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자살사고 동반 여부에 따른 부적격 짝맞추기 음성파의 비교

        이민지,이연정,황재욱,우성일,김민재,강병주,김영근,한상우,Lee, Minji,Lee, Yeon Jung,Hwang, Jaeuk,Woo, Sung-il,Kim, Min Jae,Kang, Byungjoo,Kim, Younggeun,Hahn, Sang-Woo 대한불안의학회 2021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7 No.2

        Objective : Mismatch negativity (MMN) is known to reflect several abnormalities of cognitive functioning.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MN among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patients with or without suicidal ideation. Methods : Sixty-seven patients with MDD were recruited into this study. MMN was measured by a 64-channel 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oddball paradigm over the front-central area.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using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the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BECK).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 suicidal ideation (N=12) and suicidal ideation (N=55),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uicide ideation in SSI-BECK questionnaires. Results : The MMN latencie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MDD patients with suicidal ideation than in the MDD patents without suicidal ideation (p<0.05). The MMN amplitud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Suicidal ideation may be associated with longer MMN latencies, and it suggests that MMN may play a potential role in assessing the suicidal risk among MDD patients.

      • KCI등재

        독도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 특성과 환경요인: 2018년과 2019년 비교

        이민지,김윤배,강정훈,박찬홍,백승호,Lee, Minji,Kim, Yun-Bae,Kang, Jung Hoon,Park, Chan Hong,Baek, Seung H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1

        본 독도 연안 해역에서 2019년 계절적 수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2018년과 2019년 특성을 비교하고자 두 연도의 4계절 수층별 조사가 수행되었다. 2019년에는 총 4문 69종의 식물플랑크톤이 관찰되었고, 평균 식물플랑크톤 개체수는 1.90×10<sup>4</sup> cells L<sup>-1</sup>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동계에는 평균 3.19×10<sup>4</sup> cells L<sup>-1</sup>로 대부분 미동정 편모류가 우점하였고, 춘계에는 3.12×10<sup>4</sup> cells L<sup>-1</sup>로 역시 편모류가 약 50%를 차지하였으며, P. obtusidens를 포함한 다양한 와편모조류가 출현한 특징이 있었다. 하계 개체수는 0.46×10<sup>4</sup> cells L<sup>-1</sup>로 매우 낮은 개체수와 종이 나타났고, 추계에는 평균 개체수가 0.89×10<sup>4</sup> cells L<sup>-1</sup>로 낮았으며, 여러 종의 Chaetoceros와 함께 Bacteriastrum spp., Guinardia striata, Psuedo-nitzschia spp. 과 같은 규조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2018년 추계와 동일하게 열대 지표종인 Ornithocercus sp.와 Amphisolenia sp.가 관찰되었다. 2019년에는 대마난류와 남해 연안의 영향을 받은 종이 출현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개체수를 보이며 편모조류가 우점한 특징이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다양성은 2018년 하계와 2019년 동계에 높게 나타났고, 군집분석에서도 계절에 상관없이 크게 4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2018년과 2019년 수환경은 특이적으로 춘계에 성층이 약하게 형성되었고, 2018년 추계에는 하계와 동일하게 수괴가 안정되어 식물플랑크톤이 대증식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개체수는 하계를 제외하고 계절별 우점 종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 차이는 추계에 가장 뚜렷하였다. 따라서 독도 연안 해역은 일반적인 동해의 특성과는 다르게, 외해역임에도 불구하고 얕은 지형과 다양한 해류, 섬효과 등과 같은 복합적인 영향으로 연도별 계절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s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seasonal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vicinity of Dokdo. In 2019, phytoplankton of four phyla and 69 species were observed. During winter, unidentified nanoflagellates dominated, with an average of 3.19×10<sup>4</sup> cells L<sup>-1</sup>. In spring, unidentified nanoflagellates occupied about 50% of the composition and a variety of dinoflagellates appeared. The summer phytoplankton population showed very low abundance. In autumn, various species of Chaetoceros appeared, along with diatoms, such as Bacteriastrum spp., Guinardia striata, and Pseudo-nitzschia spp. In addition, tropical species Amphisolenia sp. and Ornithocercus sp. were observed in both 2018 and 2019. The diversity was high in the summer of 2018 and the winter of 2019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ex varied. Cluster analysis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specie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 season. The stratification of spring was particularly weak. In the autumn of 2018, the water mass was stabilized in the same way as in the summer, which is considered a suitable condition for phytoplankton growth. However, in 2019, the water masses were mixed, resulting in a low population. In a phytoplankton comparison, the dominant group showed seasonal differences, except for summer when the population was low, and the difference was most pronounced in autumn. Therefore, the waters surrounding Dokdo have different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East Sea, but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each year are consider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opography, various currents, the island effect, and other factors.

      • KCI등재

        부남호·천수만의 갈수기와 강우기 수질 오염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공간 분포 특성

        이민지,서진영,백승호,Lee, Minji,Seo, Jin Young,Baek, Seung H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2

        부남호는 하굿둑 건설 이후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농업용수로 사용이 불가할 만큼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해수 교환이나 유통의 필요성이 있으나, 극히 오염된 부남호의 물을 대량 방류할 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시기에 따른 환경 조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수기(4월)와 강우기(7월)에 천수만과 부남호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갈수기에는 부유 생물이 정체되어 부남호 내에서 남조류 Oscillatoria spp. 세포수가 8.92×10<sup>7</sup> cells L<sup>-1</sup>로 대증식하였고, Nitrate+Nitrite을 제외한 영양염 대부분이 소비되었다. 강우기에는 담수 유입의 영향으로 부남호에서 용존 영양염이 크게 증가하였고 부남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이 대증식하였다. 강우기 방류의 영향으로 천수만 내측 역시 높은 농도의 생물량을 보였다. 강우기 부남호에서 우점했던 남조류 Oscillatoria spp.와 Microcystis spp.가 천수만 내측에서도 다수 출현하였으며, 해수에서는 Cheatoceros spp., Eucampia zodiacus와 같은 규조류가 빠르게 증식하였다. 부영양화 지수는 부남호 내측에서 1을 초과하여 부영양 해역으로 평가되었다. 천수만은 강우기에 담수 방류의 영향을 받을 경우 부영양화 해역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부남호 내 방조제에 인접한 B3 정점의 8 m 이상 수심에서 정체된 해수 기원의 강한 빈산소 수괴가 관찰되었고, Nitrate+Nitrite를 제외한 영양염 농도가 극단적으로 높았다. 특히 COD 농도가 206 mg L<sup>-1</sup>로 심하게 오염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부남호는 지속적으로 육상기원의 영양염이 누적되며,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과 침강으로 수질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수역으로 판단되었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수유통을 통한 생태계 복원이 필수적이다. Since the construction of a dike in 1983, the water quality in the Bunam Lake has continued to deteriorate due to algal bloom caused by agricultural nutrient loading. Therefore, we evaluated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Bunam Lake and Cheonsu Bay, Korea.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COD), chlorophyll,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surveyed in April during the dry season and in July during the rainy reason. As a result, during the dry period, phytoplankton proliferated greatly and stagnated in the Bunam Lake while a very high population of cyanobacteria Oscillatoria spp. (8.61×10<sup>7</sup> cells L<sup>-1</sup>) was recorded. Most of the nutrients, except, nitrate and nitrite, were consumed due to the large growth of phytoplankton. However, during the rainy period, concentrations of ammonia, phosphate, silicate, nitrate, and nitrite, were very high towards the upper station due to the inflow of fresh water. Cyanobacteria Oscillatoria and Microcystis spp. were dominant in the Bunam Lake during the rainy period. Even in the Cheonsu Bay, cyanobacteria dominated due to the effect of discharge and diatoms, such as, Chaetoceros spp. and Eucampia zodiacus, which also proliferated significantly due to increased levels of nutrients. Since the eutrophication index was above 1 in Bunam Lake, it was classified as eutrophic water and the Cheonsu Bay was classified as eutrophic water only during the rainy season. In addition, a stagnant seawater-derived hypoxia water mass was observed at a depth of8m in the Bunam Lake adjacent to the tide embankment and the COD concentration reached 206 mg L<sup>-1</sup> in the bottom layer at B3. Based on this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water quality will continue to deteriorate if organic matters settle due to continuous inflow of nutrients and growth of organisms while the bottom water mass is stagnant.

      • KCI등재후보

        통영 오비도 어류양식장 주변에서 하계 수계 내 단주기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류 반응

        이민지,백승호,Lee, Minji,Baek, Seung Ho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7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2 No.2

        양식업이 발달한 통영 오비도 주변해역에서 하계 해양환경요인의 변화 특성과 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여, 가두리 양식 생물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2개의 정점에서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 격주로 4개월간 수행되었다. 6월과 7월은 강한 수온 성층이 형성되었으며, 8월에는 특이적으로 강한 양쯔강 희석수의 영향으로 8월 10일 29℃ 전후로 고수온이 관찰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질산염+아질산염, 암모늄, 인산염, 규산염은 각각 0.08~5.11 μM, 0.08~34.62 μM, 0.01~ 1.15 μM, 1.46~31.79 μM의 범위를 보였다. Chlorophyll a 농도는 0.49~7.39 ㎍ l<sup>-1</sup>의 범위를 보였다. 9월의 빈번한 잦은 강우 및 양식어장에서 용출된 영양염류는 장시간 지속되지 못하고 빠르게 소비되거나 확산되었다. 이후 강우로 인한 영양염 유입과 함께 표층을 중심으로 Chaetoceros debilis, C. pseudocurvisetus,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와 같은 규조류가 최대 4.74 × 10<sup>9</sup> cells l<sup>-1</sup>로 크게 증식하였다. 또한 용존산소 변동은 4.52~7.62 ㎍ l<sup>-1</sup>로 식물플랑크톤 대증식 이후 조사에서 유기물질이 분해됨에도 불구하고 빈산소 수괴(< 4.00 mg l<sup>-1</sup>)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해역은 하계의 식물플랑크톤 증식 및 가두리양식장이 밀집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반폐쇄적 만과 달리 해류 순환이 원활한 특징으로 인해 빈산소 수괴는 나타나지 않았다. In order to assess the potenti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vicinity of a fish cage farm, we investigated the biotic and abiotic factors during a short-term period in summer 2016 in two inner stations of Tongyeong Obi. High water temperature on August 10<sup>th</sup> was apparent among the full depth of up to 29℃, which might have been related to the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of large amounts of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along the Tongyeong coast. The concentration of nitrate+nitrite, ammonium, phosphate, and silicate ranged from 0.08 to 5.11 μM, 0.08 to 34.62 μM, 0.01 to 1.15 μM, and 1.46 to 31.79 μM, respectively. The nutrients were mainly supplied by precipitation and leaching from the bottom sediments in the fish culture farm area. It was not retained for a long duration because of the phytoplankton consumption and diffusion by water currents.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varied from 0.49 ㎍ l<sup>-1</sup> to 7.39 ㎍ l<sup>-1</sup>. At that time, Chaetoceros debilis, C. pseudocurvisetus, and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 were rapidly proliferated and reached the level of 4.74 × 10<sup>9</sup> cells l<sup>-1</sup>. In particular, the lowest dissolved oxygen was recorded at 4.52 ㎍ l<sup>-1</sup> at the bottom layer after bloom. Therefore, even though phytoplankton blooms in summer have frequently occurred in a fish culture farm area, the oxygen-deficient environments were not found in neither the surface nor bottom layers, which implied that the water masses might be well exchanged from the mouth of the northwest and southeast between Obi and Mireuk Island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논의기반 탐구(Argument-Based Inquiry)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논의과정 분석

        이민지,권정인,남정희,Lee, Minji,Kwon, Jeongin,Nam, Jeonghee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rgum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argument-based inquiry. A total of sixty eight 8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performed six argument-based inquiry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of the latest programs by audio-recording and transcription of each group engaging in argumentation.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first, the most frequent element of argumentation in the all of stages of the two programs was following order: 'claim' and 'request and response' and 'simple agreement'. The most active argumentation was showed at the designing experiments stage and the most inactive was showed at the generating questions stag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gumentation level for each stage of the argument-based inquiry, a high level of argumentation was shown at the claim and evidence stage, and a low level of argumentation was shown at the generating questions stage in the argumentation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validity of argumentation, the validity of argumentation was the highest level in the claim and evidence stage. 이 연구는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논의과정 특징과 논의과정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공학 중학교 2학년 68명을 대상으로 6개의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이 중 마지막 두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논의과정을 모둠별로 녹음 및 전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단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는 주장이고, 요청 및 요청응답, 단순 호응이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의 실험 설계 및 수행단계에서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의문 만들기 단계에서 논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각 단계별로 논의과정 수준을 분석한 결과, 논의과정 구조에서는 주장과 증거 단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의문 만들기 단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논의가 이루어졌다. 논의과정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주장과 증거 단계에서 논의과정 타당성이 가장 높았다.

      • SCOPUSKCI등재

        자색고구마 첨가 청국장의 항산화능 평가

        이민지(MinJi Lee),이유건(Yu Geon Lee),조정일(Jung-Il Cho),나광출(Kwang-Chool Na),김미승(Mi Seung Kim),문제학(Jae-Hak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2

        노랑콩과 검정콩 각각을 이용하여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청국장을 제조 후, 그 함유성분의 특성 분석과 기능성 평가를 위한 in vitro 및 동물실험을 행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자색고구마의 최적 첨가 비율은 노랑콩과 검정콩 모두 원료 콩 중량비의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자색고구마 20%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과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지 않은 노랑콩 청국장 및 검정콩 청국장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자색고구마 첨가군이 자색고구마 무첨가군보다 총 페놀성 및 flavonoid 함량에 있어 유의하게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발효를 행하지 않은 자색고구마 첨가 시료들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발효를 행한 시료들이 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자색고구마 첨가 청국장의 실험군이 자색고구마 무첨가 청국장 군들에 비해 더 높은 DPPH radical-scavenging 효과를 나타냈다. 또 동이온 유도산화에 따른 쥐 혈장 산화억제능 평가에 있어서도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혈장이 청국장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지 않은 일반 청국장 추출물을 투여한 쥐 혈장들에 비해 산화가 더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자색고구마에 함유된 anthocyan 등의 유효성분 및 발효과정 중에 생성된 대사산물에 의해 생리활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며, 자색고구마의 유용성 확대 및 청국장 제조산업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ellow and black soybean cheonggukjang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v. Jami) were evaluated. In sensory evaluation experiments involving the addition of purple sweet potatoes to cheonggukjang at 0, 5, 10, 20, and 30% ratios (w/w), yellow (YCAP) and black (BCAP) soybean cheonggukjang with 20% purple sweet potato were most preferred. The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of YCAP and BCAP were higher than those of yellow (YC) and black (BC) cheonggukjang prepared without added purple sweet potato. YCAP and BCAP also showed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an other samples. Moreover, rat blood plasma samples taken 1 h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YCAP and BCAP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s against lipid peroxidation than did rats fed YC or B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term intake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purple sweet potato may increase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blood.

      • KCI등재
      • KCI등재

        중장년층의 SNS 공공건강정보 이용의도

        이민지(Minji Lee),안순태(Soontae 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광고연구 Vol.0 No.108

        본 연구는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SNS 공공건강정보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정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검증한 결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건강 관여도, 디지털 리터러시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즉, 개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건강 관여도가 높을수록 공공건강정보 이용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당 정보에 대한 유용성과 용이성을 높게 인지할수록 이용 의사가 높았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건강 관여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다시 말해 건강 관여도가 낮은 사람들이 공공건강정보의 유용성을 높게 인지할 경우 이용 의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 organizations’ use of social media to disseminate health information, focusing on the middle aged who tend to hav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health inform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ll four key factors -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health involvement, and digital literacy -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intention to use. Those with high digital literacy and health involvement demonstrated higher intention to use public organizations’ health information via social media. Also, when the middle aged had high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toward SNS public health information, their intention to use tended to increase.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health involvement and usefulness revealed that those with low health involvement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intention to use SNS public health information when they perceived its usefulness high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