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 및 그 특성과 가치

        이래호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0

        본고는 언간 자료의 소개 현황과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언간의 특징,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와 한계를 짚어 보고 언간의 현대적 활용에 대해서 살핀 연구이다. 현재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조선시대 언간은 2,940여 건이며, 역주집과 판독 자료집의 출간 등으로 언간의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언간은 국어학 연구의 1차 자료로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학적 측면에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생활사적 측면이나 서예적 측면에서도 연구되고 있다. 언간은 간본 자료에 비해 필사 당시의 구어를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하고 있어, 경어법, 어휘, 방언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며, 언간에 나타나는 문법 현상을 통하여 그간 연구되었던 문법 변화의 시기를 앞당기기도 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표기법, 음운 현상의 일반화하기 어렵고, 지역 방언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기도 한다. 언간은 사전 편찬, 국어 생활사 교육 자료, 언간의 내용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개발, 폰트 개발, 서예와 예술 산업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summarized how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re introduced and studie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nd their values and limits as the Korean language history data, and take a look at the modern use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Currently, there are 2,940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from the Joseon Dynasty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and the basis for the systematic study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is prepar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in Translation and Annotation and the source book on decipher.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have been fully studied as the primary source for Korean language studies, however, not in depth in literary aspect. The letters have also been studied in the aspect of life history and calligraphy. For they show relatively many spoken languages used at the time they were written compared with the printed books, they become great data for studying honorific titles, vocabularies, and dialects, and they also carry values for they move up the period for grammatical changes that had been studied through the grammatical phenomena appearing in them. They also have limits fo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notation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precisely determine local dialects. In summary,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can hav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educational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in life history,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using the contents of the letters, development of font, and calligraphy and art industry.

      • KCI등재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 3』교과서의 문장성분 체계에 대한 연구

        이래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1

        North Korea reorganized its school system into a 5-3-3 system in 2012. And from 2013, the curriculum was revised and new textbooks were compiled. Accordingly,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Korean” 1-5, elementary middle school “Korean” 1-3, and advanced middle school “Korean Literature” 1-3 were compiled. Among them, grammar education in North Korea is mainly concentra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especially elementary middle school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ystem of sentence constituents in the elementary middle school textbook “Korean 3”, and to explain and review them in more detail. In North Korea, sentence constituents are defined as words or word combinations that play a certain role in a sentence while answering a certain question. The predicate becomes the structural center of the sentence, and the sentence constitu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predicate and each of them have a grammatical relationship. The relational constituent(maj-mul-lin-seong-bun) is a constituent that has a direct grammatical relationship with the predicate, and the isolated constituent(oe-ttan-seong-bun) is a component that does not have a direct grammatical relationship with the predicate. The relationship constituents are predicates(sul-eo), subjects(ju-eo), complements(bo-eo), quotations(in-yong-eo), situational words(sang-hwang-eo), and modifiers(gyu-jeong-eo), and the isolated constituents include calling words(bu-reum-mal), feeling words(neu-kkim-mal), conjunctive words(i-eum-mal), insertion words(kki-um-mal), and introductory words(nae-se-um-mal). In this study, each sentence constituents were explained and reviewed in detail. 북한은 2012년 5-3-3제로 학제를 개편하고 2013년부터 교육과정 개정과함께 새로운 교과서로 편찬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국어 교과서도 소학교 2013년부터 2015년까지『국어』 1-5, 초급중학교 『국어』 1-3, 고등중학교 『국어문학』1-3이 편찬되었다. 그 중에서 북한의 문법 교육은 주로 소학교와 특히 초급중학교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초급중학교『국어 3』에 나타난 문장성분의 체계를 제시하여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 검토하는데 목표가 있다. 북한에서 문장성분은 문장에서 일정한 물음에 대답하면서 일정한 역할을하는 단어 또는 단어결합으로 정의된다. 문장의 구조적 중심을 ‘술어’로 잡고, 이 구조적 중심으로서의 술어와 각 문장성분들이 맞물리는가의 여부에 따라문장성분을 분류한다. 술어와 직접 맞물리는 성분을 ‘맞물린성분’이라고 하고, 술어와 직접 맞물리지 않는 성분을 ‘외딴성분’이라 한다. 맞물린성분에는술어, 주어, 보어, 인용어, 상황어, 규정어가 있고, 외딴성분에는 부름말, 느낌말, 이음말, 끼움말, 내세움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문장성분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언간에 나타난 지명의 용법 고찰-지명의 인물 지칭과 한정 양상을 중심으로-

        이래호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3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aspect that names of places in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Joseon Period define and determine to special person. There are two cases that the name of place refers to special person. First, the name of place itself refers to special person. Second, construct such as [name of place+dʌik()/jip(집)] refers to special person. Irrespective of gender, the addressee, caller and a third person could be referred to through names of places itself. Whilst [name of place+dʌik()], [name of place+jip(집)] refers to a married woman, in this case, names of places are designated showing her parent’s home, her in-law’s home and her own home. In cases where names of places determine a special person, it could be divided into different constructs such as [name of place+silnʌi(실)], [name of place+kinship terminology] and [name of place+government post terminology]. [Name of place+silnʌi(실)] refers to a married woman. The names of places in constructs such as [name of place+kinship terminology] and [name of place+government post terminology] mean the place that the relative or a public office is living at present. Based on the arguments mentioned, the reference expressions and the determination expressions of the names of places can be arranged into classifications such as superiority, juniority, equality and so as first, second and third persons.

      • KCI등재

        <송규렴가 언간>에 나타나는 남녀 간 언어 차이

        이래호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9 No.-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language of Song Gyuryeom and his wife Andong Kim in terms of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features, grammar, vocabulary, expressions, and lengths of sentences in <SongGyuryeomFamily’s Letters (Eon-gan)>. In order to study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homogeneity of comparable data and data from the same period and region are beneficial. The letters (eon-gan) of the Joseon Dynasty satisfy these considerations In <Song Gyuryeom Family’s Letter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ong’s and Kim’s letters in how the vowels are written, the system used to write glottal sound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syllabication and spelling of verbs reflect consonantal assimilation. Th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differences between Song and Kim appear to refle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Grammatically, Kim’s language differs from Song’s in that she actively accepts the functional changes of the interrogative final ending -ㄴ다.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ir use of aninegatives, in that Song prefers short negatives, while Kim prefers long ones. In terms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emotional expressions, adjectives, and adverbs that express emotional state appear frequently in Kim’s letters, which can be consider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language of actively expressing emotions. Finally, there are not many differences between Song’s and Kim’s letters in sentence length or letter length. 본고의 목적은 <송규렴가 언간>을 중심으로 하여 송규렴과 그의 부인인 안동김씨의 언어가 표기법과 음운현상의 측면, 문법적 측면, 어휘 표현의 측면, 문장 길의 측면에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조선시대남성과 여성의 언어차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 자료의 동질성, 동일시기의 자료, 동일 지역의 자료가 적당한데, 언간은 이러한 고려사항을 만족한다. <송규렴가 언간>에서, 송규렴 언간과 안동김씨 언간은 된소리 표기와 모음의 ‘ㆍ>ㅡ’의 변화와 관련된 표기, 용언의 분철과 연철, 중철의 양상, 자음동화반영 양상에서 남녀의 언어 차이를 보여준다. 표기법과 음운현상은 남녀 개인적인 표기 의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문법적 측면에서, 안동김씨는 의문형 어미 ‘-ㄴ다’의 기능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능 반영에 소극적인 송규렴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아니’ 부정문의 경우 송규렴은 단형 부정문을 선호하고 안동김씨는 장형 부정문을 선호한다는점에서 차이가 있다. 어휘와 표현 측면에서,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감정 표현어와 형용사, 부사가 안동김씨 언간에 많이 나타나는데,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여성 언어의 특징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문장의 길이와 언간의 길이는송규렴 언간과 안동김씨 언간이 큰 차이가 없다.

      • KCI등재

        『경셩유록』에 나타난 강릉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이래호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1910년 전후에 작성된 『경셩유록』을 통해 당시 강릉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현대 강릉 방언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데 있다. 『경셩유록』은 강릉에 거주하던 강릉김씨가 1913년 9월 이후에 쓴 「셔유록」과 강릉김씨 아들이 1906년 1월 정도에 쓴 「황셩신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사본으로, 그 당시 강릉의 언어를 살피는 데 적절한 자료이다. 그 당시의 강릉 방언을 살피기 위해 전설모음화, 고모음화, 저모음화, 단모음화와 이중모음화, 모음조화 등을 살펴보았다. 움라우트와 관련이 없는 ‘으>이’ 전설모음화, ‘어>으’와 ‘에>이’의 고모음화, 치경음 아래에서의 ‘으>어’ 저모음화는 현대 강릉방언과 같으나, 모음조화, ‘오>우’ 고모음화, 단모음화, 이중모음화 등에서 현대 강릉방언과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owel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angneung dialect at the time through the “Gyeongshengyurok” written around 1910,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from the modern Gangneung dialect. “Gyeongsyeongyurok” is a manuscript consisting of “Syeoyurok” written after September 1913 by Gangneung Kim who lived in Gangneung and “Hwangsyeong Sinmun” written by Gangneung Kim's son in January 1906, and is suitable for examining the language of Gangneung at that time. In order to examine the dialect of Gangneung at that time, front-vowelization, high-vowelization, low-vowelization, monophthongization, diphthongization, and vowel harmony were studied. Front-vowelization of ‘ɨ>i’ that were not related to Umlaut, high-vowelization of ‘ə>ɨ’, ‘e>i’, and low-vowelization of ‘ɨ>ə’ under alveolars are no different from the modern Gangneung dialect. However vowel harmony, the high-vowelization of ‘o>u’, monophthongization and diphthongization differ from modern Gangneung dialect.

      • KCI등재

        宋奎濂家 典籍 『先札』 所載 諺簡에 대하여

        이래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2 No.3

        Correspondences in Seonchal of Song Gyu-ryeom family's classic-books is a historical material reflecting the languag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Considering the materials such as “Correspondenc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Suncheon Gim-ssi”(mid and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189 cases) or “Documents excavated from the tomb of Jinju Ha-ssi”(early 17th century, 163 cases) that were previously introduced to the academic circles, this is a comparative, valuable correspondences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study the changes of some 50 years in the language. In the correspondences, the letter “” is appearing earlier than other documents. It shows the reverse transcription on the change of “>ㅡ” and on rounding. On accusative particles or topic auxiliary particles, various allomorphes are simplified from the collapse of vowel harmony. Unlike the general usage, hso-style final ending “-ny(-)” is used by a superior to an inferior. Various examples of psyco-adjectives consisting of “-eo h-(-어 -)” formation appear. Including “뒤슝〃-” ( → 뒤숭숭하-) and “싱숑샹숑-”( → 싱숭생숭하-), the terms “뒤심〃-”, “〃-”, “속그라-”, and “마〃-” are valuable to b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is material. 宋奎濂家 典籍 先札 所載 諺簡은 17세기 후반 18세기 초반의 언어를 반영하는 국어사 자료이다. 이미 학계에 소개된 順天金氏墓出土簡札이나 晋州河氏墓出土文獻을 포함시켜 생각한다면, 약 50년 간격의 시차를 두고 언간이라는 同質的인 資料 속에서 언어 변화를 살필 수 있는, 가치 있는 좋은 비교 자료이다.이 자료에서 ‘’은 다른 문헌에 비해 이른 출현을 보이며, ‘>ㅡ’의 변화에 대한 逆表記와 圓脣母音化에 대한 역표기가 나타난다. 주격조사 ‘가’가 출현하며, 대격조사나 주제격 보조사는 다양한 異形態들이 母音調和 崩壞에 따라 간소화되어 나타난다. 소체 終結語尾 ‘-’를 상위자가 하위자에게 사용했다는 점, 心理形容詞가 ‘-어 -’ 구성을 이루는 예들이 광범위하는 점이다. ‘뒤슝〃-’, ‘싱숑샹숑-’를 비롯하여, ‘뒤심〃-’, ‘〃-’, ‘속그라-’, ‘마〃-’ 등의 語彙는 이 자료에서 처음 보이는 것들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의 활용에 대한 연구

        이래호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tymolog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suggest the scope of etymology in vocabulary education, and to look at the significance of using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Using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education to help understanding by explaining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vocabulary and education of only the meaning of component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words.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even types: unproductive affixes, morphological changes, fossils, deletion and addition of korean phonemes, homonyms⋅blended words⋅acronyms, idioms and proverbs. It is also meaningful that using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can easi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form of Korean language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vocabulary structure, develop vocabulary learning ability, create motivation for vocabulary and identify ethnic thinking and culture. Education that utilizes etymological inform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is recommended to be used in advanced level, and should be targeted at correct etymology in education, and etymological information should be used as a tool to embody teaching purposes.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어원 교육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하며, 어휘 교육에서 어원이 활용될 수 있는 범위를 제시하고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 활용의 의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어원 정보를 활용한 어휘 교육은 어휘의 형태와 의미의 역 사적 변화를 설명하여 이해를 돕는 좁은 의미의 어원 정보를 활용한 어휘 교육과 어휘의 구조 분석을 통한 구성요소의 의미만을 교육하는 넓은 의미의 어원 정보를 활용한 어휘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어원 교육의 대상을 비생산적인 접사, 어형 변화형, 화석형, 음운 첨가 및 음운 탈락형, 동형이의어, 혼종어⋅혼성어⋅두자어, 관용어구⋅속담 등 7개 유형으로 나누어 몇 가지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 활용은 어휘 구조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의미와 형태를 쉽게 이해하고 어휘 습득 능력을 키워 주며, 어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민족적 사고와 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어휘 교육에서 어원 정보를 활용하는 교육은 고급 단계에서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교육 시 정확한 어원을 대상으로 해야 하며, 어원은 교육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언간의 말뭉치 구축 현황과 향후 구축 방향

        이래호 한민족어문학회 2023 韓民族語文學 Vol.- No.102

        본고는 지금까지 공개된 언간과 이들 언간의 말뭉치 구축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언간의 말뭉치 구축과 관련한 향후 방향에 대해 관견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그 현황이 파악된 언간은 5,100여 건이며 실제 판독문이 공개되어 국어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편지들은 3,400여 건 정도가 된다. 언간의 말뭉치 구축은 21세기 세종계획에서 2종의 언간이 원시 말뭉치와 형태 분석 말뭉치로 구축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언간 45종 1465건, 15 만 5천 어절의 말뭉치를 구축하였고, 이후 언간 1,300여 건을 이미지, 판독문, 주석문, 현대어역, 해설, 키워드 등이 병렬적으로 짝이 되도록 구축하였다. 역사자료 종합 정비 사업에서는 총 6종의 194건을 말뭉치로 구축하고 여러 오류들을 수정하였다. 언간 말뭉치의 향후 구축 방향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언간 말뭉치 구축, 대용량 형태 분석 말뭉치 구축, 검색을 위한 멀티 버전 말뭉치 구축, 말뭉치 구축의 형식 통일, 언간 말뭉치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자료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on’gan (Korean old letters) made public and the construction of their corpora and to provide future direction of Eon'gan corpus construction. So far, approximately 4,900 Eon'gans have been identified, with many Eon'gans still awaiting organization. New Eon'gans continue to be discovered. Eon'gan corpus construction began with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where two types of Eon'gan were constructed as raw text corpora and morphological analysis corpor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compiled a corpus of 45 types of Eon'gan, totaling 1,465 documents and 155,000 words of text. Subsequently, over 1,300 Eon'gan have been constructed with images, readable texts, annotations, modern Korean translations, explanations, and keywords. In the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Project, a total of six types of Eon'gan comprising 194 documents were constructed as corpora and various errors were rectified. As of now, of many Eon'gan that have been discovered, only a limited number, approximately less than 1,500, have been constructed as corpora for public service or research use.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Eon'gan corpus construction, suggestions are made for continuous Eon'gan corpus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morphological analysis corpora, the construction of multi-version corpora for searching, standardization of corpus construction format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services for Eon'gan corpora, including image data.

      • KCI등재

        근대국어 하라체 의문형 어미에 대한 연구 -언간 자료를 중심으로-

        이래호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2 No.-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hange, distribution, expansion, and extinction of the ‘hara’ style interrogative endings of modern Korean based on Korean vernacular letters. ‘nya/nyo’ style and ‘rya/ryo’ style interrogative endings, which were classified as polar(yes-no) question and content question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interrogative word in the middle Korean, were gradually integrated into ‘nya’ and ‘rya’ from the 16th century, and ‘-nya’ and ‘-nyo’ were finally integrated into ‘-nya’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and ‘-rya’ and ‘-ryo’, ‘-rya’ in the mid 18th century. ‘-nya’ style interrogative ending has been used without personal distinction from the 17th century as the person restriction gradually disappeared. ‘-n ga/-n go’ and ‘-l ga/-l go’ had been mainly used in indirect questions in the 15th century Korean until 16th century when they were used widely regardless of direct or indirect questions. However, ‘-n da’ was still used exclusively in the sentence led by the second person subject. Meanwhile, ‘-n da’ style interrogative ending began to compete against ‘-nya’ style and ‘-n ga’ style endings in the sentence led by the second person subject. Through this course of competition, ‘-nya’ style and ‘-n ga’ style endings ate into the domain of ‘-n da’ style ending, reducing the distribution of ‘-n da’ style ending. Also, interrogative ending, ‘-n da’, inevitably came into conflict with ‘-n da’ which was used as declarative ending from the 16th century in terms of the form. In this process, ‘-l da’ in ‘-n da’ style disappeared first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n da’ remained further until it disappeared at the end of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