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단어의 관련성 유형에 따른 성인의 의미 규준 조사

        이고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semantic norm of Hangul words based on type of semantic relationship. We investigated various words that exhibited diverse types of semantic relationships with a single word. Methods We conducted a free association task and controlled association task on 180 Hangul words with 150 adults over the age of 20 who were native Korean speakers. In the free association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freely report words that came to mind when presented with a given word, while in the controlled association task, they were asked to report words related to the given word semantically, categorically, or functionally. Results The words reported in the free association task were found to overlap with those reported in the controlled association task for the same given word in approximately 74% of cases. Specifically, categorical related words were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52%. Subsequently, functional-related words, semantic-related words, and pure associative words constituted the majority of the sample, in descending order. In the free association task, it was found that higher word frequency was associated with a greater number of words generated. However, in the controlled association task, such a correlation was not observed. Conclusions While some cases existed where words related by association differed in their semantic, categorical, or functional relationships, the majority of these words were common. Thus, when designing learning materials, it is crucial to take these factors into account, as words with semantic relationships are likely to be retrieved togeth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글 단어에서 관련성 유형에 따른 의미 규준을 조사하기 위해 한 단어에 대해 다양한 관련성을 가진 단어를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180개 한글 단어에 대해 한국어가 모국어인 20세 이상 성인 150명을 대상으로 자유 연상 과제와 통제 연상 과제를 실시하였다. 자유 연상 과제에서는 제시된 단어를 보고 떠오르는 단어를 자유롭게 보고하도록 하였고, 통제 연상 과제에서는 제시된 단어와의미적, 범주적, 기능적으로 관련된 단어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결과 동일한 제시어에 대해 자유 연상 과제에서 보고된 단어(제1연상어)가 통제 연상 과제에서 보고된 단어와 중복되는 경우는 약74%에 해당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범주적 관련어인 경우가 5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기능적 관련어, 의미적 관련어, 순수 연상단어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자유 연상 과제에서는 단어빈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단어를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연상 과제에서는 이러한 상관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연상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의미적, 범주적, 기능적 관련성을 가진 단어와 상이한 경우도 존재하지만 공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연상 외 다른 의미적 관련성이 있는 단어들이 함께 잘 떠오를 수 있으므로 학습 자료 구성 시 이러한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상징주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실체 (랭보의 `깜짝 놀란 아이들`시어를 중심으로)

        이고은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1 No.-

        내적 상상력의 힘으로 완성한 랭보의 시속에 나타난 여러 상징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인의 자아성찰의 기회를 마련하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인이 느끼는 `행복`과 `불행`은 연구자의 작품 창작에 영감을 주며 주관적 상상력과 융합되어 새롭게 재탄생 되었다. 불행한 현실 속에 가상의 행복감에 젖어 있는 아이들의 안타까운 모습과 괴로워하는 내면상태의 시각화를 모색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형태는 현실적 대상의 재현이 아닌 랭보 시속에 나타난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주관적 상상력이 만들어낸 상징적 형태이다.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요구되는 시각디자이너로서의 작가적 영역을 구축해 나가는데 랭보의 시적 상상력은 논문 연구자의 마음에 동화되어 다양한 시각표현의 가능성을 열어주었으며, 인간 존재의 본질을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I intend to examine various symbolic meanings appeared in Rimbaud`s poetry completed by power of imagination, provide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to modern people and seek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Happiness` and `unhappiness` felt by poets gives inspiration to the creation of works and reborn by being fused with subjective imagination. Miserable appearance and tormented inner reflection of children soaked in virtual euphoria in miserable reality have been visualized. The forms appeared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is not the reproduction of realistic subject but the symbolic form created by subjective imagination with the image of Rimbaud`s poetry as motif.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erritory of an artist as visual designer who requires infinite imagination and creativeness, the poetic imagination of Rimbaud was assimilated in the heart of the researcher of a paper and gave an opportunity for the various visual expressions and self-reflection on the nature of human existence.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민원 요인 분석 연구

        이고은,김기영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petitions and complaints within public libraries and to identify factors to the civil petitions. We develop a survey questionnaire for the goals based on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a pilot study with several open-ended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y users. Then we collect data using the questionnaire from 154 survey participants (public library users). The collected data a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wo identified dependent factors, such as petition and complaint, and six independent factors, including librarian specialty, service conveni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Through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for identifying 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dependent factors and predictors,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civil petitions and complaints, and the importance of a structural/relation-based approach to the library civil petition as a complimentary for the functional approach.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we suggest sever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cluding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rary civil petitions and library performances. 본 연구는 민원을 청원과 불만표현의 두 가지 성격을 지닌 행위로 이해하고, 공공도서관에서 민원의 성격을 파악하고 그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용자와의 도서관 민원에 대한 심층면담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3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거된 설문지 154부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정준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 민원은 건의/청원과 불평행위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각각의 종속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요인으로 사서전문성, 서비스편의성, 사서와의 교류 등 6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각의 종속요인에 대한 개별 독립요인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건의/청원 및 불평행위의 성격은 물론, 민원에 대한 기능적 접근뿐 아니라 구조관계적 접근의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토의를 토대로 종속변수로서의 민원뿐 아니라 도서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의 민원 및 도서관의 대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매체에 기고된 유근(柳瑾,1861~1921)의 한시연구

        이고은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漢詩) which Yu Geun (柳瑾, 1861-1921) submitted to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find the meaning of it. Yu Geun contributed classical Chinese poetry to the Daily Newspaper (每日新報), SEOUL (서울) and Dong-A Newspaper (東亞日報). The work Yu wrote for the Daily Newspaper was a new attempt to make Korean songs into classical Chinese poetry under the name “sin-akbu” (新樂府).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wa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his classical Chinese poetry published in Dong-A Newspaper and SEOUL.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poems written for Dong-A Newspaper and SEOUL. Yu Geun’s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social work that shows his values calculated from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as he saw it; and work that projects his personal feelings. The magazine editors of SEOUL set readers as the main agent of enlightenment, publishing their magazine for the purpose of solving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mot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pride in the cultural nation. For SEOUL, Yu showed an attitude of trying to protect tradition and actively expressed his values. In 詞藻, in Dong-A Newspaper, it is peculiar that Yu shows a passive attitude after the release and the suspension of a newspaper. In 諷林, I can confirm Yu Geun's political stance toward Western powers after World War One. As media, SEOUL and Dong-A Newspaper both published many poems that were close to social criticism. SEOUL and Dong-A Newspaper conveyed such messages to readers who were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in a compressed way, by using familiar idioms that originated in ancient events. Yu’s poetry, which contributed to media in the era of national enlightenment, shows that classical Chinese writing had some power in the 1920s. 본고는 유근(柳瑾, 1861~1921)이 잡지와 신문에 기고한 한시를 소개하고 매체별 한시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근은 『매일신보(每日申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잡지 『서울』에 시를 기고했다. 『매일신보』에 기고한 작품은 ‘신악부(新樂府)’라는 제명을 가지고 한글노래를 한역했던 새로운 시도로 평가할 수 있으나 『동아일보』와 『서울』에 기고된 시의 방향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잡지 『서울』과 『동아일보』 소재 유근의 한시에 주목했다. 그의 작품은 국내외 사회적 모습과 정세를 파악한 데에서 산출된 가치관을 드러낸 작품, 사물이나 전통적 요소를 가지고 개인의 감정을 토로한 작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잡지 『서울』은 당대 과제들을 극복하고 민족의식과 문화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 하에 만들어졌다. 한학적 배경을 기반으로 한 독자층을 겨냥했던 것은 독자들을 계몽의 대상자가 아닌 주체자로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근은 자국의 전통과 ‘옛 것’을 수호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본인의 가치관을 적극적으로 개진했다. 반면에 『동아일보』 사조란에서는 신문 정간 이후 소극적 태도로 변모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또한 풍림란에서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 열강을 바라보는 유근의 정치적 가치관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그는 열강에 대한 가치판단은 유보한 채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었다. 이는 신문법에 의거해 일제에 검열을 당할 것을 염려한 편집진의 전략으로 인한 것이었다. 『서울』이나 『동아일보』 모두 각각의 매체에 맞는 방향으로 시가 기고되었기에 매체별 기고된 시에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서울』과 『동아일보』 모두 한문학의 자장 안에 있던 이들을 주 독자층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유근은 각 매체에 한학전통을 활용하여 주장하는 바를 압축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그의 시 기고 활동은 민족계몽운동의 일환으로서 행해졌던 것으로, 이러한 활동 속에 기고되었던 그의 시는 한글 전용을 표명했던 1920년대에도 소극적이나마 ‘당대적 문학’으로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진정법의 변화 양상

        이고은,송제선,김성오,이제호,최병재,최형준,Lee, Koeun,Song, Je Seon,Kim, Seong-Oh,Lee, Jaeho,Choi, Byungjai,Choi, Hyung-J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2

        진정작용은 행동조절이 어렵고 광범위한 치료가 필요하거나 의학적 문제가 있는 어린이의 치과 치료에 유용한 행동조절 방식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진정제와 진정치료의 경향을 분석하여 진정법의 사용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 2016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의 전자의무기록(EMR)을 바탕으로 환자 및 진정법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정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의 수가 일반적으로 증가했다. 남자가 여자보다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 치료를 더 많이 받았으나 2015년부터는 유사한 비율로 적용되고 있다. 전신질환(ASA II) 환자의 치료 비율은 2013년에 감소했지만, 이후에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4 - 5세 및 6 - 10세의 진정 치료 비율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0 - 2세 및 11세 이상은 감소했다. 3세는 비교적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고 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진정법은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이었으며, chloral hydrate의 사용이 감소하는 동안 benzodiazepine계열의 사용이 증가했다. 최근에는 행동관리 기법으로 진정법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다차원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으며, 진정제 사용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추가 연구 역시 동반 수행되어야 한다. Sedation is a usefu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 for dental patients who may be uncontrollable or have medical problem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atterns of sedative treatments in pediatric dentistry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used sedative agents. Patients and sedative agents were reviewed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of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in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11 to 2016.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treated under sedation generally increased. Male received more sedation treatment than female by 2014, and they became similar from 2015. The treatment percentage of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 decreased in 2013, remained constantly afterwards. The ratio of sedative treatment for the age 4 - 5 and age 6 - 10 generally increased, while that of the age 0 - 2 and older than age 11 decreased. The ratio of the age 3 remained steady. Nitrous oxid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dative agent. The use of benzodiazepine increased while the use of chloral hydrate decreased. Although the use of sedation has expanded, multidimensional approaches for ensuring safety have been less focu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further studies for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use of sedation.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칠정(七情)의 대한 연구-병기(病機)를 중심으로

        이고은,류영수,강형원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4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5 No.1

        Objectives: Chiljeong means the basic emotions containing joy, anger, anxiety, depression, fear and fright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hiljeong was considered as a cause diseases or syndrome. The pathology of Chiljeong described the action of the gi and the principle of eumyangohaeng. When we treat the psychiatric symptom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we need to understand the pathologic mechanism of Chiljeong. Methods: We extract the sentences regarding Chiljeong, Oji, Chilgi and Gugi along with the related words in Donguibogam. We analyze the selected sentences and classify the pathologic mechanism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seven emotions. Results: We found that several parts were related to Chiljeong, except the Sinmun, including the psy-chiatric symptoms in Donguibogam.Conclusion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ffected areas of basic Jangbu are Sim and Gan. The pathologic mechanism of general emotion was categorized by sentences into 4 groups, Giul, Dameum, Hwa and Heo.

      • KCI등재

        메타인지 기능 관점에서 초등 과학 영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이고은,최원호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1 No.3

        본 연구는 국립대학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소속 초등 과학 영재 46명을 대상으로 메타인지를 강조한 과학 탐구 수업을 실시했을 때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 탐구 수업은 한 주제 당 6차시로 실시하여, 총 8개의 주제로 구성되었다. 각 주제의 활동은 맛보기, 탐구하기, 도전하기, 정리하기 단계로 구성되었다. 도전하기 단계는 메타인지 기능 중 계획, 모니터, 조절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정리 단계는 메타인지 기능 중 평가의 기능을 경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거의 모든 학생들은 메타인지 기능인 계획, 모니터, 조절, 평가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탐구 계획과 점검을 요구하는 활동 형식, 도전 과제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탐구 기능을 학습한 후 도전 과제를 해결하게 하는 수업 전략,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 등은 학생들의 메타인지 기능 향상에 영향 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메타인지 기능은 합리적인 문제 파악, 효과적인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과학 영재 수업에 메타인지 전략을 도입할 경우 학생들의 탐구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의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lass when a science inquiry class emphasizing metacognition was conducted for 46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affiliated with the National University Science Education Center. Science inquiry classes were conducted in 6 sessions per topic, consisting of a total of 8 topics. The activities of each topic consisted of tasting, exploring, challenging, and organizing steps. The challenging step was configured to experience the functions of planning, monitoring, and control among metacognitive functions, and the organizing step was configured to experience the function of evaluation among metacognitive functions. Through this class, almost all students responded that their metacognitive functions such as planning, monitoring, control, and evaluation skills improved. And the form of activities requiring inquiry plans and checks, the form of learning basic knowledge and inquiry functions necessary to perform challenge tasks, and appropriate feedback from instructor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ffecting students' improvement of metacognitive skills. Metacognitive functions enable reasonable problem identification and effective problem solving, so introducing metacognition strategies in science gifted classes will help students improve their inquiry and problem-solving skills.

      • KCI등재

        Preliminary Study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Sacroiliitis Activity Using Bone SPECT/CT: Comparison of Diagnostic Performance of Quantitative Parameters

        이고은,류진숙,김현지,김용길,박범우,심우현,오정수,홍석찬,김용일 대한핵의학회 2022 핵의학 분자영상 Vol.56 No.6

        Purpose We compared the feasibility of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using bone SPECT/CT with those using planar bonescans to assess active sacroiliit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whole-body bone scans and pelvic bone SPECT/CTs of 8 patients who had clinicallyconfirmed sacroiliitis and enrolled 24 patients without sacroiliitis as references. The volume of interest of each sacroiliacjoint, including both the ilium and sacrum, was drawn. Active arthritis zone (AAZ) was defined as the zone of voxels withhigher SUV than sacral mean SUV within the VOI of SI joint. Then, the following SPECT/CT quantitative parameters,SUVmax (maximum SUV), SUV50% (mean SUV in highest 50% of SUV), and SUV-AAZ, and the ratio of those values tosacral mean SUV (SUVmax/S, SUV50%/S, SUV-AAZ/S) were calculated. For the planar bone scan, the mean count ratioof SI joint/sacrum (SI/S) was conventionally measured. Results Most of the SPECT/CT parameters of the sacroiliit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whereasSI/S of the planar bone sca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analysis, SUV-AAZ/S showed the highest AUC of 0.992, followed by SUV50%/S and SUVmax/S. All ratio parameters ofthe SPECT/CT showed higher AUC values than the SUV parameters of SI joint or SI/S of the planar scan. Conclusions The quantitative analyses of bone SPECT/CT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assessing active sacroiliitis thanthe planar bone scan. SPECT/CT parameters using the ratio of the SI joint to sacrum showed more favorable results thanSUV parameters such as SUVmax, SUV50%, and SUV-AA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