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통업체 브랜드 이용 정도 및 점포 충성도 -패널 데이터 활용 및 관리 체계-

        이라경,김상덕,성민,박진용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0 유통물류연구 Vol.7 No.2

        최근의 유통 환경은 기술의 발달, 다양한 채널의 진입, 그리고 소비 패턴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채널간 경계가 없이 경쟁하는 무한 경쟁 체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유통업체들은 유통업체 상표(PB)가 점포의 차별화와 수익성 제고를 동시에 실현 시킬 수 있는 전략적 무기이자,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객의 점포에 대한 충성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믿음 하에 PB 개발 및 확대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그동안 PB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일부 외국 학술지의 경우를 제외하고 소비자의 주관적 평가에 기초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소비자의 관점에서 PB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품질 문제, 위험 지각, 구매 의도 등 잠재적 변인을 활용하여 제시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선진 연구에서는 고객의 실제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소비자들의 PB 사용의 특성들을 변인화하고 자료를 분석하는 경우가 확인되고 있다. 그들은 기존에 막연하게 추론되던 PB 이용정도의 점포 충성도에 대한 기여도를 금액은 물론 수량과 빈도에서 확인하였으며, 역으로 점포 충성도가 PB 성과에 선행하는 일련의 과정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구매 데이터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매 정보를 폭넓게 시계열적으로 축적하여 관리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의 특징을 패널 데이터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연구가 가능하도록 자료를 관리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FMCG를 대상으로 패널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을 소개하고 그 자료의 관리 방식을 제시한 후 PB 이용정도와 점포 충성도를 다양한 자료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자료를 관리하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려 시도하는 PB 연구자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

        조리외식전공 직업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훈련생의 구직효능감,교육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라경,황유현,윤혜현 (사)한국조리학회 2020 한국조리학회지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vocational trainees’ job-seeking efficac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rom 296 trainee who are majoring in culinary arts at vocational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in South Korea. This study employ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nd so on with SPSS 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observed that training instructors (β=.302, t=6.238), lecture programs (β=.348, t=6.418), educational environment (β=.148, t=2.917) and administrative services (β=.161, t=3.226)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seeking efficacy. Also training instructor (β=.432, t=8.571) and lecture programs (β=.385, t=6.803)had a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Job-seeking efficacy (β=.793, t=22.284) affected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β=.752, t=19.591)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intention. But soc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s between service quality and job-seeking 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ducational service quality development based on the diverse educational needs and learning needs of job seekers.

      • KCI등재

        패널 자료 분석을 활용한 유통업자 상표 이용도와 점포 충성도의 관계

        이라경(Ragyung Lee),박진용(Jin Yong Park) 한국유통학회 2020 流通硏究 Vol.25 No.2

        기술의 발달 및 소비 패턴의 변화, 다양한 채널의 진입 뿐 아니라 채널 간 경계가 없는 무한 경쟁 체제 속에서, 유통업체들은 점포의 차별화와 수익성 제고를 동시에 실현 시킬 수 있는 전략적 무기이자,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객의 점포에 대한 충성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PB 개발 및 확대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PB는 정말 점포 충성도 제고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그리고 도움이 된다면 다른 어떤 요인들이 이 관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적으로 닐슨코리아에서 관리‧축적하고 있는 2,000여명의 패널들의 3년간의 FMCG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요 변수들을 계산하였으며,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데이터의 구조와 완성도를 높였다. 가설 검정은 2SLS(Two Stage Least Squares)방식을 사용하였다.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한 본 연구에서 PB구매 비중과 점포 충성도간의 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특정 점포에서의 PB 구매가 높아질수록 점포에 대한 충성도는 높아지며, 점포의 충성도가 높아질수록 해당 점포에서의 PB구매 비중 역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두 변수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변수로 카테고리에 대한 관여도, PB의 품질, 그리고 고객들의 멀티 채널 이용수준을 상정하고 그 조절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각 변수의 조절효과는 대형마트 3사마다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통업체 상표의 충성도 구조: 패널 및 설문 데이터를 활용한 점포 및 상품 충성도

        김현아,이라경,채단비,박진용 한국유통학회 2020 流通硏究 Vol.25 No.4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urrent retailing environment is an infinite battle field where the retailers compete without boundaries among channel types due to advances in new technology, advent of new retail formats, and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Under these circumstances, retailers are investing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PB, believing that the PB is a strategic weapon that can simultaneously differentiate stores and enhance profitability, and is an effective way to ultimately lead to loyalty of customers to stores. However, is PB really helping to enhance store loyalty of customer? And if it helps, can it be generalized to all companies and customers? And what factors can further strengthe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began from these questions. In attempt to find the answer, this study systematically classified users based on three years of FMCG purchase data of the panels managed and accumulated by Nielsen Korea. The Various loyalty-related questions were asked through surveys and integrated with panel data to enhance the integrity of the data structure. The research model based on customer responses was propos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This was to determine the various mutual causal effects to loyalty to the PB itself, PB loyalty at a particular store, and PB loyalty at a particular product within a particular store. In addition, the respondent classification was reflected in the panel data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ustomer's price orientation and quality orientation and to explain the basic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abundance. Specifically,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hierarchically distinguish customers’ loyalty to PB and identify their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of three types of loyalty: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oyalty to the PB itself (A) and PB loyalty at a particular store (B), PB loyalty within a particular store (B) and PB loyalty to a particular product (C), and loyalty to the PB itself (A) and PB loyalty to a particular product (C) was presented as a basic research model (Alpha, Beta and Gamma). Add to this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price orientation (D) and quality orientation (E) on the basic research model. The basic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ustomer classification were reflected in the panel data to explain the moderating effect in abundance. In other words, four panel customers were distinguish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heavy users vs. light users and steady users vs. erratic user (2×2) and the variance analysis of the above five components(A to E), differences in causal relationships (Alpha, Beta, and Gamma), and changes in the moderation effects (a1 to b3) were included in the model as shown in Figure 1. The different outcome prediction outcome for the four groups is presented in Figure 2 after the hypothesis was deriv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verify hypotheses 1, 2, and 3 assumed in this study. Among the loyalty, general loyalty to PB itself was include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the in-store PB loyalty and loyalty to specific PB products were includ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coefficient of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PB loyalty and in-store PB loyalty is .794 (t=52.211), the coefficient of relationship between in-store PB loyalty and loyalty to a particular PB product is .660 (t=35.079), and the coeffici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PB loyalty and loyalty to a particular PB product is .612 (t=29.532) a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loyalty depend on price orientation and quality orientation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hypotheses 4 and 5.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PB loyalty and in-store PB loyalty based on price orientation (.028) was statistical...

      • KCI등재

        산청 고령토산업 중소기업의 판로개척 전략: 낙우산업 친환경 페인트를 중심으로

        박진용,임지원,이라경,김상덕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7 지역산업연구 Vol.40 No.4

        Rapid environmental changes require the channel strategies by which the firm competes in business. The same applies to the paint industry. Contrary to large enterprises which have their own distribution channels,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are the ones whose channel strategy is a key success factor. From this background, the study tried to develop sugges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Lakwoo which was a small and medium sized firm in Korean paint industry. According to the analysis, differentiations in both product and channel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Lakwoo. In detail, Lakwoo has to differentiate its eco-friendly paint products by using Sancheong Kaolin and develop B2G, B2B, B2C distribution channel strategies for different customers. 최근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이에 부응하는 유통경로 전략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페인트산업도 판로 개척을 위한 장기전략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기존 판로가 확보된 대기업과는 달리 새롭게 판로를 개척해야만 하는 중소기업은 효과적인 판로개척 전략이 기업의성패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페인트 산업 중소기업인 낙우산업의 판로개척 사례를 분석함을 통해 중소기업 판로개척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페인트 산업을 둘러싼 국내외산업, 기술, 시장 환경 검토와 국내 유통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낙우산업은산청지역 고령토원료를 이용한 제품 차별화 전략, 성공적인 시장 진입 및 안착을 위해 B2G, B2B, B2C 경로별 차별적인 판로개척 전략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세부적인 전략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통업체 브랜드와 점포 충성도의 관계에서 채널 유형의 조절 효과

        정환(Hwan Chung),이라경(Ragyung Lee),박진용(Jin Yong Park) 한국유통학회 2020 流通硏究 Vol.25 No.3

        급속한 온라인 쇼핑으로의 전환, 다양한 소매업태의 등장 등으로 인해 경쟁이 치열해진 시장 환경 속에서 유통업체의 점포 충성도 제고를 위한 전략은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러한 필요에 대응해 기존 선행 연구는 유통업체의 점포 충성도 제고를 위한 그들 고유 상품인 PB의 역할에 관해 조사하였으나,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으며 조사 대상이 오프라인 채널에 국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유통시장에서 PB 구매비중이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영향이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구분되는 채널 유형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상이한 포지셔닝을 추구하는 이코노미 PB, 스탠다드 PB, 프리미엄 PB를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유통 업체의 점포 충성도 제고를 위한 PB의 역할에 관한 이해를 확대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대형마트 3사에서의 42개 FMCG 카테고리에 대한 고객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PB 구매비중이 점포 충성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그 영향이 오프라인 점포에 비해 온라인몰에서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세 등급 모두에서 PB 구매비중이 점포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 영향이 오프라인 채널에서는 비단조적인 역U자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온라인 채널에서는 단조적인 형태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소매업체 브랜드 자산이 인터넷 쇼핑몰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원 ( Ji Won Lim ),장기원 ( Zhang Qi Yuan ),이라경 ( Ra Gyung Lee ),박진용 ( Jin Yong Park )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17 유통물류연구 Vol.4 No.1

        최근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으로 소비자들은 구매행위에 있어서 가치 지향적이고 합리적인 구매를 좇아가게 되었고, 이러한 소비패턴의 변화는 유통업체 브랜드가 대형마트의 상품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는 변화를 불러왔다. 또한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인터넷 쇼핑몰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이러한 위기를 타파하고자 온라인 소매업체는 경쟁우위 전략 방안의 하나로 유통업체 브랜드를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오프라인에 비해 인터넷 쇼핑몰의 유통업체 브랜드는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측정은 유통업체 브랜드 평가와 소매업체 브랜드 자산이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매업체 브랜드 자산 속성이 유통업체 브랜드 평가와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가격은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위험은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매업체 브랜드 자산의 속성 가운데 소매업체 브랜드 연상과 소매업체 브랜드 충성도는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유통업체 브랜드 평가와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 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통업체 브랜드뿐만 아니라 소매업체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고, 나아가 마케팅 전략 및 유통업체 브랜드 성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due to the recession and inflation, consumers have pursued value-oriented and rational purchasing behavior, and this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 has led to the different phase in the proportion of private label brands in the merchandise composition of large-sized discount stores. Also, as the boundaries of on-line and off-line retailing are getting ambiguous, the competition among Internet shopping malls became seve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crisis, online retailers started to develop the private brand as one of the strategies of competitive advanta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nage private brands in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compared to store-based retailers. In this study, we surveyed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shopping private brand products at internet shopping mall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s of private brand product evaluations (price value and quality risk) and retailer`s house brand equity on attitude toward the private brand provided by the online retailers.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whether the attributes of retailers brand equ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 brand product evaluations and the attitude toward the private brand. As a result, perceived price has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private brand, and perceived risk in quality has a negative impact on it. Also, among attributes of retailer brand equity, association and loyalty of house brand positively affect attitude toward private brand, and these have a moder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s of and attitude toward private br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