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의 관심영역 발달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윤홍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그들의 발달과정을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예비 초등교사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한 결과는 첫째, 예비 초등교사의 관심사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달랐다. 여학생의 경우 시험 및 학점과 교직수행 영역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반면 남학생은 주로 학교생활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한편 학년이 높아질수록 교직수행과 관련된 영역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이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작은 반면 교생실습, 임용고사 준비의 영향력은 컸다. 셋째, 독립변인에 의해 설명되는 변량이 교직수행 영역은 25.4%, 현직업무는 12.1%로 상당히 낮다. 예비 초등교사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교사교육과 예비 초등교사의 능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예비교사 양성프로그램 역시 예비교사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예비교사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종단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의식의 심층구조를 드러내는 질적 연구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Two Brackish Cyclopoid Copepods from Southern Coast of Korea

        윤홍주,장천영 한국동물분류학회 2008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24 No.3

        Two brackish cyclopoid species are reported mostly from the estuaries and salt marshe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Limnoithona sinensis (Burckhardt, 1913) and Apocyclops borneoensis Lindberg, 1954. The two species as well as the genera are newly added to Korean fauna. Herein, the redescription is provided with the systematic accounts and detailed illustrations of them. Two brackish cyclopoid species are reported mostly from the estuaries and salt marshe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Limnoithona sinensis (Burckhardt, 1913) and Apocyclops borneoensis Lindberg, 1954. The two species as well as the genera are newly added to Korean fauna. Herein, the redescription is provided with the systematic accounts and detailed illustrations of them.

      • KCI등재후보

        지방교육자치제의 구현조건으로서 교육재정분권화의 논리와 과제

        윤홍주 한국교육행정학회 2003 敎育行政學硏究 Vol.21 No.3

        그 동안 지방교육자치제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육재정분권화의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지만, 명확한 이론적 근거나 논리의 개발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소홀하였다. 이 글은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구현조건으로서 교육재정분권화의 개념, 논리, 의의 및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재정분권화란 교육자치단체에 그 지역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에 필요한 교육재정을 확보, 배분, 운영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자율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교육재정에 대한 책무성 강화, 대응성 제고, 효율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 교육재정분권화 실현을 위한 과제로는 교육재원 부담에 대한 명확한 논리와 기준의 마련, 교육재정의 자주권 확보,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자치단체 간의 교육재원 확보에 대한 책임과 한계의 규명, 지역간 재정능력의 차이로 인한 교육기회 불평등 문제의 해소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is and present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task of education finance decentralization.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is to ensure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To ensure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to success, it is very important to realize education finance decentralization.<br/> The logics of education finance decentralization are as follows; (1) It's efficient system to. provide education service for local residents. (2) It enhances educational diversity and accountability. (3) Most desirable form of education finance decentralization is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two polar forms; unitary centralization and extreme decentralization.<br/> To realize education finance decentralization for embodying education autonomy system, these problems should be make clear as follows; (1) Who pays for local education finance? (2) Guaranteeing local education autonomy to impose independent taxation (3) Setting the rationale for intergovernmental education finance burden, especially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local education autonomy (4) Implementing distribution policy to decrease fiscal inequality among localities.

      • KCI등재후보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양기상서비스 콘텐츠 개발

        윤홍주,황도현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2

        Currently, there is increasing demand for weather information, however, providing meteorology-climate information is limited. In order to improve them, supporting the meteorology-climate big data platform use and training the meteorology-climate big data specialist who meet the needs of government, public agencies and corporate, is required. Meteorology-climate big data requires high-value usable service in variety fields, and it should be provided personalized service of industry-specific type for the service extension and new content development.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it is essential to build the collaboration ecosystem at the national level. Building the collaboration ecosystem environment, convergence of marine policy and climate policy, convergence of oceanography and meteorology and convergence of R&D basic research and applied research are required. Since then, demand analysis, production sharing information, unification are able to build the collaboration ecosystem. 현재 기상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제공되는 기상기후정보는 한정적이다. 개선을 위해서는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 지원, 정부 및 공공기관,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상기후 빅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기상기후 빅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고부가가치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서비스의 확대 및 새로운 콘텐츠 개발을 위하여 산업 분야별 유형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협업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이다. 협업생태계 조성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양정책과 기상정책의 융합, 해양학과 기상학의 융합, R&D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의 융합이 필요하다. 이후 수요분석, 생산정보공유, 단일화 순서로 협업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영향요인

        윤홍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4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개인·심리변인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유형화하였으며,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2015년 ‘전국다문화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경우 가정변인에 비해 개인·심리변인이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더 크게 작용하였다. 가정변인에서는 형제자매의 수가 유의하였으며, 개인·심리변인에서는 학년, 우울감, 외국생활경험, 다문화 출신에 대한 차별경험, 학교생활적응 변인이 유의하였다. 학교폭력 피해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학교폭력 피해는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이민자 부모의 출신국가, 성별, 다문화정체성에 따라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유형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폭력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담 및 치유프로그램과 같은 예방적 개입,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교사 대상 연수, 학교폭력의 유형을 고려한 예방과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utilizing data from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The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as analyzed using family variables and individual·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played a greater role as a victim of school violence than the family background. The latent class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violence types, and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as categoraized into three types. In conclusion, to prevent damage to school violence b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eventive interventions, such as counseling and healing programs, various supports for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training for teachers, and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considering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 KCI등재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인건비 배분의 변화와 개선방안 탐색

        윤홍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3

        이 연구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인건비 배분의 변화과정 및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인건비 배분은 명확한 산정근거 없이 교직원의 현재 정원을 점증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방식은 시‧도교육청의 합리적인 인원조정을 유도하지 못하고, 단위학교 차원의 공평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학급편성의 기준이 되는 수용지표가 상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차원에서 교원수를 산정하고, 산정기준을 학급당학생수로 전환하며, 효율적인 인력운용을 유도하는 인센티브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asures to allocate local educational grant of personnel expenditure. This study is composed of review of allocation system for personnel expenditure, the problem of allocation system, and the efficient measure to allocate local educational grant. The problems of current alloca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can't introduce the reasonable effort of trimming of the personnels. Second, it can't ensure horizontal equity of site schools in terms of personnel expenditure. Third,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index of accommodation that make class, and it get worsen equity of learning environment. The measures to allocate local educational grant for personnel expenses are as follows. First, calculation of personnel is based on schools. Second, the criterion of computation should switch average class size from ratio of student to teaching staff. Third, incentive systems should be introduced to promote efficient running of staf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