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동계고이의 편찬과 구조

        이대승(Lee Dae-seu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본 글은 주희의 참동계고이에 대한 연구이다. 본 글에서는 심도 있는 참 동계고이 연구를 위한 토대작업으로서 참동계고이의 집필시기와 편찬과 정, 참동계고이의 판본, 그리고 그 구조를 다루었다. 주희는 1186년(57세) 즈음부터 참동계에 이미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는 채원정과 함께 1196년부터 집필 작업을 시작하여, 1197년 말엽과 1198년 초엽 사이에 채원정의 아들 채연으로 하여금 1차 간행본을 출판케 한다. 그리고 주희는 이후 수정작업을 거쳐 1199년 봄에 정본을 간행한다. 주희 당시 간행된 채연본은 현재 통행되지 않으며, 현행본은 원대 황서절이 편집한 것으로서 경문과 주석의 문자에서 채연본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희의 참동계고이는 팽효의 참동계분장통진의를 바탕으로 다른 참동계 판본 들과의 비교·대조 작업을 거쳐 저술된 것으로, 그 구조는 다른 참동계 판본과 큰 틀에서 유사하다. This thesis is a foundation research for an in-depth study for Chantong qi kaoyi (參同契考異) of Zhu Xi and aims to examine the publication and structure of Chantong qi kaoyi. Zhu Xi was already interested in Zhouyi cantong qi (周易參同契) by 1186, his 57 years of age. He started to write Chantong qi kaoyi through a cooperation with Cai Yuanding (蔡元定) in 1196 and made Cai Yuan (蔡淵) publish the first version of Chantong qi kaoyi between end of 1197 and beginning of 1198. He published the formal edition of Chantong qi kaoyi in the spring of 1199 through an amending work with Cai Yuan. The edition of Cai Yuan does not pass on these days, and the current edition is the edition of Huang Ruijie (黃瑞節) on Yuan (元) dynasty, which is a little bit different with the edition of Cai Yuan. Chantong qi kaoyi was made by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Zhouyi cantong qi editions on the basis of Cantong qi fenzhang tong zhenyi (參同契分章通眞義) of Peng Xiao (彭曉). The structure of Chantong qi kaoyi is generally similar with the other editions of Zhouyi cantong qi.

      • KCI등재

        눈꺼풀에 발생한 유두상 땀샘낭샘종 1예

        이대승,김남주,박효진,정호경,곽상인,Dae Seung Lee,Namju Kim,Hyo Jin Park,Ho-Kyung Choung,Sang In Khwarg 대한안과학회 2012 대한안과학회지 Vol.53 No.7

        Purpose: To report a case of 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 that presented as an eyelid nodule. Case summary: A 37-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mass around the punctum in the right lower eyelid margin, which had developed several years earlier and was increasing in size. The mass was a light pinkish nodule consisting of a few smooth-surface papillary lobules. The pathologic findings of the specimen obtained from a shaving biopsy showed a papillary projection which was covered with epithelium and communication with duct-like structures showing glandular configuration in the deep portion of the lesion. EMA-positive cells were found at the invaginated epithelium, implying a glandular epithelial origin. GCDFP-15-positive cells were found in the deep portion of the lesion, implying apocrine differentiation. The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 Conclusions: 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a solitary eyelid tumor.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7):1023-1026

      • KCI등재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인의 서구 심리학 수용 -니시 아마네와 옌용징의 ‘mental philosophy’·‘psychology’ 번역을 중심으로-

        이대승 ( Lee¸ Dae-seung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이 글은 조셉 헤이븐의 Mental Philosophy(1857)에 대한 니시 아마네(西周)와 옌용징(顏永京)의 번역서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인의 서구 심리학 수용 양상을 탐색하였다. 동아시아에 최초로 번역된 서구 심리학서는 조셉 헤이븐의 Mental Philosophy이다. 이 책은 일본의 니시 아마네에 의해 『心理學』(1875~76)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된다. 이 책이 동아시아 최초의 서구 심리학 번역서로, 니시 아마네가 여기서 사용한 ‘심리학’어휘는 ‘psychology’의 번역어로 현재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그가 사용한 ‘심리학’은 본래 ‘심리철학’의 약칭으로서 ‘mental philosophy’의 역어이고, ‘性理學’이 ‘psychology’의 역어였다. 조셉 헤이븐의 책은 중국에서 옌용징에 의해 『心靈學』(1889)로 번역된다. 여기서 옌용징은 ‘mental philosophy’와 ‘psychology’를 모두 ‘심령학’으로 번역한다. 니시 아마네는 전통 유교 사상을 토대로 서구 심리학을 비교 해석하고 번역어를 선택한 반면, 옌용징은 선교사로서 신학을 지적 배경에 두고 서구 심리학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번역어를 채택한다. 니시 아마네와 옌용징의 방식은 수용자 혹은 번역자의 학적 토대에 따라 역어의 선택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니시 아마네 이후 일본에서는 근대 학문으로서 신심리학이 점차 보급되고 정착되는데, 그 과정에서 ‘심리학’이 ‘psychology’의 역어로 자리하게 된다. 중국에서는 19세기 말에 일본의 ‘심리학’ 용어가 수용되어 20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된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aspects of East Asians' acceptance of Western psychology in the late 19th century, focusing on translations of Nishi Amane and Yan Yongjing about Joseph Haven's writings, Mental Philosophy (1857). The first Western psychology book translated into East Asia is Joseph Haven's Mental Philosophy. The book is translated by Nishi Amane of Japan under the title Shinrigaku 心理學 (1875-76). This book is the first Western psychological translation of East Asia, where the term "心理學" is now widely used as a translation of "psychology". However, the term "心理學" used by Nishi Amane was originally an abbreviation for "Shinri philosophy 心理哲學", which was the term for "mental philosophy", "Senligaku 性理學" was the term for "psychology". Joseph Haven's book is translated into Xinling xue 心靈學 (1889) by Yan Yongjing in China. At this time, Yan Yongjing translated both 'mental philosophy' and 'psychology' into "Xinling xue 心靈學."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ideas, Nishi Amane compared and interpreted Western psychology and chose a translation. Yan Yongjing, as a missionary, put theology in an intellectual background and understood Western psychology and adopted an appropriate translation. The cases of Nishi Amane and Yan Yongjing show that the choice of the terms depends on the academic foundation of the acceptor or translator. After Nishi Amane’s Shinrigaku 心理學, psychology as a modern science gradually spread and settled in Japan, in which the term "心理學" became the accepted translation for "psychology." In China, the Japanese term "心理學" was accepted and widely used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팽효의 『분장통진의』 연구 (1)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5 道敎文化硏究 Vol.43 No.-

        본 글은 『참동계』 주석사에서 선지적인 역할을 한 당말오대 도사팽효와 그의『주역참동계분장통진의』(이하 『분장통진의』)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참동계』 저작자와 『참동계』 전승 계통 논쟁, 그리고 당대부터 송대까지 『참동계』텍스트의 유행 등과 관련하여 팽효와 그의 『분장통진의』가 갖는 의미를 살폈다. 『참동계』저작은 대체로 위백양, 서종사, 순우숙통 세 사람과 관련되는데, 당대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작자 1인설과 3인설, 그리고 전승계통은 위백양 중간설과 말미설 등 여러 설이 혼재해 있었다. 팽효는 갈홍설을 바탕으로 위백양 1인 저작설과 위백양-서종사-순우숙통 전승설을 제시하여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였다.『참동계』의 유행은 당대부터 당말 오대까지 연속성을 보이다가 북송시기와 남송 초기에 잠시 불연속적인 상황을 보인다. 이러한 불연속성은 남송 초 이후에 『분장통진의』가 알려지면서 점차 사라진다. 이후 『참동계』는 널리 유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주석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팽효본은 주석가들에게 가장 오래된 『참동계』주석본이자 저본으로 인식된다. 결국 팽효와 그의 『분장통진의』는 당대의 저자 논쟁을 위백양 1인 저작설로 정리하는 동시에, 당대본의 『참동계』 구성과 내용을 계승하여, 후대에 현행본 형태의 『참동계』가 안정적으로 전해지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Peng Xiao 彭曉 and his Cantong qi fenzhang tong zhenyi 參同契分章通眞義, especially to discuss the role of Peng Xiao performed in the argument about writers and transmission of Cantong qi, and the spreading of the text. As a result, relating writers and transmission of Cantong qi, Peng Xiao cleared the various opinions away before his period by suggesting next arguments: Wei Boyang 魏伯陽 wrote Cantong qi by oneself, and Cantong qi was handed down from Wei Boyang to Xu Congshi 徐從事 and next to Chunyu Shutong 淳于叔通. Relating the spreading of the text Cantong qi, it had a continuation from the Dang 唐 dynasty to the Shu 蜀 dynasty, but having a discontinuity from the North Song 北宋 dynasty to the early South Song 南宋 dynasty. These discontinuity was gradually disappear by the situation that the text fenzhang tong zhenyi became generally known. Finally, Peng Xiao and his fenzhang tong zhenyi could be evaluated that paly a important role in the argument about writers and the spreading of Cantong qi.

      • KCI등재

        「태극도」 연구의 새로운 탐색 -‘구「태극도」’의 존재와 의의를 중심으로-

        이대승 ( Lee Dae-se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본 글은 「태극도」 연구에 대한 새로운 탐색의 일환으로 『육경도』 등에 수록된 ‘구(舊)「태극도」’(‘역유태극도(易有太極圖)’)의 존재와 그 의의를 고찰하였다. 「태극도」는 주희에 의해 이학(理學)의 핵심문헌으로 선창된 이래로 다양한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특히 도상의 유래 문제는 송대 역학의 핵심 사안 중 하나다. 도상 유래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태극도’와 관련된 도상과 진단 계열 역학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돈이 「태극도」 이전에 있었다고 기록된 ‘구「태극도」’는 진단-범악창-유목 계열의 역학과 관련된 도상으로 주목된다. 이에 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태극도」는 송대에 「계사전」의 ‘역유태극’장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결과로 나타난 ‘역유태극도’로서, 진단 계열의 역학사상 일부를 보여준다. 연구의 축적과 검증이 좀 더 필요하지만, 구「태극도」는 진단-충방-목수 계열에서 전해진 도상으로서 주돈이 「태극도」 저술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히 열려 있다. 구「태극도」는 송대 도서학에서 ‘태극도’와 관련된 도상이자 진단 계열의 역학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As part of a new search for the study of ‘Taijitu,’ this article considered the existence of ‘Old Taijitu’ (‘Yiyoutaijitu’ 易有太極圖) in Liujing Tu and its significance. A variety of issues have been discussed since ‘Taijitu’ was spearheaded by Zhu Xi 朱熹 as the core literature of Lixue 理學. In particular, the issue of the origin of the diagram is one of the key issues of Yixue 易學during the Song Dynasty. In order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diagram,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on the diagram related to ‘Taijitu’ and the Yixue interrelated Chen Tuan. In this regard, ‘Old Taijitu’ recorded prior to Zhou Dunyi’s ‘Taijitu’ is noted for its Yixue interrelated the school of Chen Tuan - Fan Echang - Liu Mu. The results of this consideration are as follows. The ‘Old Taijitu’ is the result of a new interpretation of the ‘Yiyoutaiji’ 易有太極 chapter in on the Book of Changes in the Song Dynasty, showing some of the Yixue of the Chen Tuan school. Although the accumul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are more necessar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ld Taijitu’ was related to Zhou Dunyi’s ‘Taijitu’, which was led by the school of Chen Tuan - Chong Fang 种放- Mu Xiu 穆修. ‘Old Taijitu’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ushuxue 圖書學during the Song Dynasty, a design related to ‘Taijitu’ and a reference to the Chen Tuan line of Yixue.

      • KCI등재후보

        『周易參同契考異』 南九萬本과 「參同契吐註」 연구

        이대승(Lee Dae-se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장서각 Vol.0 No.27

        이 글은 『참동계고이』 남구만본과 남구만의 「참동계토주」에 대한 연구이다. 『참동계고이』 남구만본은 세 종류가 있지만 「참동계토주」의 유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남구만이 1673년에 주희의 『참동계고이』를 유염의 『참동계발휘』와의 합본에서 떼어 따로 간행한 것이며, 다른 둘은 제자 최석정이 남구만의 『참동계』에 대한 미완성 주해인 「참동계토주」를 『참동계고이』에 덧붙인 것으로 남구만 사후에 간행된 것이다. 남구만의 「참동계토주」는 소략한 미완성 저술이지만 현토를 단 경문과 상세한 주해가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가치를 지닌다. 그는 「참동계토주」의 경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주희보다는 다른 주석가들의 견해를 두루 참고하여 수용하였으며, 경문에 대한 해설에 있어서는 문자의 의미를 상세히 해석하고, 선배 성리학자의 글을 인용하며, 한의학적 사유로 인체의 건곤감리를 해석하는 등 유학자적 입장에서 상세히 해설하였다. 남구만은 『참동계고이』를 조선에 널리 유포시키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더불어 그의 「참동계토주」는 조선의 『참동계』 해석사에서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독자적인 위상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rgue the Nam Guman editions of Cantongqi kaoyi(參同契考異) and to discuss Chamdonggye tojoo(參同契吐註). There are three styles of the Nam Guman editions of Cantongqi kaoyi, but we can divide it into two styles by whether or not Chamdonggye tojoo is included. One was published by Nam Guman in 1673, which was bound together with Cantongqi fahui(參同契發揮) but was published as the separate book. Others were published by a disciple, Choi Sukjong, after death of Nam Guman, which were bounded together with Chamdonggye tojoo in one volume. Nam Guman's Chamdonggye tojoo is a short incomplete writing, but its worth is having detailed annotations and hyeonto. To determine the characters of the main text, he referred to several commentators rather than Zhu xi, and he explained the main text in detail from the view of Confucianism. We can say that Nam Guman contributed to widely spreading Cantongqi Kaoyi in Joseon Dynasty, and that his Chamdonggye tojoo has its own value in the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 of Cantongqi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위당 조선학의 본심감통론이 지닌 시대적 의미

        이대승(Lee, Dae-seung)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4 No.-

        이 글은 위당 정인보가 『조선고전해제』, 『양명학연론』 등에서 강조한 실심, 본심, 감통에 대한 논의를 중심 주제로 삼아,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정인보의 본심감통론이 지닌 시대적 의미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에 다카하시 도루(高橋亨)로 대표되는 일제 관학은 조선 유학이 고착성, 종속성, 정체성 등을 지닌다고 보고 이를 조선 망국의 원인으로 치부하였다. 정인보 역시 조선 유학을 비판하지만 그 대상은 ‘자사념(自私念)’을 가지고 ‘허(虛)’와 ‘가(假)’로 학문을 행한 이들이다. 더불어 그는 조선 후기에 실심・본심을 바탕으로 한 실학의 계파가 있다고 변론했다. 실심・본심론에 바탕한 정인보의 조선 유학 비판과 변론은 식민지배 정당성을 위해 이루어진 일본 관학의 논리를 타파하는 성격을 지닌다.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유학과 조선 민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이광수로 대표되는 당대 지식인에게 수용되어 내면화되었다. 이광수에게 조선은 천년 이상 정신이 정지된 무주체적 상태로서 조선인의 주체적 행위를 가능케 하는 것은 일본을 통해 유입된 신문명을 통해서였다. 정인보는 본심론을 통해 유학 자체 내에 개개인의 도덕 주체로서 양지, 즉 본심이 내재해 있음을 지적하고, 주체성을 잃고 무비판적으로 서구 문명과 일본의 식민담론을 받아들이는 이들에게 ‘본심의 환기’를 주문했다. 그의 본심론은 조선 유학과 조선인의 무주체성을 논한 이들에 대한 비판과 대응의 성격을 지닌다. 근대 동아시아는 서구 문명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민족주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양명학은 서구 근대 문명의 야만성에 대해 도덕을 제시하는 역할을 했다. 일본의 경우 다카하시 도루의 스승이었던 이노우에 데쓰지로(井上哲次郞)에 의해 양명학은 일본 신도의 국가 정신과 결합하여 일본양명학이 탄생했다. 정인보 역시 양명학자이자 민족주의자로서 조선 민족을 중시하는 시각을 제시하지만, 그의 감통론은 본심의 애틋함을 타자에게로 확장하는 것을 중시한다. 감통론에 바탕한 정인보의 사유는 타자와 전 인류에게로 열려있는 개방적 민족주의로서, 타자를 식민 대상으로 삼는 제국주의의 배타적 민족주의, 혹은 양명학을 이용하여 국가에 충효를 강요하는 충효군국주의에 대한 대응의 성격을 지닌다. 정인보의 본심감통론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유학망국론, 조선인 무주체성론, 일본의 충효군국주의 등에 대한 대응의 논리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meaning of the times in Widang Jeong In-bo’s the theory of Genuine Mind (本心) and Emotional Interaction (感通) in a special situation called Japanese colonial er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Japanese colonial era,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regarded Joseon-Confucianism as fixed, dependent, and identity, and dismissed it as the cause of the Joseon Dynasty’s collapse. Jeong In-bo’s criticism and defense of Joseon-Confucianism based on the theory of Genuine Mind have the character of breaking the logic of Japanese government administration made for the legitimacy of colonial rule. The negative view of the Japanese government study of Joseon-Confucianism and the Korean people was accepted and internalized by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Jeong In-bo’s theory of Genuine Mind has the nature of criticism and response to those who discussed the lack of subjectivity of Jason Confucianism and Korean people. Jeong In-bo’s thinking based on the theory of Emotional Interaction has the nature of open nationalism that is open to others and all mankind. His thinking have the nature of responding to imperialism’s exclusive nationalism that colonizes the other, or loyalty-militarism that forces loyalty to the state using Yang-ming studies.

      • KCI등재후보

        20세기 초 재중 한인 전병훈의 이상사회론

        이대승 ( Lee Dae-se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3 기독교철학 Vol.38 No.-

        This article analyzes the ideal society theory of Korean Jeon Byunghoon in China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Jeon Byunghoon develops a different new thought while being influenced by the modern Chinese Dathong Thought. Unlike the appeal of traditional Datong Thought and the progressive view of modern Daedong Thought, he believes that an ideal society that has reached the height of civilization will arrive within 200 years due to his view of time, view of history, and expectations for international circumstances. He presents the form of government an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ystems that should be equipped in an ideal society through the “World Unification Republican Government Constitution.” The “World Unification Republican Government” proposed as a form of ideal society government is based on Kant’s theory of permanent peace and is similar to the view of modern Chinese Datong Thought of Kang Youwei (康有爲). However, unlike Kang Kang Youwei, he is characterized by discussing the world government president as a life-long elected office and discussing the need for the morality of world government figures and the practice of Daoism. In terms of economy and society, Jeon Byunghoon emphasizes equality and welfare through power outages and equal production, which is in line with modern Chinese Datong Thought. However, the “Propriety-politics of the politics of the republican constitution Propriety-politics” proposed in terms of the political system is a unique reason for Jeon Byunghoon, whose political philosophical elements of the East’s Propriety-politics and the West’s republican, democratic, and constitutional are prepared. Jeon Byunghoon dreamed of a new ideal world through the preparation of political philosophy from East and West. He has an important philosophical significance in that he broke down the boundaries of “Chosun and Chinese,” “Tradition and Modern,” “Oriental and Western,” and planned “Beyond the Boundary” by preparing the thoughts of the East and the W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