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바흐의 이미지(들), 문제 제기를 위하여

        이가영 한국서양음악학회 2016 서양음악학 Vol.19 No.2

        This study deals with Bach images that we encounter in the various types of academic and non-academic context. By arguing that various types of Bach images are constructed in the course of Bach literature, this study traces how they were first created, recreated, and circula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Bach discourse. After reviewing some of the representative studies carried out by Forkel, Spitta, Herz and Wolff, this study spells out some of the Bach images that these scholars created, the images of a German hero, genius, and true Lutheran who has extraordinary musical talent, creating the most sublime Lutheran music ever. This study proposes that these images lead Bach scholars (and connoisseurs alike) to identify the composer, the traditional, thereby calling also for critical analysis. 이 글의 관심은 바흐담론의 내부와 외부에서 유통되는 바흐의 이미지(들)이다. 그리고이 글은 바흐의 이미지들이 바흐담론 안에서 어떤 과정과 절차를 통해 생산되고 재생산되고 또 해체되는지 추적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19세기를 대표하는 포크켈과 슈피타, 그리고 20세기를 대표하는 허츠와 볼프의 문헌을 분석한다.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다하나 이들의 연구는 고귀하고 숭고한 인품을 지닌 위대한 작곡가 바흐, 독일 루터교 교회음악의 완성자, 최선을 다하는 천재 등의 이미지를 창조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이미지를 전통적인 바흐의 이미지로 규정하고 이들이 음악학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사회불안의 평균 정서 추론 편향

        이가영,백종수,양재원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얼굴표정의 평균정서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대학(원) 에 재학 중인 66명의 참가자는 사회불안과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수행한 후, 컴퓨터를 이용한 평균정서추론 과제에 참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자극은 화난(부정적) 표정의 사진과 행복한(긍정 적) 표정의 사진을 합성하여 정서의 수준에 따라 51개로 재분류(가장 부정적인 표정에는 –25, 중립 표정 에는 0, 가장 긍정적인 표정에는 25의 물리적 값을 부여)한 자극 세트를 사용했다. 참가자들은 순차 제시되 는 8개의 얼굴표정을 본 뒤, 자극들의 평균정서 수준을 Visual Analogue Scale(VAS) 방식으로 응답하였다. 분 석을 위해 제시된 8개 표정에 대한 참가자의 응답(심리적 평균)의 관계를 누적정규분포 함수를 활용하여 모형 맞춤을 하여 주관적 동등점과 지표들을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평균정서추론에 서 부정적 편향을 보였으며, 긍정정서에 대한 과소평가 정도와 부정정서에 대한 과소평가 정도의 차이가 사회불안 수준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긍정정서에 대한 과소평가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ensemble coding of facial expressions. A total of sixty-six undergraduate and 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for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Thereafte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extract mean emotions from a set of eight faces. The stimuli used in the experiment were re-classified into 51 levels according to the emotional level (the most negative emotion values -25, the neutral emotion values 0, the most positive emotion values 25) after the morphing of the happy and angry facial expressions. The participants rat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mean emotions of a set of eight faces which were presented sequentially. We used a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verages and psychological averages (responses of participants). We calculated the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and observer paramet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anxiety level, the more negatively biased the reactions when extracting the mean emotion from a set of faces. Moreover,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symptoms and the difference between underestimation of positive emotion and of negative emo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tendency to underestimate positive emotion if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are higher.

      • KCI등재

        3D 모델링을 활용한 유니버설 디자인 미용실 공간 구현 연구

        이가영,김정원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3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4 No.2

        In a modern society, a concept of universal design, which insists ‘Let people enjoy a safe and equal life without any discrimination!’ has gradually expand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time to improve a beauty salon space by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Design for All People’, not for a specific group of people only).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people’s understanding of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by using 3D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by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in a safe and equal fashion. For this, based on the beauty sal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developed by the author (zoning, details, laws, recommendations), the space was divided into treatment, shampooing, waiting and counter zones and entrance. The specific universal design was sketched from November 10 to 15, 2022. Using Sketch-Up Pro 2022, Lumion, it was 3D-modeled and rendered, forming each space with universal design. The above results helped beauty service worke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universal design and suggested a way to utilize in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improving diverse perceptions by granting beauty salon customers an equal right and perception of safety and making beauty service workers aware of human rights and diversity. Furthermore, it might be easy and convenient for people from diverse social classes to visit a beauty salon provid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s the application of university design. .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가영,최태월,이용선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5 기업경영리뷰 Vol.6 No.2

        If this study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recent high youth unemployment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and college adjustment work stress, job stress there is a look at how seeing any impact on college adjustment purposes. The colleg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living level, university present at a factor of major satisfaction Adaptation results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de, major satisfaction, gender, the living level variables showed that it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Differences appeared in Grade 3 Grade college adjustment scores highest, fourth grade is the lowest. Is satisfied for the major choice has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of college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results, the school environment, stress, social adapt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physical adaptation showed that more than ± 0.7 ± 0.2 is less than the correl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job stress factors and sub-factors of the child's college life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0.1 from -0.6 a talisman. In particular,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stress (-.550), the nature of stress and emotional adjustment (-.593) showed that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job insecurity than other factors in stress and emotional adaptation (-.592). Job stress 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college adjustment result of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cademic stress, school environment, stress, job anxiety stress was found to be affect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llege life, Three sub-factors of academic stress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value of college life than the other two sub-factors -.466. Therefore, the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str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llege adjustment could see that. 본 연구는 최근 높은 청년실업률로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생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학년, 생활정도, 전공만족도의 요인으로 살펴 본 대학생활 적응 결과는 학년, 전공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생활정도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학교환경 스트레스, 사회적 적응, 신체적 적응을 제외한 모든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0.2이상 ±0.7미만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학업 스트레스, 학교환경 스트레스, 취업불안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하위요인 중 학업 스트레스는 값이 -.466으로 나머지 두 하위요인보다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취업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완충요인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조셉 커만과 바흐연구

        이가영 한국서양음악학회 2015 서양음악학 Vol.18 No.1

        The focus of this paper lies in the relation of New Musicology to current Bach Scholarship. New Musicology is the term that refers to the ideas, thoughts, and notions proposed by JosephKerman in his monograph, Contemplating Music: Challenges to Musicology, published in 1985. Inthis book, Kerman argues that current musicology appears to adhere to one particularmethodology and philosophy of the time, namely, positivism. In turn, he proposes a new type ofmusicology in which a musicologist tries to both establish facts as well as interpret them as needed. This paper traces Bach Scholarship since 1950 to explore if New Musicology influences BachScholarship in one way or another. 이 글이 주목하는 문제는 바흐연구와 신음악학과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음악학의 지류중 가장 보수적이라 평가받는 바흐연구는 과연 신음악학과 관련이 있는가 또는 없는가라는질문을 다루고 있다는 의미이다. 1985년 미국의 음악학자 커만은 자신의 저서, 『음악을 생각한다』를 통해 당시 음악학의 연구대상과 방법론 등을 비판하고 이것을 넘어서는 새로운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커만이 제시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커만 스스로에 의해 비평, 그리고이후 학자들에 의해 신음악학이라 명명되었다. 그러나 과연 신음악학이 바흐연구에도 침투하였는지, 또는 하지 못하였는지 논의하고 있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글은 이러한 질문을 염두에 두고 1950년대 이후 바흐연구가 지나온 행적을 분석함으로써 신음악학의 영향력을 진단하려 한다.

      • KCI등재

        바흐와 보편에 관한 짧은 논의

        이가영 한국서양음악학회 2018 서양음악학 Vol.21 No.2

        This article deals with one of the most intriguing images of J. S. Bach, namely, Bach, the universal, first proposed by Robert Marshall in the second half of 1980s. By drawing upon the fact that the notion coincides with the emergence of new musicology (or post modern musicology) of the same period, I will discuss various ways in which the latter figures into the former, arguing that Bach images gradually, but evidently has begun to change. In order to trace the change, the article focuses upon the musicologist, Susan McClary, who, arguably,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who criticizes the universal Bach. This article also discusses John Butt’s writing who examines the universal Bach by proposing that notion of modernity in the composer’s works links the music of Bach to the contemporary sensibility. 선행연구의 후속연구로 기획된 이 글은 보편 바흐(Bach, the universal)이라는 이미지를논의의 중심에 두고 있다. 특별히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보편 바흐라는 이미지가 1980년대후반 영미권의 새음악학(new musicology)과 함께 등장하였고, 새음악학 담론과 교차되면서새로운 담론을 형성해냈다는 점이다. 새음악학의 대두와 함께 보편 바흐의 이미지가 어떤 방식으로 도전받고, 변화하고, 또는 변화하지 않았는지 살피기 위해 이 글은 보편바흐를 주장한 로버트 마샬, 새음악학적인 시선으로 보편 바흐를 반박한 수잔 맥클러리(Susan McClary), 그리고 보편 바흐의 이미지를 근대라는 새로운 창으로 검증해나간 존 버트(John Butt) 등의논의를 분석하고 비판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근대와 바흐라는 사고가 21세기 한국의 바흐담론(또는 서양음악담론)에서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지 질문한다. 논문투고일자

      • KCI등재

        평생학습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연구동향 및 주제 분석을 중심으로

        이가영,소효정,이초희,장혜지,김예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4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and topics regarding the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in lifelong learning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To this end, 64 English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18 January and 2022 Jul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studies was increasing but most of the studies were focused on design/development, conducted in the technical field rather than the educational field. Moreover, most of the target learner groups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 learners, and the regions of authors and research sites were mainly in the Asia-Pacific and Europe. From the LDA-based Topic Modeling, six topics were extracted: (1) learning data sharing frameworks between stakeholders across institutes and within an institute, (2)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learners can be at the center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data using blockchain, (3) platforms for assessing learners and accumulating their data, (4) blockchain-based systems to issue, store and verify academic certificates related to lifelong learning, (5) credit management in universities and credit bank systems using blockchain for scalability, and (6) blockchain-based systems to facilitat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their lifelong learning processes. Due to the redundancy of content among topics, we developed a new framework through a topic reclassification task.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future research about the use of blockchain in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칸타타 75번, <겸손한 자는 배부를 것이며> (Die Elenden sollen essen)를 통해 읽는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음악적 혁신

        이가영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0 音樂論壇 Vol.24 No.-

        Bach's Leipzig cantatas, because of their musical style, form,expressiveness, and structure that are different from previous vocal works,are often considered to be a reflection of a notable break from the musical tradition that Bach has inherited. This paper, however, is an attempt to read Bach's Leipzig cantatas, in particular, Cantata 75, which is often viewed as one of the most innovative cantatas, in terms of the musical tradition and convention, thereby illustrating various ways in which Cantata 75 reflects,deviates from, and expanded them. Furthermore, by describing the new musical styles contained in the work as Bach's musical innov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of Bach's musical innovation. 바흐의 라이프치히 칸타타들은 이 작품들이 담고 있는 새로움 음악양식, 표현방식, 형식, 구조 등으로 인하여 이전 전통과의 단절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글은 바흐가 라이프치히 시기 이룩한 새로움들이 과거 음악전통과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의 연장선상에서 이것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재하석하는 과정을 통해 창조된 결과물로 인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별히 이 논문은 바흐가 라이프치히 초기 시도한 새로운 작곡상의 실험들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바흐의 데뷔작, 칸타타 75번, <겸손한 자는 배부를 것이며>(Die Elenden sollen essen)의 분석을 통해 이 작품의 어떤 측면에 전통적인지,또는 전통의 변화를 의미하는지 논의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바흐 음악이담고 있는 음악적 혁신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