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조선 바다 조사에 대한 서지학

        이근우,RHEE, KUNWOO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3

        1890년대부터 1900년대에 걸쳐서 일본은 여러 차례 조선의 바다를 조사하였다. 그 조사결과물로는 "조선통어사정"(1893) "조선국원산출장복명서"(1895) "조선수로지"(1894) "조선어업협회순라보고"(1898~1900) "한해통어지침"(1903) "한국수산지"(1908~1911)를 들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조사들이 100년 이전에 이루어진 것이지만, 당시 조선의 어업 상황은 물론이고 연해지역 주민들의 생활상을 소상히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한국수산지"는 전 4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연해의 수산물을 비롯하여 조선의 역사와 문화와 관련된 내용도 적지 않다. 특히 연해 마을의 인구,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 어선과 그물 수까지 파악하고 있다. 수산학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미 린네 이후의 근대적인 수산물 분류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당시의 분류는 현재의 분류와 다른 점도 적지 않아서 동식물 분류학의 관점에서도 흥미로운 자료라고 할 수 있다. From the 1890s to the 1900s, Modern Japan investigated the sea of Korea (Joseon Dynasty) several times. The records of investigation result were "Fishery Circumstances of Korean Sea"(1893), "Official Trip Report on Wonsan Area of Korea"(1895), "Nautical Publication of Korea"(1894), "Patrol Reports of Korea Fishery Association"(1898~1900), "Fishery Guide for Korean Sea"(1903) and "Chronicles of Korea Fisheries"(1908~1911). Although these surveys were conducted more than 100 years ago, they provide a glimpse into the fishing situation of Korea as well as the lives of residents in the coastal areas. In particular, Chronicles of Korean Fisheries is a vast collection of four volumes, and it has much to do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including marine products from the coastal waters, the population of coastal villages,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in fishing, and the number of fishing boats and ne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studies, the modern classification of marine products after Linne has already been applied, and the classification of those day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ent classification, so it can be said to be an interesting data from the viewpoint of animal and plant taxonomy.

      • KCI등재

        석보상절의 간행과 정음청의 역할

        이근우(Rhee Kunw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구텐베르크의 42행 성경과 석보상절은 모두 1450년 경에 금속활자로 인쇄된 종교 관련 문헌으로 여러 가지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석보상절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석보상절의 편찬과정, 간행 시기나 간행 장소 등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대립되고 있다. 특히 간행시기와 관련하여 편찬이 완료된 직후인 1447년 혹은 1448년 경까지는 간행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해 왔으나, 1450년까지도 금내(禁內)에 설치된 정음청(正音廳)을 중심으로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의 인쇄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기록들이 있다.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을 간행하는 역할을 맡은 정음청은 세종이 설치하였으며, 그 산하에 책방(冊房), 조각방(雕刻房), 화빈방(火鑌房), 묵방(墨房)이라는 하부 조직이 있었다. 또한 인판장인(印板匠人)과 장책서원(粧冊書員) 등 책을 인쇄하고 제본하는 인력이 배치되어 있었다. 조직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규모도 컸던 정음청은 불경을 인쇄한다는 사실과 환관 등이 간여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단종 즉위년에 폐지되었다. 석보상절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3종류의 새로운 활자가 필요하였는데, 이는 정음청과 그 부속기관에서 주조하였고, 책방은 활자와 먹 그리고 세종이 제작을 지시한 印經紙를 이용해서 석보상절을 인쇄하였다. 석보상절 간행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을 주도한 것은 수양대군이다. 석보상절을 간행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우리말과 한자 음가를 나타내기 위한 활자들은 방점과 일부 모음에서 둥근 점을 사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활자는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사리영응기에서만 사용되었고 그 이후에는 전혀 쓰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활자들은 만들어진 장소와 시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정음청자(正音廳字)라고 부를 수 있다. Gutenberg s 42-line Bible and Seokbosangjeol(釋譜詳節, The Precise and Concise Biography of Sakyamuni), were both printed in metal type around 1450 s and have many commonalities in religious literature. So far, despite its great importance,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compilation process, publication director, publication period, publication place, etc. Seokbosangjeol has been recognized to be published in 1447, shortly after the book was compiled or 1448 at least. But the printing of Seokbosangjeol had been carried out at the Office of Correct Sound(正音廳) around 1450. The Office was set up by King Sejong, which had several sub-organizations called Book Room, Sculpture Room, Type Casting Room and Ink Stick Room, and manpower printing and bounding books belonged to the Office of Correct Sound. Three new types of type, needed to print Seokbosangjeol, were also made at the Office of Correct Sound and the ssub-organizations, and Book Room printed the literature with types and ink. Prince Suyang led the series of works related to Seokbosangjeol publication. The types in Seokbosangjeol and,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rounded dots to express the tone of Chinese characters and some Korean vowels, were only used in Seokbosangjeol, Songs for the Buddha s Moon Reflected on Thousand Rivers(月印千江之曲) and A Record of the Spiritual Response of Sarira(舍利靈應記). Therefore, these types can be called types of the Office of Correct Sound.

      • 분산분석을 이용한 저작자 진위 추정

        이근우(Rhee KunMoo),이근무(Rhee KunWoo)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1

        본고의 목적은 현재 논쟁이 되고 있는 화랑세기(花郞世紀) 등 고대사 저술의 진위를 판단하기 위해 통계적 검증을 시도하고 그 저자 진위를 추정해 보는 데 있다. 이런 통계적 검증에 의한 진위 판별의 전통은 세익스피어 작품의 진위논쟁 등 세계적 관심이 되는 것에서부터 정치적 사건 및 개인의 송사에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 글에서도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저작자의 진위를 추정해 보았다.

      • KCI등재

        記事의 시작에서 古事記․日本書紀로

        이근우(Rhee, Kunw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0 No.2

        일본 최초의 記事는 이나리야마 철검 명문에서 찾을 수 있다. 명문은 장도인의 우두머리로 대왕에게 봉사한 근원을 기념하기 위하여 8대에 걸친 계보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계보의식은 왕실의 역사서인 帝紀와 호족들의 기록인 舊辭로 연결된다. 6세기에 성립되었다고 하는 제기와 구사는 古事記와 日本書紀의 원사료로 여겨 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이 문헌들의 성립시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있다. 아 울러 고사기ㆍ일본서기와 天皇記ㆍ國記의 관련성이 간과되어 왔다. 을사의 변 과 정에서 천황기는 소실되었다. 그러나 국기는 天武의 형이자 후에 天智가 된 中大兄 황자에게 전해졌다. 672년의 을사의 변을 통하여 권력을 장악한 천무는 계보의 혼 란을 정비하고 호족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새로운 역사서를 편찬하고자 하였으나, 천황기는 소실되었다. 그 결과, 천무는 국기로부터 천황 및 호족의 계보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할 수밖에 없었다. 제기는 완성된 문헌이 아니라 천황가와 관련된 내용 을 표현하는 용어였을 뿐이다. We can find the first Japanese historical description in the inscription of iron sword discovered from Inariyama tomb. It described the lineage of eight generations to memorize the origin of serving the king as the top(首) of guardian(杖刀人). The lineage consciousness like this links to Teiki(帝紀) which is the historiography of royal family and Kyuji(舊辭) which is the document of powerful families. Teiki and Kyuji,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in the 6th centuries, are regarded as the original material used for the compilation of Kojiki and Nihonshoki. But the completion time of these books are questioned now.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jikiㆍNihonshoki and Tennogi(天皇記)ㆍKokki(國記), established until 645 A.D., are ignored. During the Ossi disturbance(乙巳變), Tennogi was reduced to ashes. But Kokki was saved and delivered to prince Nakanooe(中大兄), who was the elder brother of king Tenmu(天武) and became King Tenchi(天智) later. Tenmu, gripped the power through the Jinsin turbulance in 672, tried to compile a new historiography to put in order the confusion of lieage and to restrain the powerful family, but Tennogi was missing. As the result, Tenmu cannot but extrac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lineage and powerful families linege from Kokki. That is to say, Teiki was not the completed document but the idiom express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lineage.

      • KCI등재
      • KCI등재

        언문과 훈민정음의 성립시기에 대하여

        이근우(Rhee, Kunwoo)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5 No.-

        This paper insists that the invention time of Eonmun (諺文) and Hunminjongeum(訓民正音, The Othophonic Alphabet for the Instruciton of the People) were different. The records related with the invention time of Eonmun and Hunminjongeum are not concordant. In the Memorial Epitaph for Sejong says Hunminjongeum was invented in 1446. From Dec. 1443 to Sept. 1446, except the article of Dec. 1443 in Joseon Chronicles, only the term of Eonmun was used frequently and that of Hunminjongeum was never used. Usually Eonmun Office and Hunminjongeum Office are regarded as the same institution. But it is only the result of preconception. Eonmun Office was established in July 1444 at the latest and abolished in 1506. But Hunminjongeum Office became problem from 1450 and was closed in 1452. The location of two offices were also different. The former located in the outside of Forbidden Residence in Kyongbok Palace, but the latter was in the Forbidden Residence. The author of Eonmun Alphabet in Hunmongjahoi(訓蒙字會) written by Choi Sejin is not yet definitely settled. To this day, we have thought mainly in two different ways. One is to regard Choi Sejin as the author of Alphabet, the other is to regard King Sejong as that of Alphabet. Already Kang(2014) clarified that Sejong must be the author of Alphabet. Additionally this paper is enforcing his view by the Chinese characters used for naming alphabets. Nearly half of those Chinese characters were not loaded in Hunmongjahoi, and some characters like as 其(끠) · 池(띵) · 時(씽) · 治 (띵) · 皮(삥), were voiced sound. If Choi Sejin were the author of Alphabet, he could select the characters loaded in his own book and also he could not choose the voiced sound characters. From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for naming Eonmun Alphabets, the possibility of Choi Sejin being the real author can be estimated as very low. As the result, the invention time of Eonmun and Huminjeongum is still controversial, and Eonmun Alphabets seems to have the original form of the invention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