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anada 서해(西海)의 Seismicity

        이기화,Lee, Kiehwa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78 자원환경지질 Vol.11 No.1

        This paper examines the seismicity of the offshore area of western Canada in the light of findings from a detailed study of an earthquake swarm which occurred in the area during November-December in 1971. The distribution of epicenters and focal mechanism solutions of a few main events suggest that the seismicity of the area may largely be interpreted in terms of plate interactions among the Pacific, Juan de Fuca, Explorer and North American plates. Differences between the patterns of seismicity along the transform fracture zones and at their junctions with the ridges were also observed.

      • KCI등재

        Coda 파를 이용한 경상분지에서의 Q값 추정

        이기화 한국지진공학회 1999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3 No.1

        In this study, coda Q has been determined by the single scattering model in the Kyeongsang Basin region using the decay of the amplitudes of coda waves on bandpass-filtered seismograms of local microearthquakes in the frequency range 1.5~18 Hz. Reported frequency dependence of Q is of the form $Q_C=Q_O^n$$(83.9{ll}Q_0{ll}155.9,;0.76{ll}n{ll}1.05$. Considering a model incorporating both scattering and intrinsic attenuation, and assuming that the attenuation is entirely due to the scattering loss, the minimum mean free paths are about 51~56 km and the coefficients of inelastic attenuation(${\gamma}$) are between 0.0093 and 0.0098 were found. Earthquake-station paths pass through the fault zone show high attenuation and strong frequency dependency compared to other ones. 이 연구에서는 단일 산란이론을 이용하여 경상분지에서 얻어진 국소 미소지진의 자료를 1.5-1.8Hz 사이의 주파수 영역에서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대역 통과 필터링을 g여 coda 파의 진폭 감쇠로부터 Q값을 결정하였다 Coda Q 값은 Qc=Q0 fn 형태의 주파수 의존 양상을 보여주며 Q0 값은 83.9-155.9 n 값은 0.76에서 1.05 사이로 나타났다 산란 감쇠와 고유감쇠를 고려하여 감쇠가 순전히 산란에 의해서만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최소 평균 자유경로를 51.-56km 이고 비탄성 감쇠계수는 0.0093-0.0098 로 나타났다 진앙과 관측소간의 경로가 단층지역을 지나는 것이 다른 경로를 지나오는 것보다 높은 감쇠와 강한 주파수 의존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10년간 추이: 1998-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이기화,정종운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4

        Metabolic syndrome(MetS) is the constellation of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is pres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 obesity increases. MetS is related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cent prevalence of Met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S and its components by sex, age, and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over 10 years. The MetS was defined using the age-modified criteria of the Adult Treatment panel III specified by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10 to 18 yea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Kro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n 1998(n=1487) and 2008(n=1014).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hyperglycemia in 2008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1998(both P<0.001) but the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hypertriglyceridemia and low HDL did not changed. The overall prevalence of Met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declined from 7.6% in 1998 to 3.8% in 2008(P<0.001). The prevalence of MetS decreased in both boys and girls(both P<0.05). The prevalence of MetS decreased in both 10-12 year olds and 13-15 year olds(both P≤0.01) but did not changed in 16-18 year olds. The prevalence of MetS was lower in 2008 compared with that in 1998 in normal-weight and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P<0.001 and P<0.01, respectively) but tended to decreased in overweight ones((P=0.075). In conclusion, the overall prevalence of Met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declined over 10 years which may be due to the decreased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hyperglycemia. 대사증후군은 인슐린비의존성 당뇨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이 군집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소아청소년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다. 소아청소년의 비만은 증가하고 있으며 대사증후군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국내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의 최근 유병률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각 구성요소의 10년간 변화를 분석하고 성별, 연령별 및 비만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변화를 조사하는데 있다. 1998년과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가한 만 10-18세 소아청소년 1487명과 1014명을 각각 대상으로 수정된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III 기준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을 정의하였다.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유병률의 변화를 살펴보면, 고혈압과 고혈당의 유병률은 1998년과 비교하여 2008년 유의하게 감소한(모두 P<0.001) 반면 복부비만, 고중성지방과 저HDL콜레스테롤의 유병률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남녀 전체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998년 7.6%에서 2008년 3.8%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성별로 비교하였을 때 남녀 모두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모두 P<0.05). 각 연령별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0-12세와 13-15세에서 모두 1998년과 비교하여 2008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모두 P≤0.01), 16-18세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정상체중아와 비만아 모두에서 2008년 감소하였고(각각 P<0.001과 P<0.01), 과체중아의 경우는 감소하는 추세가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75). 결론적으로 한국 소아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은 최근 10년간 감소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구성인자 중 고혈압과 고혈당의 유병률이 감소한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 제주도 해안지역의 전기비저항 탐사

        이기화,김형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4 지하수환경 Vol.1 No.1

        제주도 해안지역에서의 지하 비저항 구조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으로 곽지리 지역과 신풍-신천리 지역에서 수직 및 수평 전기 탐사가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이 지역들의 지전기적 구조는 수리지질학적인 구조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지하의 비저항구조의 파악은 지하수 수급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해안 지역에서 얻어진 전기 탐사의 결과는 비록 지역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지하심부로 내려갈수륵 그 비저항치가 감소하는 현상, 평균해수면 부위의 비저항치가 대부분 지하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층의 비저항치를 나타내는 현상, 그리고 지하의 저 비저항대가 보고된 지하수위와 매우 좋은 상관을 보인다는 점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전기 탐사 연구를 통해 제주지역 지층의 비저항을 다음과 같은 몇 개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지하수에 포화되지 않은 지층의 비저항은 1000 ohm-m이상이며 지하 담수에 의해 포화된 지층의 경우는 수백 ohm-m 정도로 간주된다. 또한 해수에 의해 포화된 지층의 비저항은 수십 ohm-m정도의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제주지역의 지하 비저항 분포는 지표의 지질보다는 주로 지하 지층의 수리적 특성과 지하수의 성분 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Electrical soundings and mapping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geoelectrical structures of the local area of Cheju Island. The areas of the electrical surveys are coastal areas of Cheju Island, Gwagji, Sinpung-Sincheon. Generally, the geoelectrical structures of these areas are closely related with hydrogeological structures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lucidate the geoelectrical structures for the water supply problems. Even though the results of electrical surveys in coastal areas of Cheju Island differ from place to place, there exists a general tendency of resistivity decrease with depth and the zone in the vicinity of mean sea level has low resistivity value. Also, there is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low resistivity zone and the ground water distribution in the survey areas.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enabled resistivities of the rocks in Cheju Island to be divided in some categories. The resistivities of rocks unsaturated with ground water are greater than about 1000 ohm-m. The rocks saturated with fresh water have the resistivity value of about few hundreds ohm-m. Last, the rocks saturated with saline and/or brackish water have the resistivity value of about few tens ohm-m. The subsurface resistivity distribution of Cheju Island seems to be strongly dependent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rocks, and the amount and the salinity of the ground water in the rocks rather than the surface geology of the area.

      • KCI등재

        전봉준의 가계와 태생설에 대한 재조명

        이기화 동학학회 2004 동학학보 Vol.8 No.-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은 民權 民生의 바탕 위에 우리 민족의 자주의식과 자주독립의 정신적 근간을 이루고 人權 및 자유의 존엄 성을 일깨워준 이 나라 최초의 민권운동이며 농민을 위주로 한 민중 항전으로서 새 역사 창출의 민족적 몸부림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엄청난 역사적 혁명을 주도했던 전봉준의 태생 과 성장에 대해서만은 그동안 여러 설이 분분한 채 혼미일색이었다. 더욱이나 황토현전적 등 古阜 지역이 당시 역사의 현장이 되고 보 니 전봉준도 역시나 고부 사람일 것이라는 보편적인 推論에 의해 근 래에까지 그렇게 여겨져 왔었으나, 이에 반해 高敞 堂村 태생설이 또한 東學史의 기록에서까지 끈질기게 제기되고 있어 이곳에 살고 있는 향토사가의 입장인 필자로서는 고창문화원장을 맡게 된 1963 년이래 수십년동안 이 문제에 관심을 집중하면서 전봉준의 태생설 규명에 혼신의 정을 다해왔었다. 물론 전봉준은 결과적으로 역적행위의 중심인물이 되고 있어 三族 을 멸한다는 당시의 제도적장치하에서는 그 입증자료가 後事가 두려 운 주변사람들에 의해 철저하게 인멸해버리는 습례가 있어 증거확보 가 극히 난감한 현실임을 간파하게 된 필자는 전봉준의 인적사항 흔 적을 찾는 방법으로 그가 생존시에 간행된 족보기록에 초점을 두어 이에 주력을 다한 결과 丙戌譜(1886년 간행)를 찾아내고 壬戌譜 (1862년 간행)의 간행사실을 확인하게 되어 우선 확보된 병술보의 기재사실을 근거로 고창 당촌 태생설을 전국향토문화연구발표회 (1989. 10. 26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강당)에서 발표함으로써 이후 전봉준의 당촌 태생이 확실시되었는데, 지난 2003년 12월 19일 정 읍에서 실시한 「동학농민혁명 정신선양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통해 우윤(전주역사박물관장)의 「전봉준장군 출생지 정립」논문에서 전봉 준은 고부 南部面 鎭長門下 次福里 근처에서 출생하여 유년기에 고창 당촌으로 이주하였다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됨에 그동안 평생을 발로 뛰어 현장조사 위주로 고창 당촌 태생설을 주장하였던 필자는 1980년에 기히 확인해 둔 임술보의 기록 제시를 근거로 하여 확고 한 고창 당촌 태생설을 재 규명 해내고자 2004년 10월 6일 고창청 소년수련관에서「동학농민혁명과 고창과의 관계정립을 위한 학술회의 」를 통해「전봉준의 가계와 태생설에 대한 재조명」의 논문으로 아래 와 같이 고창 당촌 태생임을 재조명한다. The Donghak Peasantry Movement in 1894 was the first people's right movement which wakened korean people to the idea of independence and human right. But we have very little knowledge of the birth and growth of Chon Pongjun, the leader of this movement. Since main field of the Donghak Peasantry Movement was Kobu, so most studies supposed that Chon Pongjun was born in Kobu. But, we can find some description which expalins that Chon Bongjun was born in Kochang Dangchon in Donghaksa (history of Donghak). Chon Bongjun was executed as a traitor, most of documents concerns about him were eliminated. So I analyzed the genealogical table of Chon clan in 1886 (Byeongsulbo, 丙戌譜) which indicates his born place is Kochang Danchon. Then I found the genealogical table of Chon clan in 1862 (Imsulbo, 壬戌譜) which shows he had been born in same place. By these two documents, I can conclude Chon Bongjun's native place was Kochang Danchon, despite many other theories concerns thi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