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효유에서의 단백질 분석 방법의 비교

        이광희,추영란 대구보건대학 1994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4 No.-

        A study was presented of the masurement of protein in fermented milk with the Folin reagent and with coomassie brilliant blue G 250. Inoculated skim milk was estimated in pH and protein concentration each 3hrs. Protein concentrations by lowry method were shownd various change and by braford method lower gradually. It seems that the protein concentration in fremented milk are influenced strongly by protease activity. The adventage of braford method is the simplicity and rapidity, but coomassie blue do not react with free amino acid and very small peptide.

      • KCI등재

        수술 후 국소 재발한 유방암의 초음파 소견

        이광희,신정희,한부경,강석선,한수연,고은영 대한영상의학회 2009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0 No.3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sonographic findings of recurrent breast cancer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mastectomy or breast conserving surgery (BCS). We also wan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recurrent cancer that’s detected on follow up sonography onl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87 patients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and who were operated on during the previous 10 years. We analyzed the method of detection and the sonographic appearance of tumor, including the location, size, shape, margin, internal echogenicity and BI-RADS categories, in 52 patients who had abnormal sonographic findings. We compared the sonographic findings of the recurrent cancer between the patients who underwent mastectomy and the patients who underwent BCS. We also analyzed the characters of the recurrent cancer that was only detectable on follow-up sonography. Results: Among the 87 patients with recurrent breast cancer, 37 patients had undergone previous mastectomy and 50 patients had undergone previous BCS. The most common mode of detection was a palpable mass on physical examination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mastectomy (64.9%, 24/37) and the most common mode of detection was the follow-up sonography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BCS (40%, 20/50). The sonographic appearance of the recurrent cancer was similar for both the patients who underwent mastectomy or BCS. The most common locations were the breast parenchymal layer in 82% (36/44)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BCS and the subcutaneous fat layer of the operated area in 67% (14/21)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mastectomy. The type of recurrent cancer detected on sonography only was small nodules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BCS, and that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mastectomy was nodules, regardless of size, that were located in the deep muscle layer. Conclusion: Recurrent breast cancer, regardless of size, was frequently detected on a physical examination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previous mastectomy, and this was detected on sonography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with previous BCS. Follow up sonography was valuable to evaluate for tumor recurrence after breast cancer surgery, and this detected 16% (6/37), 28% (14/50) of the recurrent cancers that were otherwise occult tumor. 목적: 유방 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와 유방보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재발한 암의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 추적 초음파 검사에서만 발견된 재발암의 특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근 10년 동안 본원에서 유방암 수술 후 국소 재발암으로 재수술을 시행 받은 8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재발암이 발견된 경위를 조사하고, 이중 초음파에서 종괴가 발견되었던 52명의 병변의 위치와 크기, 모양, 경계, 내부의 에코, 그리고 BI-RADS 분류를 분석하였다. 유방 전절제술과 유방보존술을 받았던 환자군 간에 초음파 소견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초음파 검사에서만 발견되었던 재발암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재발암 87명 중 37예는 유방 전절제술을, 50명은 유방보존술을 시행 받았다. 37예의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재발암은 만져져서 발견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64.9%, 24/37), 50명의 유방보존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중 재발암은 정기적 유방촬영술에서 발견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40%, 20/50), 만져져서 발견된 경우는 14예였다. 초음파에서 종괴가 발견되었던 52명에서 재발한 암의 초음파 소견은 유방 전절제술이나 유방보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유방보존술을 받은 환자는 82%(36/44)는 수술 반흔 주변의 실질 내에,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재발은67%(14/21)는 수술 부위의 피하지방층에 재발암이 생겼다. 초음파 검사만 발견되었던 재발암은 유방보존술의 경우에는 크기가 작은 결절이었고, 전절제술의 경우에는 크기와 상관없이 근육층에서 생긴 경우였다. 결론: 유방암으로 수술 후 재발암은 유방 전절제술 후에는 주로 이학적검사에서 발견되고 유방보존술을 시행한 경우는 주로 정기적 유방촬영술에서 발견된다. 초음파로만 발견된 재발암도 16%(6/37), 28%(14/50)로 유방암 수술 환자의 재발을 평가하는데 초음파가 중요하다.

      • KCI등재

        국정운영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조정에 관한 연구

        이광희,박정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policy cases in which policy coordination reveals great difficulties and to suggest a coordination model that can make policy coordination more effective.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s an effective policy coordination model considering cases where various policy areas overlap due to recent policy reforms and changes. Due to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empirical data about the failure of policy coordination, this study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former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policy experts to collect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dividual public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policy coordination proces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rmer and incumbent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such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tate Councilors, staff members of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and senior officials of central government agencies to collect more vivid qualitative data. The critical factors of policy coordination in state governance are analyzed using the interview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policy coordination model is proposed advocating a transition from the “Blue House government” to the “State Council government”, increase of the autonomy of ministers, reduction of the policy coordination council, and division of official duties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Prime Minister. 본 연구는 정책환경을 고려할 때 정책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조정이 난항을 겪거나 실패한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조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최근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인해 중앙부처의 관련 정책영역이 상호 중첩되거나 중복되는 사례 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정책조정 모델을 제시한다. 정책조정 연구는 자료의 접근이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정책 난제를 중심으로 조정과정에 참여한 개인들의 경험과 자료를 수집하는 심층 면접과 전문가 집담회 방법을 활용하였다. 역대 정부의 국회의원, 국무위원, 대통령비서실 참모,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등 국정운영에 참여했던 전・현직 고위공직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이들의 국정운영 경험을 생생히 기록한 질적 자료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정운영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청와대정부에서 국무위원 정부로 전환, 책임장관제 실시, 정책조정협의체 감축 및 비공식회의 활성화,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업무 분담 등 정책조정 모델을 제시하고, 각각의 효과성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리단 국소의치의 기능 인상에 의한 연조직의 수직적 변위량에 관한 연구

        이광희,장익태,Lee, Kwang-Hee,Chang, IK-Tai 대한치과보철학회 198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21 No.1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s are supported by both the relatively rigid teeth and the resilient mucosa. So impression techniques of residual alveolar ridge in case of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have particular importance in order to broad distribution of the masticatory force. McLean recognized the need for recording the tissues supporting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base in functional form to equalize the resilient and non-resilient support, and this was called functional impression. Many investigators proposed various techniques of the functional impression for a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but only a little studies were performed about displacement of soft tissue under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b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oft tissue under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base by different functional impression techniques. Impression techniques used were Z.O.P. Impression, Selective Tissue Placement Impression, Functional Relining Impression. Measurement of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soft tissue were made with Depth Gauge and Measuring Platform. A Anatomic Impression was used as a control. The results were tested statistically using 3 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 greatest amount of soft tissue displacement was observed in the center of the retromolar pad.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rest of alveolar ridge and the buccal shelf area. 3. The greatest soft tissue displacement was observed in Functional Relining Impression using Iowa wax, and the least displacement was observed in Selective Tissue Placement Impression using murcaptan rubber base. 4.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finger pressure and biting pressure in Z.O.P. Impression, but greater displacement was observed by biting pressure than finger pressure in Functional Reling Impression.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의 “재세(침)례” 배경과 의미에 대한 해석

        이광희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6 피어선 신학 논단 Vol.5 No.2

        The “re-baptism” of an American Presbyterian pastor – Arthur Pierson, who succeeded Charles Spurgeon as officiate minister of the Metropolitan Tabernacle, London from 1891 to 1893 – by James Spurgeon in 1896 at West Croydon Baptist Church was not only a personals candal but also a very influential event in the history of world miss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wo-folds. First, I review the process of re-baptism and analyze its background. Second, I interpret how the rebaptism of Arthur Pierson has influenced world evangelism. The article relies on first-hand works of Arthur Pierson and his biographies written by the Pierson family and Dana Roberts. My interpretation is that Pierson’s struggle since a young adult to reconcile the Biblical teachings of a “God-centered covenant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humane voluntary response for revival” under the influence of Charles Finney, who was a key leader oft he New School in the 19 century American church, finally resulted in an event of Pierson’s re-baptism in 1896. Also, I argue that this event ha spushed for the necessity of a union among the churches in a Biblically permissible range (adiaphora) which can effectively be applied to the area of mission. 미국 국적의 장로교 목사로서 1891년에서 1893년까지 찰스 스펄전의 뒤를 이어서 런던 메트로폴리탄테버너클의 강단사역을 담당했던 아더 피어선(Arthur Pierson)이 1896년 2월 1일 토요일 저녁 런던의 웨스트크로이든(West Croydon)교회에서 제임스 스펄전으로 부터 침례를 받은 사건은 피어선 개인에게 있어서도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켰지만, 동시에 세계 선교역사에 있어서도그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보게 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국내외에 출간된 피어선의 기록물 1차 자료와 피어선관련의 전기적인 저서들을 분석하여 재구성하는 문헌연구와 해석에 의존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는 첫째로 목회와 선교에 있어서 인생의 정점에 있었던 피어선의재침례 과정을 먼저 살피고 그것을 통해서 재침례의 배경에 대한 고찰을 했으며, 둘째로 이 사건이 세계 선교역사의 주요한 흐름 속에 어떤 의미로 상관관계가 있는지 해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피어선의 청년기부터 겪었던 ‘장로교파의 철저한 언약사상’과 찰스 피니(Charles Finney)의 영향으로 그의 신앙에서 한 부분이 되어버린 부흥에 대한 절실한 갈망이라는 ‘인간 편에서 자의적 반응’의 조화를 성경 속에서 찾고자 했던 갈등이 결국 “재세(침)례”(유아세례 이후에 재침례)사건으로 폭발한것으로 보았으며, 이 사건을 통해서 성경의 “허용되는 범위”(아디아포라) 안에서연합의 필요성과 이 연합의 구체적인 실행으로써 선교에의 적용을 의미로 해석하였다.

      • KCI우수등재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성과정보 활용, 활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그리고 제도신뢰 요인 연구: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이광희,이석민 한국행정학회 2014 韓國行政學報 Vol.48 No.3

        이 글은 정부업무평가제도 중 특정평가의 결과 및 성과정보의 활용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제도신뢰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성과정보 활용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국회 및 성과평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고 공무원대상 설문조사를 보완하여 종합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는 특정평가 결과에 대한 공무원들의 활용도는 매우 낮으며 평가위원회에 대한 낮은 신뢰가 평가결과 타당성과 정보유용성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이는 제도불신 및 낮은 성과정보 활용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정부는 소통전략, 정보유용성 증진을 위한 생산전략, 특정평가방법의 개선을 통해 특정평가의 결과활용도를 제고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