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층구조적 분류모델을 이용한 심전도에서의 비정상 비트 검출

        이도훈,조백환,박관수,송수화,이종실,지영준,김인영,김선일,Lee, Do-Hoon,Cho, Baek-Hwan,Park, Kwan-Soo,Song, Soo-Hwa,Lee, Jong-Shill,Chee, Young-Joon,Kim, In-Young,Kim, Sun-Il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8 의공학회지 Vol.29 No.6

        The more people use ambulatory electrocardiogram(ECG) for arrhythmia detection, the more researchers report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algorithm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on't consider the un-balanced data distribution. Even in patients, there are much more normal beats than abnormal beats among the data from 24 hours. To solve this problem,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using 21 features was adopted for arrhythmia abnormal beat detection. The features include R-R intervals and data to describe the morphology of the wave. To validate the algorithm, 44 non-pacemaker recordings from physionet were used.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model with 2 stages on domain knowledge was constructed. Using our suggested method, we could improve the performance in abnormal beat classification from the conventional multi-class classification method. In conclusion, the domain knowledge base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s useful to the ECG beat classification with unbalanced data distribution.

      • KCI등재

        거리 영화의 전사 : 제이콥 리스의 19세기 뉴욕 빈민가 사진

        이도훈 ( Do-hoon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1 No.-

        이 연구는 거리 영화의 전사로서의 거리 사진에 관한 탐구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다양한 매체들과 함께 거리 사진은 근대 대도시의 삶을 재현했던 장르 중 하나이다. 특히 카메라를 활용해 대도시의 급격한 변화상을 찰나적으로 포착했던 거리 사진은 훗날 움직이는 영상으로 근대 대도시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을 두루 기록하게 될 거리 영화와 친연성을 맺고 있다. 다시 말해, 거리 사진은 거리 영화의 매체적, 사회적, 문화적 특징들을 예비하고 있었던 것이다. 거리 영화와 거리 사진의 친연성은 사진적 이미지라는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에 따르면, 사진적 이미지는 의미, 기호, 상징보다는 기억 및 역사와 관련이 있다. 그는 사진적 접근법을 리얼리즘적인 것과 조형적인것으로 나누고, 후자가 전자를 뒷받침하는 것을 가리켜 참된 의미에서의 사진적접근법이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사진적 접근법은 역사가가 역사적 사료에 접근할때의 태도와 유사하다. 크라카우어는 사진과 역사 모두를 철학의 형이상학적 세계 이전의 세계, 즉 `끝에서 두 번째 세계`로 묘사하면서 이 대기실과 같은 곳에서 현실과 역사의 물질성은 모두 복원되기를 기다리는 것으로 간주했다. 크라카우어에게 있어서 사진은 물질적 리얼리티를 포착하고 그렇게 포착한 이미지를 궁극에는 역사의 위치로 올려놓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사진적 이미지라는 개념으로 접근했을 때, 거리 사진은 대도시의 물질적 이미지를 포착하는 동시에 거리에서 찰나적으로 마주친 사건과 대상들로부터 우연성을 획득하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거리 사진을 대표하는 제이콥 리스의 경우, 그는 뉴욕 빈민가를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접근했다. 첫째, 그는 19세기 뉴욕을 지배하고 있던 박애주의적 그리고 도덕주의적 담론을 계승했다. 둘째, 그는 슬라이드 쇼 강의, 출판, 사진 촬영과 같은 사진적 실천을 통해 대중들이 빈민가의 참상을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그는 당시 막 발명되었던 플래시 라이트를 활용해 뉴욕 빈민가와 빈민들의 삶의 물질적 환경을 객관적으로 기록하였다. 근대 대도시의 삶을 시각화하고 그것을 대중들에게 경험적으로 제공했다는 점에서, 제이콥 리스와 그의 사진은 단연 거리 영화의 전사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street photography as pre-history of street film. Street photography with various medi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sup>th</sup> century is one of the genres that reproduced the life of the modern metropolis. In particular, street photography that captured the rapid change of metropolis by using camera, has affinity with street film that will record a bright and dark side of metropolis as moving image. In other words, street photography was preparing the media, social, and cultural feature of street films. The affinity of street film and street photography can be defined by the conception of photographic image. according to Siegfried Kracauer, photographic image are related to memory and history rather than meaning, sign, symbol. He divide the photographic approach as realistic and plastic, and called a photographic approach in true sense of the word that is the plastic approach support the realistic approach. This photographic approach is similar to the manner historians approach historical material. Kracauer considered both of photography and history as the world before the metaphysical world: the lasting before the last. he regarded that place as awaiting waiting the restoration of materiality both in reality and in history. For Kracauer, photography be in charge of functions that capturing physical reality and ultimately putting the captured images in the position of history. When approaching the concept of photographic image, street photography is art which capturing physical reality of metropolis and accomplishing chance from instantly encountering event and things in street. In the case of Jacob Riis, who represents American street photography, he had approached New York slums in three ways. First, he inherited philanthropic and moral discours that dominated New York in 19<sup>th</sup> century. Second, he helped the public visually experience the misery of the slum through photographic practices such as slide show, publishing and photography. Third, he objectively recorded the life of physical reality of New York slums and poor people by using flashlight which was just invented at the time. By visualizing the lives of modern cities and providing them with experience in the public, Jacob Riis and his photographs can definitely be regarded as one of the pre-history of street film.

      • KCI등재

        사유하는 영화, 에세이영화 -에세이영화의 이론적 접근을 위한 시론-

        이도훈 ( Lee Do Ho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에 관한 이론적 지형을 그리기 위한 시도이다. 문학의 에세이가 그러하듯이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은 장르적 실험, 주관성의 표출, 공적인 영역에의 개입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총 세 단계로 나누어서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본다. 우선, 문학적 에세이의 전통과 관련해 게오르그 루카치, 막스 벤제,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글을 검토한다. 이들은 에세이가 실증적인 학문의 전통에 반기를 들면서 저자의 사유를 형상화하는 작업으로 정리했다. 다음으로, 1940년대 에세이영화의 등장에 주목한 일부 비평가, 영화감독들의 논의를 살펴본다. 이들은 에세이영화가 지성의 보고이자 매개물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끝으로 1990년대 이후 에세이 영화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한다. 이 시기를 중심으로 에세이영화의 형식적 층위와 내용적 층위 각각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들이 불거졌다. 이처럼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의 전통, 출현, 발전과 관련된 논의들을 단계적으로 검토해나가면서 에세이영화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raw a theoretical ground for essay films. As with literary essays, the main features of essay films can be organized into genre experiments, presentation of subjectivity, and involvement in public domain. The body of this text divided into three steps to explore the main features of the essay films. First, consider Georg Lukacs, Max Bense, and T. W. Adorno’s writings on the tradition of literary essays. They explained the essays that configured author’s thought as they rebelled against the empirical academic tradition. Next, take a look at some of the critics and film directors who drew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1940s essay films. They expected the essay film to be the source and medium of intelligence. Finally, consider the arguments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an essay film after the 1990s. Around this time, the issues surrounding the formal and content layers of the essay film were raised. As a result, this paper aims to form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ssay movies as it examines the traditions,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essay films in stages.

      • 25.8㎸ 고체절연차단기(Solid Insulated Switchgear)에 대한 기계적 신뢰성(수명) 평가

        이도훈(Do-Hoon Lee),강원종(Won-Jong Kang),이석원(Seog-Won Lee),신철호(Chul-Ho Shin),김영근(Young-Geun Kim),이규철(Kyu-Chul Lee),이승엽(Seung-Yeup Lee),김호근(Ho-Keun Kim)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본 논문은 SF? 가스졀연차단기를 대체할 고체절연차단기 (Solid Insulated Switchgear:SIS)의 기계적 신뢰성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최근 제정된 “25.8㎸ 가스 및 고체절연 친환경 개폐장치” 한전 구매규격에는 “Epoxy 고체절연물에 대한 기계적 신뢰성(수명)이 25년 이상”임을 보증할 수 있는 신뢰성 데이터를 제출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있다. 이에 개발된 고제절연차단기의 Epoxy 고체절연물에 대한 기계적 신뢰성(수명)이 25년 이상임을 보증할 수 있는 신뢰성 시험과 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 KCI등재

        시리아 혁명과 참여 다큐멘터리: 디지털 영상의 제작과 전파를 통한 연대의 가능성

        이도훈 ( Lee Do Ho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시리아 혁명과 내전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상들을 참여적인 영상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영상들의 등장 배경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디지털과 인터넷을 중심으로 매체 환경이 변화하면서 대중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이용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생산에 참여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정치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열렸다. 시리아 혁명과 내전을 기록한 일련의 영상들은 혁명과 내전이라는 정치적 상황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이라는 기술적 상황에 힘입어 만들어졌다. 그 영상들은 제작의 동기, 목적, 주체 등을 고려했을 때, 시민 참여적인 영상, 액티비즘 영상, 다큐멘터리 영화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세 유형의 다큐멘터리 영상들은 제작 방식, 스타일, 서사에 있어서 몇 가지 분명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혁명과 평화를 염원하는 시리아 인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서 만들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The study defines documentary videos recording the Syrian Revolution and Syrian civil war as participatory videos and attempts t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such videos. As the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around digital and the Internet, there has been an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cultural production, to speech their own voice, to intervene politicall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or using media contents. A series of videos recording the Syrian Revolution and Syrian civil war were made on the back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revolution and civil war, and the technological situation of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spread of the Internet. The videos can be categorized into citizen-participatory videos, activism videos, and documentary films, considering the motivation, purpose, and subject of production. These three types of documentary videos have several obvious differences in process of producing, style, and narrative, but they are made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y the Syrian people who aspire to revolution and pea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