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관 경험 : 개념 확장과 새로운 방향 모색

        이민하(Lee Minha) 한국미술경영학회 2022 한국미술경영학회 논문집 Vol.- No.1

        본 연구에서는 미래 미술관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미술관 관람객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미술관 관람 객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관람객의 방문 경험과 관련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양적 연구 중심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술관의 주요 신규 고객층으로 등장한 MZ세대의 미술관에 대한 수요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관을 자주 방문하는 MZ세대 관람객 29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 MZ 세대의 미술관 경험은 미술관을 자기 개발 뿐 아니 라 자신의 문화적, 지적 취향을 표현함으로써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장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미 술관에서는 새로운 고객층의 추구 가치를 발 빠르게 받아들이고 이를 프로그램과 서비스 개발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 요가 있다. 특히 이들 고객층과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그들의 자존감 향상과 감성 충전을 동시에 충족시 킬 수 있는 창의적인 미술관 경험 설계가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s pursued by museum visitors to find creative solutions for future museums. Existing research on museum visitors was mainly conducted by apply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however,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means-ends chain theory was used to specifically grasp the demand of Generation MZ, which recently emerged as a major new visitor base of museu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9 MZ generation museum visi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MZ gener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using art museums as a place to form social identity by expressing their cultural and intellectual tastes. Therefore, in order to build a strong,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museums, it is needed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fosters opportunities for the MZ generations to increase their self-respect and fulfillment through their total museum experiences.

      • KCI등재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대학생의 통합적 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민하(Lee, Min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8 No.-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미래 인재 양성의 지향점으로 기초학습능력 뿐 아니라 사회성과 인성을 모두 포괄하는 통합적 역량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역량 교육의 이상을 실행할 수 있는 실천 전략으로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은 일상의 여러 문제들을 학생들이 직접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과 기술 뿐 아니라, 타인에 대한 배려와 대인관계 등 인지적, 비인지적 영역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므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함양하는데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C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99명을 대상으로 디자인사고 기반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강의 기반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인 공감능력, 협업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학습효과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반면, 강의 기반 수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같은 결과는 디자인사고 기반 수업이 역량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될 수 있으며, 앞으로 미래지향적인 교육 개선을 위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integrative competency education that encompasses both social skills and personality as well as basic learning capacities as a goal to foster future talent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design thinking-based course as an appropriate strategy for implementing competency education. Design thinking-based course is expected to be a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society, because it is devis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about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areas, such as knowledge and technology as well as consideration of othe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various problems of daily life.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two student groups to examine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course on competency buil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9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C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47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were taking a design thinking-based course, while 52 students of control group were taking a traditional lecture-based course. In this study, the learning effect on empathy ability, collabora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ore competenc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s results of the study, the design thinking-based cour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areas, where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not observed in the lecture-based course. The results suggest that design thinking-based course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competency education and can be a meaningful source for future-oriented education reforms.

      • KCI등재

        공학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미술 기반 융합교양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하 ( Lee Minha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창조경제’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단어로 자리 잡으면서 창의성은 경제, 사회를 주도해 나갈 필수 요건으로 주목받고 있고,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중 최근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천 전략으로 가장 적극적으로 조명되고 있는 것은 융합교육으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안을 도출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편,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던 혁신적인 기술이 하루가 멀다 하고 등장하는 공학 분야의 인재 양성은 미래 경쟁력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과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연계와 융합으로 정의되는 첨단기술의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공학도를 위한 융합교육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그간 우리나라의 공학교육은 전공에 편중된 교육과정과 단선적인 강의 방식으로 첨단 공학의 트렌드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 왔으며, 이에 최근 융합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교육 개혁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공학교육 분야에서 융합교육 관련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로, 교육 현장에서 융합교육의 구체적 운영방안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 수업의 설계 및 진행방식을 공유하고, 향후 융합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사례는 미술 기반 융합교육 수업으로, 시각적 체험과 통찰을 통해 공학 분야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수업효과에 대한 수강생 설문조사 결과, 융합교육 수업은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공학도의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creativit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key factors to drive the future society and economy, the interest in curriculum and pedagogy to foster creativity has recently been increased. Accordingly, convergence education, which aims to enhance the capac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solve problems, has been highlighted as a suitable strategy to improve creativity. Meanwhile, in the high paced high-tech sector, where new products and technologies are emerging rapidly, creativity to solve a problem or to design a novel artifact is essential for future competitiveness. However, although it is critical to educate engineers to be creative thinkers and problem solvers, fostering creativity has not been a priority in engineering education. Despite the recent efforts toward embracing creativity in college education, progress has not been significant in college engineering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a recent practice in engineering education with regard to convergence education opportunities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skills. To do this, this study introduced a convergence education course, designed for engineering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creative thinking skills by using art-based learning experiences. Throughout the cours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problem solving practices that encouraged them to wonder, discover, and innovate. Students survey results showed that convergence education was foun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creativity, especially those related to con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 KCI등재

        미술대학 졸업생의 취업 현황 연구

        이민하(Lee Minha)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3

        경제 불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청년 실업이 심각한 경제․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술 분야에서도 청년 취업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보다 전략적으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 시내 미술대학의 2011년-2013년도 순수미술 전공 졸업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미술 분야 청년 일자리 실태를 알아보고, 졸업생 및 미술 분야 종사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순수미술 전공자의 사회 진출 관련 문제점과 대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향후 미술대학 졸업생들의 원활한 사회 진출을 위한 교과과정 및 교내 지원 프로그램, 제도 및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has been hard on all sectors in a nation, and art college graduates are not an exception. In this situation, understanding working conditions for young artists and artistic workers, and provide a road map for improvement has been a significant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labor-market experience of recent fine art graduates and to investigate specific features of the working conditions in art sectors using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data.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most graduates have been employed in art-related fields, while most of them are not content with their jobs due to low wages and insecure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provides alternatives for the current art college curriculum and policy support for young artists: 1) developing practical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elp students advance career exploration and field experience, 2)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programs for art college graduates including artist fees, working spaces, and networking opportunities, 3) raising awareness of artists as a profession and promoting investment for the expansion and activation of the art market in the long term.

      • KCI등재

        브랜드커뮤니티 경험가치가 브랜드만족, 브랜드신뢰, 브랜드 공동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방탄소년단과 아미를 중심으로

        이민하(Minh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브랜드커뮤니티는 브랜드에 대한 열정을 갖고 브랜드 가치 향상에 동참하는 소비자 집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 성공을 거두고 있는 방탄소년단의 팬 커뮤니티 ‘아미’를 대상으로 브랜드 커뮤니티 경험이 브랜드 만족과 신뢰, 브랜드 공동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브랜드 커뮤니티 경험을 통해 얻은 심미적 감수성, 자아 일치감, 지적 충족감 등의 가치는 브랜드 만족과 신뢰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공동가치창출과도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관점에서 브랜드 자체에 초점을 맞춰 홍보하는 전통적 마케팅 전략보다는 브랜드 커뮤니티 양성을 통해 고객-기업, 고객-고객 간 정서적 교감과 연대를 이끌어내는 방식이 미래 브랜드 마케팅의 방향성이 되어야 한다. 둘째, 브랜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서는 브랜드와 관련한 감각적 자극 요소뿐 아니라 고객의 지적 호기심과 자아 일치감 충족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Brand community refers to a group of consumers who are passionate about the brand, and actively participate in enhancing the brand valu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brand community experience on brand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brand value co-creation, focusing on BTSs fan community, ‘ARMY’.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ue of aesthetic sensitivity, self-consistency, and intellectual fulfillment, obtained through brand community experiences,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and brand value co-cre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company-centered traditional marketing campaign strategies, future brand marketing strategies should focus on nurturing brand communities through which encourag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between consumers and companies. Second, in order to enhance brand community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to satisfy customer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elf-consistency as well as sensory stimuli related to the brand.

      • KCI등재

        럭셔리패션브랜드 전시 체험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하(Lee, Min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럭셔리패션브랜드 전시를 체험마케팅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전시 관람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럭셔리패션브랜드 전시 관람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럭셔리패션브랜드 전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심미적, 교육적, 일탈적 체험이 관람객의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시 관람을 통해 형성한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럭셔리패션브랜드 전시는 미술과 패션,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된 효과적 마케팅 전략으로 볼 수 있으며, 지속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창의적인 전시 개발을 위한 다양한 다학제적 연구가 요청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uxury fashion brand exhibition on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arketing. A survey on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the luxury fashion brand exhibition was conducted.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of the elements of the luxury fashion brand exhibition including,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and escapist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visitor’s perception of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can positively affect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luxury fashion brand exhibitions, based on the convergence of art, fashion, and marketing, can be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and therefore, various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develop innovative curatorial approaches are necessary for future success.

      • KCI등재

        실손의료보험 할인할증제도의 실증분석

        이항석 ( Hangsuck Lee ),이민하 ( Minha Lee ),백혜연 ( Hyeyoun Baek ) 한국보험학회 2018 保險學會誌 Vol.116 No.-

        실손의료보험에 대한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로 인해 보험사의 손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보험료가 인상되어 왔으며, 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 차등화에 대한 문제의식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실손의료보험처럼 계약자별 위험특성 편차가 클 경우 단일보험료를 부과하면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로 인해 구조적 손해율 상승이 야기되므로 해결방안으로 해외 할인할증제도 검토와 대안에 대한 탐색 및 실증적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 위험등급 간 이동의 전이행렬 분석을 이용하여 실손의료보험의 위험특성에 적합한 할인할증 보험료 차등화 체계를 탐색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손의료보험에 대한 계리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적시성이 있고 해외 할인할증 제도의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대안에 대한 탐색을 해보는데 있다. 데이터는 국내 보험사의 실손의료보험 자료를 활용하고,사고 실적별 미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전이행렬의 추정 및 이를 이용한 극한 분포(궁극적인 계약자 포트폴리오)를 추정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일반화 혼합선형모형 (GLMM) 분석을 통한 할인할증제도가 반영된 최적 상대도(베이지언 보험료)를 산출한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보험계약자의 이해도가 높고,우리나라에 적합한 할인할증제도 구축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As the regulative adverse selection and moral hazard leads to the persistent increase in loss ratios and premiums of the Korean private health insurance(PHI),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of the rates differentiation methods in PHI. The uniform manual rates despite the diverse distribution of policyholders risk characteristics in PHI would increase the structural loss ratio due to the adverse selection and moral hazard. Therefore,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we review the overseas Bonus-Malus systems and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create an alternative. We utilized PHI data from an insurance company. We estimate the transition matrix using the transition rules which impose the transfer from one level to another level once the number of claims is known and the stationary distribution. Finally, we calculate the optimal relativities (Bayesian premium) that reflect the Bonus-Malus system through GLMM analysi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es, we provide impli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Bonus-Malus system which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olicyholders, and suitable for Korea.

      • KCI등재

        외화 변액연금의 가격결정과 최저보증 리스크관리

        이항석 ( Hangsuck Lee ),최지선 ( Jisun Choi ),이민하 ( Minha Lee ) 한국보험학회 2022 保險學會誌 Vol.132 No.-

        최근 변액연금 펀드의 해외투자 비중이 증가하면서, 상품에 내재된 최저보증 리스크뿐만 아니라 환리스크에 대한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는 다른 연금상품과 함께 최소분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과 최저보증옵션에 대응되는 기초자산과 무위험자산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를 일정 관찰 시점마다 재조정하는 동적헷징이 있다. 본 연구는 환율을 고려한 두 연금상품의 최저보증옵션 가격공식을 도출하고 포트폴리오 구성 및 동적헷징을 적용하여 리스크 감소효과를 분석한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리스크 관리 적용 전후의 만기 수익 변동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체로 포트폴리오, 동적헷징, 동적헷징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순으로 리스크 감소효과가 커진다. 리스크 감소는 증권시장의 상황이나 기초자산의 변동성, 자산간 또는 자산과 환율의 상관계수 등과 관계없이 발생하지만, 효과의 차이가 존재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variable annuities funds’ overseas investment, the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exchange risk as well as the minimum guarantee risk inherent in the annuities has emerged. Commonly known methods for risk management include forming a minimum variance portfolio with another annuity product and dynamic hedging, which forms a portfolio of underlying and risk-free assets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guarantee option and rebalancing them at a certain observation point. This study derives the pricing formulas for the minimum guarantee options of the two annuity products considering the exchange rate and analyz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inimum guarantee risk by applying the portfolio composition and the dynamic hedging. Monte Carlo simulation is conducted to measure the volatility of profits at maturity before and after applying risk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risk reduction effect increases in the order of portfolio, dynamic hedging, and portfolio with dynamic hedging. The risk reduction occurs regardless of the situation of the stock market, the volatility of underlying asset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ssets or assets and exchange rat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effects.

      • KCI등재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ind Wandering in Pre-learning and Follow-up Learning: In the Learning Process of ‘Movement of the Earth and the Moon’

        임성만(Sungman Lim),이민하(Minha Lee),김성운(Seongun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1 Brain, Digital, & Learning Vol.11 No.3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tudents’ free inquiry between science teachers’ open inquiry and guided inquiry, and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ffective free inquiry guidance. In this study,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science teachers with free inquiry, open inquiry, and R&E teaching experience. To this end, a total of 5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inquiry, experiences of free inquiry, difficulties experienced while conducting free inquiry,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them.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for a minute,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ll recorded and transcribed to be used as analysis data for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received a guided experience in which students become accustomed to research rather than open inquiry when conducting free inquiry activities, and then expand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progress or speed of the research. It was recognized that appropriate intervention by teachers to develop skills and solve problems creatively was necessary. In addition, in order to grow as a scientific exper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fic infrastructure for research where students can actually conduct the desired inquiry and try various methods, and experts who can provide professional scientific knowledge and skills in such a research environmen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n free exploration. In addition,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for free inquiry, students are given autonomy when choosing a research topic that awakens the meaning and value of research, guiding them to systematically learn the research process through variable control and repeated experiments, and forming a team. and introduced a peer evaluation system, and suggested the need to provide an exchange where research results are shared and feedback is possibl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atic system for free inquiry guidance and develop and provide specific implementation manuals through consultation with each school, domestic and foreign professional institutions,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