종합적 고찰을 위한 밑그림에 해당한다. HanNamSeoRim(翰南書林) by Baek Du-Yong(白斗鏞) is one of early bookstore which was established in Seoul in about 1900. Especially that bookstore was famous that published chiefly not new books, but old books like old novel in 1920`s. But, it was problem that it didn`t studied about who Baek Du-Yong as a owner of that bookstore was, when bookstore was established, and which kind of books at that bookstore were published concretely until now. Those problems were often due to insufficiency of adequate materials to study.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study is purposed to introduce new material GaJangDoSeoCheob(家藏圖書帖), which this material is a kind of album that is similar with a selection of prose and poetry for the bookstore HanNamSeoRim opening congratulation in a period of 1913~1916. There are 324 participants who wrote congratulatory note in a process of making for GaJangDoSeoCheob. Participants were mostly famous contemporaries in various fields. They put Baek Du-Yong above other publishers as a owner of bookstore, because they believe that he wanted to distribute his own books among other people who want to read it. We can make sure who Baek Du-Yong was, and how he is appreciated by people, what he wanted, by GajangDoSeoCheob. This paper is first step to study about life history of Baek Du-Yong, for arrangement of publishing list at HanNamSeoRim, to estimate GaJangDoSeoCheob itself in the field of literal sociology.

      • KCI우수등재

        고소설 독서 주체로서의 사대부가(家) 여성 독자층에 대한 통시적 이해 - 계층적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중심으로

        이민희(Lee, Min-heui)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고소설사에서 독자층의 실재(實在)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사대부가(士大夫家) 여성’을 고유한 독서 문화 취향을 지닌 독자층으로 보고, 그들이 보인 고소설 독서 실태를 여러 시대의 문헌 기록을 토대로 통시적으로 고찰해 그 문학 사회학적 의미를 고구(考究)하고자 했다. 16∼18세기에 사대부가 여성들의 소설 독서에 대한 파편적 기록들을 통시적으로 살필 때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고유한 소설 독서 문화 취향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16세기 이후 사대부가 여성들은 사대부 남성들이 중국 전기소설과 중국 통속연의소설을 한글로 번역한 소설책을 다수 접하고, 국내 창작 한문소설의 한글 번역본을 읽게 되었다.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본 소설 독서는 ‘1) 사대부 남성의 중국소설번역 -〉2)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번역본 소설의 독서, 필사, 보관 -〉3) 가문 내 한글본 소설의 전승’이란 과정을 통해 통시적으로 이어졌다. 18세기에는 상층 남성들의 세책본 소설 독서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한글소설을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선택해 읽고, 이를 소비하는 독서 주체로 성장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한글소설을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사대부가 여성 독자들이 여러 대에 걸쳐 한글소설을 필사, 향유, 보관, 전승하는 독서 문화 취향을 마련하고, 자기검열과 ‘일탈적 긴장감’을 통한 소설 독서 욕구를 충족해 나갔으며, 소설 독서를 소비 행위로 인식하고 화폐 경제사회의 소비 주체로 성장한 것 등에서 소설 독서에 관한 사대부가 여성 독자층의 계층적 문화 취향 형성과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How can we understand the reality of class in classical fiction history? To solve this question, this study uses the ‘upper-class female[士大夫家 女性]’ readership as an example of the reality of reading their classic novels and their literary and sociological meanings. The upper-class female readership was viewed as a social class, and the novel reading patterns and real images of aristocratic female were viewed collectively based on literature records from different ages in terms of classes, not individuals. Since the 16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have enjoyed reading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Chinese popular novels, Korean-language translations of Korean-made chinese novels, and Korean-language novels.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 were continuously passed down through the process of 1) translating Chinese novels by upper-class men-〉2) reading, transcribing, and stor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s-〉3) transcribing Korean novels in the family. This clearly shows that reading Korean novels by upper-class female readers has become a hierarchical cultural taste. In th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chose and consumed Korean novels handled by book rental shops, and in the late 18th century, upper-class females even created Korean novels themselves. By examining fragmentary records of upper-class female’s novel reading diachronically in the 16th and 18th centuries, it is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the unique hierarchical taste of upper-class females’ culture of reading novels. The taste in novel reading culture, in which upper-class female readers copy, enjoy, store, and transmit Korean novel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satisfying the desire to read novels through self-censorship and ‘deviating tension’, and reading novels as an act of consumption. It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reference for reading novels of upper-class females readership, such as the fact that it has been recognized and established as a consumer in the monetary economy and society.

      • KCI등재

        멜랑콜리 관점에서 본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환혼(還魂) 서사의 의미

        이민희 ( Lee Min-heui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1 No.-

        본고는 「이생규장전」 후반부에 나타나는 최랑의 還魂 서사에 내재된 이생과 최랑의 심리상태를 멜랑콜리(melancholy)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 무참히 살해당한 최랑이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슬퍼하던 이생 앞에 다시 나타나 함께 동거하다 다시 이별하고 만다는 후반부의 주요 내용은 그 과정과 결말이 안타깝다 못해 불편하기까지 하다. 죽은 최랑의 혼령이 다시 돌아오게 된 이유와 그렇게 還魂한 최랑이 解寃도 못한 채 다시 이생과 영원한 이별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그리고 뒤 이은 이생의 무기력한 죽음의 이유를 이생의 병리 상태, 특별히 멜랑콜리에서 찾고자 했다. 프로이트는 哀悼가 대상의 상실로 인해 생겨나는 정상적 고통인 반면, 멜랑콜리를 자아 상실과 妄想에 시달리는 병리적 상태로 구분했다. 이 관점에 의거할 때, 이생이 폐허가 된 집에서 최랑을 보고 싶어하던 감정은 애도가 아닌 멜랑콜리한 상태였다. 전란과 아내의 죽음이라는 충격으로 인해 우울증과 정신 분열 상태에서 보인 이생의 행동과 감정 표현이 바로 그러했다. 이생은 극도의 상실감과 박탈감에서 오는 멜랑콜리한 감정에 휩싸여 있었다. 그렇기에 최랑의 환혼은 이생의 상실감이 만들어낸 육화된 정신과 욕망, 내지 의지 그 자체였다. 그런가하면 최랑이 다시 떠나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이생마저 죽어간 것은 최랑을 지키지 못하고 먼저 보냈다는 자기 상실감에서 오는 자기징벌과 같은 것이었다. 이로 볼 때, 「이생규장전」은 전란에서 살아남은 산 자의 정신적 충격과 멜랑콜리한 정신 상태를 고도의 서사전략으로 구현해 낸 문제작에 해당한다. 멜랑콜리 미학이야말로 산 자가 죽은 자를 기억하는, 독특하면서도 효과적인 서사 방식과 맞닿아 있다. 작가는 이생의 죽음과 관련해 공동체적 평가 자체보다 죽음에 이르게 된 내면 심리의 고단함에 더 큰 방점을 두고 멜랑콜리한 감정 세계를 교묘하게 허구적으로 재구해 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emperament of two main characters, Isaeng(李生) and Ms. Choi(崔娘), from the aspects of melancholy inherited in the narrative of reincarnation in the second half of work `Isaenggyujang-jeon(李生窺墻傳)`. If it is the first half that the love of the lovers are finished in marriage, the main content of the latter part is as follows ; `Ms Choi was brutally murdered by thief when rebellion of Hongeon thieves was raised. So Isaeng who lost his wife and everything misses his wife very much. At this time, the reincarnated wife appears to him and tells him to stay with herself. The two of us live together and then again Ms. Choi leaves from Isaeng. After a while, Isaeng was so sore and he also died soon.` However, it is not easy to logically explain why and how the dead Ms. Choi has been reincarnated, why the reincarnation of the Ms. Choi has caused the separation of life and eternity again, Rather, the whole process and the ending of work are unfortunately inconvenient. In this article, I searched for the melancholy condition of Isaeng from the sadness atmosphere which can be confirmed at the end of work, the reason of death that the life had to deal with as a catastrophe, and the reincarnation. If mourning is a normal suffering caused by the loss of the object, Melancholy means a pathological state suffering from self-loss and delusion. Freud said that while mourning is a normal pain caused by the loss of the subject, melancholy is a pathologic state suffering from self loss and delusion. From his point of view, Isaeing is a spiritual victim of an epidemic and can be considered a patient of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In other words, the behavior and thinking of life in the second half of the work expressed his melancholic consciousness . Isaeng was full of melancholic feelings from extreme loss and deprivation. Thus, the reincarnation of Ms. Choi was the incarnated spirit, desire, or will itself created by the feeling of loss. In addition, quick death of Isaeing was self-punishment that came from the loss of self that Isaeng was not able to protect his wife. As such, `Isaenggyujang-jeon(李生窺墻傳)` corresponds to the problem that embodies the psychological shock and the melancholy state of mental condition of a living survivor as a high narrative strategy. Melancholic aesthetics is a unique and effective narrative method that remembers the dead. With regard to the death of Isaeng, the writer has cleverly fictionalized the melancholy emotional world with a greater emphasis on the harshness of the inner psychology that led to death rather than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ty itself.

      • KCI등재후보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1935) 연구

        이민희 ( Min Heui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본 연구는 최근 세상에 알려진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의 이본으로서의 가치와 작품세계를 고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1935년에 잡지 『신아동』에 발표된 김유정 개작 「홍길동전」의 문학적 성과를 통시적, 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이 작품의 제 특징이 무엇인지를 음미해 보고자 했다. 김유정 본은 주요 서사 장면을 간결한 필치로 속도감 있게 보여주고 있어 근대 독자의 독서 감각을 충족시켜 주고 있다. 율도국 건설로 대표되는 후반부 이야기를 완전히 생략해 버리고, 길동이 조선을 떠나는 것으로 처리한 것도 아동 독자를 겨냥해 적당한 분량과 합리적 사건 해결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데 있었다. 그러나 기존 작품들에서 보여주던 주제의식과 주요 서사 골격은 그대로 유지한 채 개작에 따른 개작자만의 문제의식을 읽어내기 어렵다. 후반부의 과감한 생략을 시도한 것은 『홍길동전』 이본 중에서 김유정 본이 처음이다. 그러나 어색한 결말 처리나 환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주인공의 활약상은 김유정 본이 여전히 고소설 서술 전통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한편 김유정이 고소설 『홍길동전』을 아동용 독서물로 개작하여 세상에 내놓은 이유를 당시 아동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에 따른 출판물의 필요와 작가 개인의 경제적 요인이란 측면에서 찾아보았다. 김유정의 「홍길동전」은 근대 작가의 손을 거친 개작물 중에 최초라는 의의가 인정되나, 작품성이 뛰어나다고 말하긴 어렵다. It has ever known recently that there was Honggildong-Jeon(洪吉童傳) rewrote by Kim Yu-Jeong(金裕貞) in the New Child[新兒童] magazine published in 1935. This paper is purposed to search for how Kim Yu-Jeongs Honggildong-Jeon is meaningful, and what feature of this new version is. To understand feature of this new vers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this work and evaluate characteristics of Kim Yu-Jeongs Honggildong-Jeon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As a result, we can make sure that Kim Yu-Jeongs version presents the main narrative scenes focusing on the deployment of a fast-paced narrative with concise strokes and meets a sense of modern readers. However, the major narrative skeleton and subject matter in Kim Yu-Jeongs version preserved like existing works, and its not easy to find his own unique consciousness for rewriting. By the way, scene of yuldoguk(栗島國)s establishment omitted completely from the later story. That is why ending of the story is considered by the time of institution of society and the reality. These drastic omit the latter part of story presents in Kim Yu-Jeongs version for the first time. But, ending of story is so awkward and narration of heros activity plays in fantastic and unrealistic way. It shows that Kim Yu-Jeongs version was not deviated completely from the expression and narration of old classic novels. In addition to that, there are not enough that Kim Yu-Jeong``s adaptation of the classic novel based on the children. We can not understand exactly because of the lack of relevant materials why Kim Yu-Jeong wanted to rewrite Honggildong-Jeon. However, it happened that the interest of the society and intellectual for childrens literature expanded gradually, and poverty of Kims made him to rewrite old classic novel. Although adaptation work clearly has its limitations, Kims various experimental attempts to rewrite shows that Kims version occupies a unique position to understand several different versions of Honggildong-jeon.

      • KCI등재

        근대인의 눈에 비친 강화도의 제 모습

        이민희(Lee Min-heu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0 인천학연구 Vol.33 No.-

        근대 이후 강화도의 모습은 어떠하며, 강화도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개항 이후부터 1950년 한국 전쟁 이전 시기까지 강화도에 관한 기록물을 망라해 수집해 이를 분석하고자 했다. 역사적 기록물, 문학 작품, 내국인 기행문, 강화인 회고록, 신문과 잡지 기사, 외국인의 여행기 등 근대 강화도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삼았다. 1876년 개항 후 1910년까지의 기록물에 나타난 강화도의 모습은 다음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강화도는 최초의 기독교(개신교) 전파와 신앙 공동체의 형성, 그리고 새로운 문물 수용의 최첨단 지역이었다. 둘째, 강화도는 보창학교, 계명의숙, 합일학교 등 강화도 내 지식인들이 사립학교를 설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근대 신식교육과 계몽운동이 활발했던 신교육의 요람이었다. 셋째, 강화도는 1900년대 후반 강화도 의병 활동 등 정치적, 사회적 소요와 항일 저항이 일어난 공간이었다. 이러한 장소성을 종합할 때, 이 시기 강화도를 ‘새로운 문물 수용 및 계몽 교육의 선구지’라 평할 만하다. 일제강점기에 강화도는 1919년에 3.1.만세 운동이 가열하게 일어나 항일운동이 적극적으로 일어난 것을 제외하면 1920년대 이후로 ‘여행 명소 및 풍요의 고장’으로 각인되었다. 일제의 여행 장려, 탐승지 개발 계획에 의해 강화도가 수도 인근 여행 명소로 부각된 것도 특징이다. 이때 지식인들은 강화도를 역사적 요람지로 인식하고, 망국의 현실과 과거 역사를 오버랩하면서 자기 성찰과 불투명한 미래를 전망하는 기억의 장소로 호명해냈다. 또한 강화도는 감과 쌀 등 농산물과 어산물이 풍족하고 면포, 화문석 등 제조업이 발달한 곳으로 알려졌다. 강화도는 배륙(排陸) 사상이 강하고 자족 자립이 가능한 풍요로운 곳이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강화도는 사회 재건에 대한 희망이 다른 지역보다도 강했다. 강화문화관을 건립하고 민생과 복지, 경제 발전을 위한 실천적 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어수선한 정치 상황과 한국 전쟁을 겪은 후, 강화도를 군사적 긴장감이 감도는 위험 지역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요컨대, 근대인의 눈에 비친 강화도는 산물이 많고 풍요로운 땅이자 근대 교육의 산실이며 애국의 고장이면서 긴장과 화합이 공존하는 점이지대로 자리해왔다 할 것이다. It is relatively unknown what Ganghwa Island(= Gangwhado, 江華島) looked like for more than 150 years since modern tim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looked through the materials related to modern Ganghwado, including historical records, literary works, travel documents of Koreans, memoirs of Ganghwa people, article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ravel journals of foreigners from the openning of the port to the pre-1950 period. From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to the beginning of 1910, Ganghwado was a state-of-the-art area of the first Christian propagation, the formation of a religious community, and the acceptance of new civilizations. Second, Ganghwado was a cradle of modern new educ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by intellectuals. Third, Ganghwado was a place where political and social unrest and anti-Japanese resistance occurred, including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of Ganghwado in the late 1900s. In Japanese colonial era, Ganghwado has emerged as a tourist attraction near the capital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plan to encourage travel and develop tourist destinations. At this time, Korean intellectuals recognized Ganghwado as a historical cradle and named it as a place of memory that overlaps the reality and past history of the country, and predicts self-reflection and an opaque future. Ganghwado is also known to be place of affluent and rich place where the idea of not relying on land was strong and self-sufficient. With liberation, Ganghwado had stronger hopes for social reconstruction than other regions. However, after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the Korean War, the perception that Ganghwado is a dangerous area of military tension has grown. Such eyes are still in progress. Through modern record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Ganghwado, which is reflected in the eyes of internal and external visitors, is recognized as a rich land, a cradle of modern education, a place of patriotism, and a place where tension and harmony coexist.

      • KCI등재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이민희 ( Lee Min-heu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고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한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토로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현 고등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고소설 수업 시 어렵다고 느끼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리고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이 라 여기는 활동들을 제안 받아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 적인 활동들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고소설 수업 시 문학의 수용과 생산, 그리 고 적용이란 측면을 고려해 고소설 어휘 교육과 인물 교육, 그리고 사건 교육 관련 여러 수업활동들을 설계해 보았다. 문학의 수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의 근간이 되는 어휘 이해와 내용 이해 중심 활동이 중요하다. 한자어 교육 및 벼슬명 교육, 그리고 인물관계도 와 사건기차를 통한 내용 파악 활동, 인물평을 담은 신문기사 작성 활동, 고소 설 속 인물이 되어 SNS에 글 써 보기 같은 활동, 고소설 작품을 소재로 한 웹 툰 작품과의 비교 활동 등이 작품의 내용 이해를 돕는 활동으로 유용하다. 특히 복잡한 서사구조와 갈등을 지닌 작품의 경우, ‘사건 기차’ 활동지를 활용한 활동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학의 생산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 후 학습 자의 표현 및 창작 능력을 키우는 활동이 요구된다. 본문을 시나리오 대본 또 는 만화로 바꿔보는 창작 활동에서도 새로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지막으로 문학의 적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와 창작 활동을 토대로 현 실생활 속에서 적용 가능한 활동들, 이를테면. 선인과 악인에 대한 상장 수여 활동, 고소설 속 인물의 현상수배지 만들기, 작품 주제를 소재로 한 문학재판 활동, 또는 인물에 관한 문학 토론 활동 등을 활용해 흥미로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 고등학생들이 기대하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은 단순히 수업 초기에 흥미 유발을 목적으로 한 준비활동이 아닌, 본격적인 수업 속에서의 활동을 의미한 다. 수업 전반에 걸쳐 재미를 느끼며 행할 수 있는 활동들, 곧 본문 작품 이해를 달성하고 폭넓은 체험 활동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실천적 활동들이 고소 설 수업 시간에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 제안한 수업활동 중 일부는 교 과서 본문 내용이해를 위한 학습활동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의 설계와 실천적 활동은 재미가 교육 수단뿐만이 아닌 교육적 목 표가 될 때 더욱 그 의미가 커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practice specific and fun activities for the classic novel work in the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current 73 high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vocabulary, main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lesson of classic novel.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feel fun about classic novel work, and to do many practical activitie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Students think that the strange Chinese vocabulary and a frequent title(position name) changes used on the classic novel text in textbook make themselves not to understand the work easily. The translated text using easy vocabulary in textbooks will need for students to feel interested. Therefore, here this paper suggest the fun activities that teach the classic novel work in class. These are so good activities in relation to character study that to create a character relationships map, to write on SNS in a view of figures in classic novel work, to make a certificate of merit for giving to the good and the wicked, to make a leaflet seek for character wanted in connection with a crime in classic novel work, and to write newspaper articles to introduce a good or bad person in classic novel work and etc. And when you want to analyze the classic novels with a complex narrative structure and conflic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fu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event in classic novel work like following ;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ic novels can use the ``train incident`` activity. And an activity of changing original text in classic novel work into the scenario script or cartoon is also effective. A classic novels trial or literary discuss with content of classic novel work may also attempt to use activities. Providing interesting lessons design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ispel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lesson for classic novel is difficult and tedious. The classic novel class a fun-borne navigation is possible in the hope that it can also be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 KCI등재

        미국의 세책(貰冊) 독서 문화 연구: 한국과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이민희(Lee, Min-Heui)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3 No.-

        본 연구는 18-19세기 미국 내 세책(貰冊, 도서대여) 문화와 세책 독서의 형성 및 발달 양상을 탐구하고, 이를 한국의 경우와 비교하면서 세책 독서의 문학사회학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세책은 고객(독자)의 도서 ‘선택-대여-기간 내 독서-반납’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세책 독서는 일반 독자들이 세책점을 통해 저렴한 가격의 책을 다수선택해 빌려 읽는, 일체의 행위를 뜻한다. 신용에 의한 책의 대출과 반납, 그리고 규칙에 기초한 상거래가 세책 영업을 가능케 한 기본 요소다. 일반인 독자가 중심이 된 세책 독서가 한국은 물론, 유럽 여러 나라와 미국에서 공히 18세기 이후에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세책점을 처음부터 책을 상품으로 여겨 거래하는 ‘가게(상점)’로 인식했다면, 미국과 유럽에서는 사교와 지식 공유를 목적으로 한 유료 대출 ‘도서관’ 개념에서 출발해 점차 일반 세책점 개념으로 변모했다. 한국에서는 세책점 등장 이전에 서적행상에 의한 유통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반해 미국에서는 상업적 유료 도서관(commercial circulating library)이라 불린세책점이 등장하기 이전에 이미 회원제 구독 도서관(subscription library)이 발달했다. 일정한 자격을 갖춘 이들만 회비를 내고 책을 빌려 읽던 회원제 구독 도서관은 상층 독자들을 위한 독서 동호인 모임(독서클럽) 성격이 강했다. 이것이 세책점의 등장으로 일반 독자라도 누구나 저렴한 대여료를 내고 다수의 책(특히 소설책)을 빌려 읽을 수 있는 것으로 변모해 갔다. 미국에서는 1762년 동부 아나폴리스에서 처음 세책점이 세워진 이후, 구독 도서관과 경쟁하면서 독립전쟁을 거친 후 세책 독서가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미국내 세책 독서는 여성 독자의 증가와 식자율을 높였고, 책의 생산과 소비, 유통 발달을 이끌었다. 그리고 일반 독자 다수가 향유 가능한 공익적 재화의 역할을 했다. 또한 오락을 목적으로 한 소설 독서를 견인했다. 특별히 신문 광고 및 카탈로그(도서목록) 제작 등 세책 독서 홍보가 발달했다. 한국의 경우, 도서관 ․ 서점 등이 발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세책 독서가 이루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정치적 통제 또는 자기 검열 등의 특수한 조건 하에서도 미국에서 보이는 여러 세책 독서 양상과 유사한 점이 많다. 18-19세기 세책 독서는 한국과 세계 곳곳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보편적 문화 현상의 하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ook rental culture and book rental reading in the U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book rental read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le comparing it with the case in Korea. Book rental consists of the process of ‘selection-rental-reading-return within the period’ of the customer (reader). In addition, book rental reading refers to the act of general readers choosing, reading, and returning many low-priced books through book rental stores. Credit-based lending and return of books, and rule-based commerce are the basic elements that made book rental business possible. This book rental and reading led by ordinary readers appeared after the 18th century in not only Korea, but also in various Europe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In Korea, book rental stores (=commercial circulating library) were regarded as “shops” (stores) that treat books as products, wherea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y were recognized as “library” paid loans for social and knowledge sharing purposes. In Korea, before the emergence of book rental stores, distribution by book vendors was common, whereas in the United States, book rentals were provided because a membership subscription library system was provided before book rental stores, or commercial circulating libraries, appeared. Membership-based subscription libraries, where people with certain qualifications signed up as members, paid dues and read books by borrowing books, have a strong character of reading clubs for special reader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Franklin"s ‘Library Association’ established in Philadelphia, and after the first book rental shop was established in eastern Annapolis in 1762, books were rented and read rapidly in major cities during the Revolutionary War. Book rental and reading in the US increased the literacy rate due to the increase in female readers, and led to the development of book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nd it played the role of a public good that many of the general readers could enjoy. It also led to reading novels for entertainment purposes. Book rental reading was recommended by promoting book rental stores such as newspaper advertisement and catalog (book list) production. The subjects of such book rental and reading were women and workers. In the case of Korea, although the library or bookstore was underdeveloped, books were rented and read, but even under special conditions such as political control or self-censorship, there are similar points in many ways with the aspect of book rental reading in the United States. It can be understood that book rental reading was a common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world reading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해제 : 춘향전 새 이본 「옥중향(獄中香)」개관

        이민희 ( Min Heui Lee ) 민족문학사학회 2008 민족문학사연구 Vol.38 No.-

        몽련(夢蓮) 송헌석(宋憲奭)이 개작한 「옥중향」은 활자본 형태로 1927년에 발표된 작품이다. 지금까지 옥중화계 춘향전 이본으로 「옥중향」의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았는데, 이번에 그 원문을 처음 공개하고 그 작품세계를 소개하고자 했다. 「옥중향」은 조선전매협회에서 발행한 『전매통보(專賣通報)』라는 잡지에 총 10회에 걸쳐 연재된 작품으로 단행본으로 따로 간행되지 못했다. 그래서 일반인이 쉽게 「옥중향」을 읽거나 그의 존재를 알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된다. 「옥중향」은 이해조가 쓴 「옥중화」의 기본 서사 골격을 충실히 따르면서, 합리적 서사 구성 및 표현을 추구하고, 축약과 생략,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의 추가 또는 확장 서술을 적절히 구사하는 방식으로 서사의 긴장감을 높이고 흥미를 배가시킨 작품으로 평가될 만하다. 또한 완판본 춘향전이나 신재효본 「춘향가」, 「남원고사」등에 비해 갈등 구조와 대립이 첨예하게 나타나 있지 않지만, 개화기 의식과 근대 독자를 고려한 어휘 및 표기를 사용하고, 당시 인기를 누렸던 창극 대본 형식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는 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형식적·내용적 측면에서 「옥중화」와 비교했을 때, 「옥중향」은 「옥중화」의 일방적 모방이라기보다 20~30년대 서울지역 독자들을 고려한 변개의 흔적이 보인다. 그밖에 「옥중화」에는 없으나 「남원고사」에 등장하는 `짝타령`, 그리고 `다른 여인의 무덤에서 통곡하는 이야기` 등의 화소 삽입은 「옥중향」이 「옥중화」외에 또 다른 이본을 참고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1930년대 초 춘향전 이본 연구에서 작품명만 언급되었을 뿐 실체를 알 수 없었던 「옥중향」의 새 발굴·소개는 춘향전 이본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Okjunghyang(獄中香) as a varinat of Chunhyangjeon(春香傳) was written by Song Heon-Seok(宋憲奭) in 1927. This different version was published not in book form, but serially in Jeonmaetongbo(專賣通報) which ran a serial in ten parts. It`s one of the reason why Okjunghyang didn`t become known to us until now. Okjunghyang is an adaptation from Okjungwha(獄中花) by Lee Hae-Jo(李海朝). The former is based on narrative plot of the latter`s work, but the former tried to adapt from the latter with the way of pursuing reasonable description and logical narrative structure. In addition, application of marking method and lexicon suitable for modern reader`s taste of Seoul in the 1920`s~1930`s in Okjunghyang is different from Okjungwha. And it also distinguishes Okjunghyang from Okjungwha that the former has insertion of a ballad `partner-taryong` and of a story which a hero is crying in front of unknown woman`s tomb by mistake and is close to get whipped. It is true that Okjunghyang had already introduced as a variant of Chunhyangjeon in the 1930`s, but unfortunately, after that period, this work never have mentioned for some unknown reason, and today nobody has known existence of Okjunghyang. It is also significant in a respect that this study provides opportunity of revaluation and new concern about a variant of Chunhyangjeon which we have forgot until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