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유학 시기(1888~1893)尹致昊의 中國ㆍ日本 인식과 그 특성

        이남희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2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Yun Chi-ho thought about China and Japan during his study in the United States (September 1888 to November 1893),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ereof. As for the data and methods for this research, the method of analyzing and reconstructing English diaries written during his study in the United States was taken. In the United States, Yoon Chi-ho encountered the 'race' problem and social evolutionary thinking. In that context, he came to look at China, Japan, and Chosun. Yun Chi-ho has been critical of China since he was in Joseon. As he saw the reality of China in person through studying in Shanghai, his sense of criticism deepened. However, in reality, China is likely to dominate Chosun. So he thought it would be better for Chosun to be ruled by Russia, the U.K., and especially by the U.K. than China. His belief was that then the suffering of the Chosun people would be reduced and various benefits could come to them. In front of a dark outlook, Yoon Chi-ho found one thing he could do. It was a mission to spread the gospel of Christianity in China. He became more familiar with Japan. He even said this: “If I had means to choose my home land at my pleasure, Japan would be the country. I don't want to live in China with its abominable smells nor in America where ra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hold their horrid sway, nor in Corea as long as its infernal government lasts. O blessed Japan! The Paradise of the East! The Garden of the World!” That doesn't mean that Yoon Chi-ho liked everything in Japan. He was very critical of Japanese customs that lacked universality, traditional religions and ideas that seemed to be close to superstition, and the peculiarities that Japanese Christians and Christians showed. In Yoon Chi-ho's view, at that time Chosun was far from the so-called 'civilization enlightenment' ('national state' and 'nationalism'). Chosun was despised and discriminated by China and Japan. Nevertheless, he believed that what supported his self-esteem and inner world was 1) individual qualities and ability, 2) ability to read, write, and speak in English, and 3) Christian faith. 이 글에서는 윤치호가 미국에 유학하는 시기[1888년 9월부터 1893년 11월까지]에 중국과 일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특성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자료와 방법으로는 미국유학 기간 동안에 작성한 영문일기를 분석, 재구성하는 방식을 취했다. 미국에서 윤치호는 ‘인종’ 문제에 부딪히게 되었으며, 사회진화론적인 사유를 접하게 되었다. 그는 그런 맥락에서 중국과 일본, 그리고 조선을 바라보게 되었다. 윤치호는 조선에 있을 때부터 중국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 상해 유학을 통해서 중국의 현실을 직접 보면서 비판의식은 한층 더 심화되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중국이 조선을 지배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그래서 중국 보다는 러시아나 영국, 그 중에서도 영국의 지배를 받는 것이 더 낫다고 보았다. 백성들의 고통은 줄어들고 여러 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어두운 전망 앞에서 윤치호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나 찾아냈다. 중국에 기독교의 복음을 전파하는 것, 즉 전도사업이었다. 일본에 대해서는 한층 더 친근감을 갖게 되었다. 그는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만약 내가 마음대로 ‘내 나라’를 정할 수 있다면 일본을 선택했을 것이다. 나는 지긋지긋한 냄새가 나는 중국이나 인종에 대한 편견 및 차별이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는 미국 또는 지긋지긋한 정권이 존재하는 한 조선에서도 살고 싶지 않다. 오, 축복 받은 일본이여. 동양의 낙원이여. 세계의 동산이여.” 그렇다고 윤치호가 일본의 모든 것들을 다 좋아했던 것은 아니다. 보편성이 결여된 일본의 풍속, 미신에 가까운듯한 전통적인 종교와 사유, 그리고 일본 기독교와 기독교인들이 보여주는 특이함 등에 대해서는 아주 비판적이었다. 윤치호가 보기에 당시의 조선은 이른바 문명개화[‘국민국가’와 ‘내셔널리즘’] 지향과는 거리가 멀었다. 중국과 일본으로부터 멸시받고 업신여김당하는 처참한 지경이었다. 그럼에도 그의 자존과 내면세계를 떠받쳐준 것은 1)개인의 자질과 능력, 2)영어로 읽고 쓰고 말할 수 있는 실력, 3)기독교 신앙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바람직한 모성: 20세기 초중반 미국 소아과학(Pediatrics)을 중심으로

        이남희 한국여성사학회 2020 여성과 역사 Vol.0 No.32

        This paper examines how pediatrics from the 1920s embarked to define and develop their own concept of “ideal” motherhood and the role of mother while establishing their own specialty as a medical discipline. To fathom the process, it deals with the professional journal articles of pediatricians during the time. Through this examination, it seeks for capturing the concept of ideal motherhood and mother’s role defined by pediatrics. Pediatrics, a new medical specialty established in the 1880s, emerged as a social-problem based discipline among medical specialties. Due to the convergence between the social reform movement a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medicin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pediatrics inevitably embraced the normative treatment of the healthy other than the ill includ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this expansion, professionals in pediatrics began involving in speculating and defining the concept of ideal motherhood as a sole nurturer of children. 이 글은 20세기 초 미국의 소아과학이 정신의학적 관점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규정된 바람직한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다룬다. 이를 통해 20 세기 중반부터 미국 사회의 특징으로 자리매김한 정신건강과 정신보건에관련한 담론이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실마리를 추적한다. 19세기중반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조직으로 시작된 의학 분과의 전문화와 세분화 과정은 19세기 말에 이르러 가시화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의 사회 개혁적 사고방식은 아동기에대한 시각의 변화와 맞물려 독립된 분과로서의 소아과학(pediatrics)의 탄생으로 귀결되었다.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소아과 의사인 벤저민 스팍(Benjamin Spock)은 정신분석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육아서를 출간하여대중적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태생적으로 사회문제를 기반으로 탄생한 의학 분과 중 하나로서 사회적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밖에 없는 본질적인특성을 보인 소아과학은 1920년대부터 정신의학과 심리학적 관점에 관심을기울이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 아동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넘어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 그리고 이로 인해 양육을 담당하는 어머니의 바람직한 역할 규정을 통해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이러한과정을 고찰하여 바람직한 모성이 의학의 영역에서 어떻게 규정되고 발달하였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Direct Electrical Probing of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on Surface by Aligned-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이남희,Minsu Ko,최인성,윤완수 대한화학회 201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4 No.4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RCA) of DNA on an aligned-carbon nanotube (a-CNT) surface was electrically interfaced by the a-CNT based filed effect transistor (FET). Since the electric conductance of the a-CNT will be dependent upon its local electric environment, the electric conductance of the FET is expected to give a very distinctive signature of the surface reaction along with this isothermal DNA amplification of the RCA. The a- CNT was initially grown on the quartz wafer with the patterned catalyst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ransferred onto a flexible substrate after the formation of electrodes. After immobilization of a primer DNA, the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was induced on chip with the a-CNT based FET device. The electric conductance showed a quite rapid increase at the early stage of the surface reaction and then the rate of increase was attenuated to reach a saturated stage of conductance change. It took about an hour to get the conductance saturation from the start of the conductance change. Atomic force microscopy was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to support the successful amplification of DNA on the device surface. We hope that our results contribute to the efforts in the realization of a reliable nanodevice-based measurement of biologically or clinically important molec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