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礪山 竹林書院의 운영과 위상

        이경동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9 No.-

        Jukrim-seowon, located in Yeosan, is the representative seowon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ial region. Eminent scholars of Joseon, such as Jo Gwang-jo, Yi Hwang, Yi Yi, Seong Hon, Kim Jang-saeng, and Song Si-yeol, were enshrined in this seowon, and it was functioned as the political, academic center of Seoin(西人)-Noron(老論) branch. The establishment of Jukrim-Seowon was led by Seoi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 group of scholars who succeeded the studies of Yi Yi. The process of building this seowon was interconnected with the political growth of Seoin. It was led by Kim Jang-saeng who lived nearby, and the place was used as the base when Kim was active as Hososa, a recruiting official for volunteer army, during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27. The official charter of 1663 by the central government meant that Jukrim-seowon becam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eowon of Chungcheong and Jeolla region. The chartering process was promoted by the apprentices of Kim Jang-saeng, including Song Si-yeol and Song Jun-gil, who were active in the central politics, and it coincided precisely with the project that enshrined more Neo-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After being chartered, Seoin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seowon more actively, and Jukrim-seowon became the central place of political activities like Yuso(儒疏), literally Scholars’ Petition. From the 18th century, activities of the scholarly successors of Kim Jang-saeng and Song Si-yeol are verified. Moreover, the government started to recognize Jukrim-Seowon as the one of the renowned seowon along with Dosan-seowon in Andong and Sohyeon-seowon in Haeju. Until it was abolished in 1868 by seowon reorganization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Jukrim-seowon was operated as the capital seowon of the scholarship and the public opinion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죽림서원은 전라도 여산에 위치했던 兩湖 지역의 대표적인 서원이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학자인 조광조, 이황, 이이, 성혼, 김장생, 송시열을 배향하였으며 서인-노론계의 학문과 정치의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죽림서원의 건립은 인조반정을 계기로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는 죽림서원이 서인의 정치적 성장과 맞물려서 건립되었음을 의미한다. 죽림서원의 건립은 김장생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김장생이 정묘호란 과정에서 호소사로 활동할 당시 근거지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1663년(현종 4) ‘죽림’으로의 사액은 죽림서원이 명실상부한 서인계 서원으로 자리잡았음을 의미했다. 사액의 과정은 송시열, 송준길 등 서인계 산림들을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며, 이는 배향인물의 추향 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사액 이후 서인들은 서원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으며, 儒疏 등 정치적인 활동에 있어서도 중심지적 역할을 수행했다. 노소분기가 분명해진 18세기부터는 노론계의 서원활동이 뚜렷하게 확인된다. 이와 함께 조정에서는 호남의 도통 서원으로 죽림서원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후 죽림서원은 고종대 서원훼철령에 의해 폐지될 때까지 양호 지역을 아우르는 노론계 도통서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 KCI등재

        Effects of Rapid Temperature Change on Growth Response and Yield of Garlic in Greenhouse with Thermostat Control System in Jeonnam Province

        이경동 한국토양비료학회 2014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7 No.6

        The garlic cultivation area is moved by change of grown environment due to global warming. It is importantto predict changes in cultivation area, quantity and quality of each cro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the yield and response of garlic growth by the rapid temperature changes in the greenhouse with thermostatcontrol system. Seedlings of Namdo garlic were planted on September 27, 2012 and harvested on May 30, 2013. The used treatments for a rapid temperature change in March-April-May were T0 (control): 6.0-10.4-17.2°C,T1: 6.0-5.4 (-5)-17.2°C, T2: 6.0-10.4-22.2 (+5)°C and T3: 6.0-5.4 (-5)-22.2 (+5)°C. Total dried weight perplant of garlic significantly increased by 5.0% for T2, but T1 and T3 decreased by 12.5 and 4.6%, respectively,compared to T0. Total yields of bulb within the temperature change as T2 and T0 increased significantly(p<0.05), as compared to T1. Decreas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p<0.05) reduced plant height, SPADreading, crude protein and fiber contents etc., as compared to T0 and T2. ABA contents gradually increasedwith time but IAA content rapidly decreased. Conclusively, growth and yield of garlic were more affected bydecreased temperature than increased temperature at bulb development st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Self-organized nanoparticles based on chitosan-folic acid and dextran succinate-doxorubicin conjugates for drug targeting

        이경동,최선희,김다혜,이혜영,최기춘 대한약학회 2014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7 No.12

        Folic acid-decorated self-organized nanoparticles were fabricated to target folate receptor of cancer cells. Doxorubicin (DOX) was conjugated with carboxyl group of dextran backbone using succinic anhydride (DexSUDOX). DOX-loaded self-organized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complexation with folic acid-grafted chitosan (ChitoFA) and DexSU-DOX. Nanoparticles in the aqueous environment have spherical shapes with average size less than 100 nm and their sizes were increased by coated with ChitoPEG or ChitoFA. At cell culture study with KB cells, ChitoFA coated nanoparticles (FADex NP) revealed folatereceptor mediated endocytosis to cancer cells and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changed by folate receptor targeting. Tumor xenograft model of KB cells also showed similar results, i.e. FAdex NP efficiently inhibited growth of tumor compared to the treatment group with blocking of folate recepto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OX-loaded nanoparticles of FADex NP are promising vehicle for anticancer drug targeting.

      • KCI등재

        산국의 수량과 유효성분에 대한 NPK의 효과

        이경동,양민석,정연규,손보균,조주식,이성태,김필주 한국농화학회 200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6 No.2

        본 연구는 3요소(N-PO_2O_5-K_2O)처리가 산국(Chysanthemum boreale M.)의 수량과 유효성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재배시스템을 개발하고자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 NPK(250-160-160), NK(250-0-160), PK(0-160-160kg/ha)의 5처리로 설정하여 산국을 재배한 결과, 건물수량은 NPK처리구가 PK처리구에 비하여 4.0배의 증수가 있었으며, 다른 처리구보다 무기이온의 흡수율, 생육 및 수량에서 NPK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꽃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 glutamic acid과 aspartic acid이였고,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NPK처리구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혈압강하효과가 우수한 cumambrin A는 PK처리구에 비하여 NPK처리구가 6.2배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NK처리구는 NP처리구보다 cumambrin A의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산의 시용보다 칼리의 시용이 더 요구되며, 야외포장에서의 인산과 칼리의 적정 시비량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o establish the fertilization condition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Chrysanthemum boreale M. with high quality, the effects of three nutrients (N, P, K) on the yields and the effective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in the pot scale. NPK was applied by chemical fertilizers with N-P_2O_5-K_2O = 250-160-160 kg/ha as a main treatment, and NP (N-P_2O_5 = 250-160 kg/ha), NK (N-KO = 250-160 kg/ha), and PK (PO_2-KO_5 = 160-160 kg/ha) treatments were settled as comparison. Dry yields of C. boreale M.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o 4 fold higher by nitrogen. Nitrogen increased apparently plant growth and inorganic nutrient uptake. In the flower, which is most useful and edible part as a herbal medicine, main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s, and the total conten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ree elements of application. In addition, the content of cumambrin A, which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blood-pressure reduction, was increased source to 6.2 times by nitrogen higher than that in PK treatment. Potassium was more effective in biosyndiesis of cumatnbrin A than phosphorus, but the biological pathway was not clear, still.

      • KCI등재

        질소시비가 산국의 수량과 유효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경동,양민석,이용복,김필주,Lee, Kyung-Dong,Yang, Min-Suk,Lee, Young-Bok,Kim, Pil-Joo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5 No.1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며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자생식물자원으로서 오래 전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산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자연채집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공급을 충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품질의 산국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질소시비반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질소수준에 따라 6처리구(0, 50, 100, 150, 200, $250kg\;ha^{-1}$)로 설정하였다. 이때 모든 처리구에서 기본적으로 $P_2O_5-K_2O=80-80kg\;ha^{-1}$을 시비하였다. 그 결과,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전체 산국을 건물중으로 하여 회귀곡선을 통해 추정한 결과 N $246kg\;ha^{-1}$였으며, 꽃의 수량은 N $226kg\;ha^{-1}$이였다. 꽃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이였고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때 질소의 이용율은 41.5-61.8%였고 N100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Sespuiterpene계 화합물로서 우수한 혈압강하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인 Cumambrin A의 함량은 식물부위 중 꽃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Cumambrin A의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꽃에서 Cumambrin A의 전체 함량은 산국의 수량증가에 따라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유효성분이 많이 함유된 양질의 산국재배를 위해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225{\sim}250kg\;ha^{-1}$ 수준으로 판단되었으며 포장시험을 통한 현장입증시험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hrysanthemum boreale M. (hereafter, C. boreale M.), a perennial flower, has been historically used as a natural medicine in Korea. With increasing concerns for health-improving foods, the demand for C. boreale M. has become higher than ever. Howevr, the amount of wild C. boreale M. collected from mountainous areas is not enough to cover all demands. The cultivation system and fertilization strategy are required to meet increasing demand on C. boreale M. with a good qualit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on plant growth and effective components of C. boreale M. to suggest optimum rate of nitrogen fertilization. C. boreale M. was cultivated in a pot scale (1/2000a scale), and nitrogen applied with rate of 0(N0), 50(N50), 100(N100), 150(N150), 200(N200), and $250(N250)kg\;ha^{-1}$. Phosphate and potassium were applied at the same level ($P_2O_5-K_2O=80-80kg\;ha^{-1}$) in all treatments. Maximum yield achieved in 246 and $226kg\;ha^{-1}$ N treatment on the whole plant and the flower part, a valuable part as a herbal medicine, respectively. Proline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in the flower of C boreal M. and the contents of amino ac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rate in flower. Nitrogen recovery efficiency was high more than 41% in all nitrogen treatments and increased to 61.8% in nitrogen N100 treatment. From the nitrogen content, the high nitrogen uptake, the low residue of mineral N and the reasonably good apparent fertilizer recovery, it can be inferred that C. boreale M. made efficient use of the available nitrogen. In flower, contents of Cumambrin A. which is a sesquiterpene compound and has the effect of blood-pressure reduc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However, the amount of Cumambrin A in flower increased as nitrogen rate increased, because of increasing flower yield. Conclusively, nitrogen fertilization could increase yields and enhance quality. The optimum nitrogen application rate might be on the range of $225{\sim}250kg\;ha^{-1}$ in a mountainous soil.

      • KCI등재

        조선후기 四忠書院의 건립과 운영

        이경동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본 연구는 사충서원의 건립과 운영과정을 통해 당대의 정치적 맥락과 서원의 위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25년(영조 1) 辛壬獄事 과정에서 賜死된 金昌集, 李頤命, 李健命, 趙泰采가 伸冤됨과 동시에 사충서원 건립이 논의되었다. 사충서원의 건립은 영조를 비롯한 조정 내부의 논의를 거쳐 1726년(영조 2) 8월에 완공되었다. 사액은 같은 해 11월에 이루어졌는데, 이는 辛壬義理에 대한 평가와 연동되어 있었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 이후 영조의 신임옥사와 노론 사대 신에 대한 평가를 번복하는 과정에서 사충서원이 훼철되었다. 이후 사충서원은 1756년(영조 32) 왕명에 의해 복설되었다. 사충서원의 복설은 乙亥獄事 이후 『闡 義昭鑑』의 간행과 함께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辛壬義理의 확정을 의미했다. 복설 이후 사충서원은 경기 지역 노론계의 주요 사액으로서 위상을 갖추어 나갔다.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 치제와 함께 노론계 인사들의 서원 방문은 사충서원이 노론계 忠 節書院으로서의 위상을 갖추어 나가는 요인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원임과 원생을 중심으로 향사, 강학 등의 활동이 지속되면서 서원으로서의 기능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충서원은 임인의리의 상징이자 노론계의 중심 서원으로 자리 잡아 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