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외 건축 설계 스튜디오 사례분석을 통한 메타버스 활용 방법에 관한 연구

        이근혜,박은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VID-19 Pandemic has influenced our daily living, and the studio practice in architectural education, whi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has had to change its pedagogical method to online. For this, many universities attempt new educational methods, using the metaverse environment in their architecture design studio. The purpose of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new educational method for the architecture design studio by analyzing architectural design studio cases using the metaverse environment.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programmes for architectural design using the metaverse, and discuss new directions for architectural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o-based architectural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Metho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t examines representative element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s in traditional education to explore students’ practice and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each stage of the design process in the studio.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concept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environm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prior research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metaverse in the educational field. Thirdly, it focuses on various cases of architecture design studio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using metaverse platfor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avers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method used at each stage of the design process. For this, this paper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primary direction for studio-based architectural education that actively utilizes the metaverse environment. (Resul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method of architecture design studios using the metaverse environment through case analysis,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Metaverse environment can be accessed without physical restrictions, and various reviewers as well as instructors and students can participate and collect their opinions. Secondly, the game platform provides environments where all design processes are carried out in an online space, and it also provides immediate modifications through real-time feedback. Thirdly, VR, AR can be used to evaluate the results in the later stages of design or for presentation purpose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ey can play a role in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pace by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Conclusions)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new educational method f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s by analyzing case studies using the metaverse environment.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is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and compare the educational methods and usage programs used by various design studios. (연구배경 및 목적) COVID-19 팬데믹은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미쳤고, 오랫동안 사용해오던 대면 중심의 스튜디오 기반의 건축교육 방식도 온라인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을 겪었다. 이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몇몇 대학에서 메타버스 환경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의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메타버스 환경을 활용한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사례분석을 통해 건축 설계의 새로운 교육방법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건축 설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한 국내ㆍ외 스튜디오 기반의 건축교육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건축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의 새로운 교육 방향에 대한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스튜디오 기반의 교육 방식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건축교육의 기본 요소 및 변화에 대해 고찰을 통해 스튜디오 기반의 건축교육의 대표적인 요소에 대해 논의하고, 디자인 스튜디오의 단계별 교육 과정에 관해 고찰한다. 둘째, 문헌 조사 및 선행조사를 통하여 메타버스 공간의 개념 및 다양한 특징을 조사하여 교육 영역에서의 메타버스 활용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국내·외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설계의 각 단계에서 사용된 메타버스 환경, 설계 운영 방법 및 스튜디오에 적용된 메타버스 환경별 특성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스튜디오 기반의 건축교육에 대한 기초적 방향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결과) 본 논문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환경을 활용한 설계 교육 운영방식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환경은 물리적 제약 없이 접속 가능하며, 교수자와 학생뿐 아니라 다양한 심사자가 참여하여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둘째, 게임 플랫폼의 활용은 설계의 모든 프로세스가 메타버스 환경인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바로 수정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함을 확인했다. 셋째, VR, AR 등은 설계 후반 단계인 결과물을 평가하거나 프리젠테이션 용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증강현실의 몰입적 경험을 제공해주어 학생들의 공간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역할을 함을 확인했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활용한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사례분석을 통해 새로운 건축 설계의 새로운 교육방법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향후 다양한 설계 스튜디오의 교육 방식 및 사용 프로그램에 관해 추가 분석하고 비교를 통해 보완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 발거에 의한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이근혜,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Lee, Keun-Hye,Nam, Dong-Woo,Kim, Hyun-Jung,Kim, Young-Jin,Nam, Soon-Hye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매복은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인식할 만한 맹출로의 장애물이나 잘못된 치배의 위치로 인하여 치아의 맹출에 진전이 없는 것을 말한다. 제 3 대구치와 상악 견치를 제외하고 제 2 소구치에서 가장 흔히 매복이 발생하며, 소구치의 매복은 전체 매복의 0.5%를 차지한다. 소구치 매복의 치료에는 교정적 견인과 외과적 재위치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만기 잔존된 유구치에 의해 발생한 소구치 매복은 유구치의 발거 및 공간 유지로서 소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제 2 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를 발거하고 공간 유지를 하여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시도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와 연관된 매복된 제 2 소구치는 유치 발거를 통한 최소한의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 2 소구치가 맹출할 때까지 적절한 공간 유지와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 3. 교정적 견인 또는 외과적 재위치를 시도하기 전 치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4. 치근이 미완성된 치아에서 좀 더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mpaction is defined as the cessation of the eruption of the tooth caused by a clinically or radiographically detectable physical barrier in the eruption path or by the ectopic position of tooth germ. Besides the third molars and the maxillary canines, the most common impacted tooth is the second premolar. The overall frequency of premolar impaction has been reported to be 0.5%. In some cases, orthodontic traction and surgical repositioning may be indicated. When impacted second premolar is involved with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extraction of primary molar and space maintenance lead to eruption of second premolar. In these cases, all patients visited t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 chief complaint of unerupted second premolar. Extraction of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and space management are tried for spontaneous eruption of impacted second premolar too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impacted second premolar is involved with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minimal treatment via elimination of primary molar leads to successful results. 2. Proper space management and periodic radiographic examination are required before eruption of second premolar. 3. Sufficient time must be allowed for confirm of tooth movement before orthodontic traction or surgical repositioning. 4. The result is more successful in incomplete root development.

      • KCI등재
      • 면역알고리즘을 이용한 오델로 게임전략 탐색

        이근혜(Keunhye Lee),강태원(Taewo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기존의 연구 논문 중 비결정론적인 알고리즘인 유전자알고리즘이나 인공신경망 등을 오델로 게임에 적용하여 자동학습을 시킨 예는 많으나 면역알고리즘을 오델로 게임에 적용한 예는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생리학의 면역시스템의 특징을 그대로 적용한 면역알고리즘을 오델로 게임에 적용하여 게임전략 생성에 관하여 연구한다, 생리학의 면역시스템은 자기조절능력이 있다는 것과 재 감염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면역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탐색된 전략을 유전자알고리즘 그리고 기존에 연구되어진 게임전략 등과 실험하여 그 결과를 비교·연구한 결과 면역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탐색된 오델로 게임전략이 가장 높은 승률을 보인다.

      • 이동에이전트를 이용한 병렬 프로그램 구현

        이근혜(Keun-Hye Lee)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09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4 No.4

        In this research, we implement parallel programs under parallel computing environment using mobile agents which are models to utilize idle hardware based on the internet connection. We measured the execution time of the programs and analyze the performance with C and JAVA in different operating systems. We concluded that mobile agent programming models are very useful to calculate large amount of computing.

      • KCI등재후보

        한국인과 한국계 미국인간의 측모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이근혜(Keun-hye, Lee) 대한치과의사협회 2009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 preference to the esthetic profile between Korean women and Korean American women. The interviewee were consisted of 30 Korean women and 30 Korean American women respectively. The survey has been done by using questionnaire. Altered facial profile of each normal male and female was got by moving maxilla, mandible to the front and back to survey the preference among the various profile. Then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Korean women, in choosing the men’s profile, 9 people out of 30, picked the standard profile as a most preferred profile, and bimaxillary retrusion and bimaxillary protrusion profile were followed by 6 people and 5people respectively. 2. In Korean American women, in choosing the men’s profile, the 18 people out of 30, pick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preferred profile, and the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3. In Korean women, in choosing the women’s profile, 18 people out of 30, picked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beautiful profile, and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by having 10people’s voting. 4. In Korean American women, in choosing the women’s profile, the 14 people out of 30, chose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best one and the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by 12 people’s voting. The preference of men’s profi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5) but the both group picked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beautiful when they choose the women’s profile and the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 KCI등재

        영국 주거공간의 피난안전 기준에 관한 연구

        이근혜(Lee, Keunhye),김용성(Kim, Yong-S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0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fire safety and the means of escape in the realm of interior space, particularly in dwellinghouses in order to build the standard of institutional regulations and design plans in Korea. For this,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regulations on the means of escape in the dwelling space in the UK. Fires in residential spaces account for 25% of the country’s total fires and over 40% of all casualties. As a part of methods to reduce casualties, a re-examination of the fire safety is necessary, and the social safety net must be established through proposals for improvement of the standards of the escape route in dwellings. The documentation of fire safety, such as Approved Document B, Building Act and Fire safety in purpose-built blocks of flats provide a specific regulation on fire safety in dwellings in the UK. The standards were classified into housing and apartments. Fire alarm, the details of horizontal and vertical escape rout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stairs were investigated. Therefor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supporting the Korean escape route used as a framework that can improve the current regulation of the fire safety and solve various problems that occur in the interior construction on fires and regulations in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