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대혈이식 후 발생한 바이러스성 출혈성 방광염의 방광내 약물 주입치료

        윤해리,김조은,박지수,이정길,신대규,오도연,정소영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5

        Hemorrhagic cystitis is a common complication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recipients. We report a case of hemorrhagic cystitis after unrelated cord blood transplantation associated with adenovirus infection. Despite hydration, hematuria and large clots persisted. We instilled cidofovir into the bladder, which resulted in clearance of the adenovirus and significant clinical improvement. Our case emphasizes the effectiveness of intravesical cidofovir treatment for viral hemorrhagic cystitis. (Korean J Med 2011;81:663-666)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한 출혈성 방광염 환자에게 있어 바이러스뇨증이 흔하게 발견되며 그 중에서도 특히 아데노바이러스, BK바이러스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cidofovir 등의 항바이러스제가 치료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cidofovir의 정맥주입은 알려진 대로 신독성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본 증례는 제대혈이식 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출혈성 방광염에 일차 항바이러스치료로 cidofovir를 방광내 주입하였으며 신기능 악화 소견없이 임상적 호전 및 바이러스 제거 효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며 정맥내 cidofovir 주입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시민참여형 공공미술 유형에 따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디자인 방안 연구

        윤해리,정정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1

        현재 문화예술을 활용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예술작가 중심의 콘텐츠 전개방식으로 시민과의 공감대 형성 및 장기적인 유지의 한계점에 따라 공유가치 효과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시민참여형 공공미술의 참여유형에 따라 실효성 있는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시민참여형 공공미술과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데스크리서치를 진행한 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민참여형 공공미술의 참여 개입단계에 따라 의식적 참여, 체험적 참여, 협업적 참여로 참여유형을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외 대기업의 시민참여형 공공미술 CSV 사례를 분석한 뒤, 수요자 및 공급자 두 그룹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질적인 잠재욕구와 니즈를 도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시민참여형 공공미술을 활용한 기업의 CSV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개방적이고 자율적인 콘텐츠 소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민이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기획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야 한다. 두 번째, 기업 내부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운영체계 구성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체계 구축과 더불어 객관적인 성과측정체계를 구성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문화예술을 활용한 선순환 구조의 CSV 생태계를 구축하고 질적인 사회발전과 향후 지속가능경영 및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성화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CSV activities using culture and arts are increasing, but long-term consensus with citizens is limited and consensus formation through artist-centered cont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corporate CSV design plan according to the public art participation type of citizen participation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First, after conducting a desk study on citizen participatory public art and corporate CSV, the participatory type of citizen participatory public art based on prior research was classified. After analyzing the case of public art CSV of domestic and overseas large corporations, the actual needs and needs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mprehensive proposal for CSV design plan for civic participation public art companies. First, we provide an open content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ent planning framework. Second, configure programs and operating systems to enhance the internal functions of the enterprise.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system with stakehold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ablish a CSV ecosystem with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at utilizes culture and arts, and suggest qualitative social development guidelines, sustainable management, and ways to activate the creation of shared values ​​for companies.

      • KCI등재

        접근성에 따른 미술관의 예술 후원을 위한 대공간에 관한 연구

        윤해리,정유진,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삶의 질을 높이는 창조적인 활동으로서의 문화예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문화인프라에 대한 지원확대와 한국미술과 예술가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국민에게는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참여확대, 문화예술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미술의 발전과 국민들의 문화기회 및 참여확대, 예술가 지원에 기여하는 공공의 미술관 전시공간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의 문화예술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개선 및 기업 문화예술지원과 문화마케팅 연구와는 구분되는 미술관의 예술후원 전시공간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통한 문화예술의 지속적, 장기적 후원 전시공간 중, 대표성을 띠는 영국의 테이트 모던과 국내 국립현대미술관의 기업 후원 전시 사례를 살펴보았다. 테이트 모던의 기업후원전시가 관람객들의 폭발적인 호응으로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된 원인을 전시와 예술 후원을 위한 전시 공간 사이의 유의미한 점을 파악하였다. (결과) 전시 사례 조사 및 전시 공간 분석을 통해 테이트모던의 기업 후원 전시 공간 중 대공간에 해당하는 공간이 접근성이 높고 노출도가 높은 전시 공간이며 다각도에서도 관람이 가능한, 비목적성을 가진 관람객들도 참여할 수 있는 전시공간임을 확인하였다. 터빈홀은 미술관의 가장 중심적인 공간으로 모든 관람객의 움직임에 있어서 중심에 위치하는 공간이며 접근성과 노출도가 높은 공간으로 대공간의 기능을 갖고 있다. 국내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군도형미술관, 열린미술관으로 관람객들이 선택적으로 전시를 관람할 수 있게 기획되었으나 운영에 따라 직선형 관람 동선을 유도한다. 이에 따라 5전시실은 관람을 목적으로 찾아가는 관람객이 아니라면 접근이 어려운 취약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술관 연보의 전시실별 관람객수를 통해 미술관 주출입구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관람객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시실의 접근성이 관람객들의 참여와 연관되며 전시 참여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에 따라 예술후원을 위한 대공간으로 기능하는 전시 공간이 국민의 문화기회를 확대시키고 이를 통해 예술가와 한국미술을 국제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역할의 주요 공간 요소임을 제안한다. 테이트모던의 터빈홀과 같은 국립현대미술관의 5전시실과 접한 공용 공간을, 5전시실과 연결된 전시공간으로 확장하여 대공간화 함에 따라 전시공간의 확대와 접근성을 높이며, 홍보를 포함한 기타 참여확대에 이르기까지 국내 작가를 양성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기를 기대한다. 미술관을 단지 미술품을 수집, 전시하는 공간에서 열려있는 공공 공간으로서 공론의 장을 만들어냄에 따라 국민들의 문화참여 확대와 한국미술의 발전 및 작가를 양성하는데 의미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is being emphasized.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support for cultural infrastructure and continue support for Korean art and artists.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opportunities, expand participation, and enhance the public’s access to culture and arts. This study targets public art museum exhibition spaces that contribute to this. It proposes an exhibition space for sponsorship of art museum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policy improvement affecting existing culture and arts, and from corporate cultural arts support and cultural marketing research. (Method) We looked at examples of continuous and long-term sponsored exhibition spaces in culture and art, facilitat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and corporate sponsorship exhibitions at the Tate Modern in Britain and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The reason for the worldwide attention of Tate Modern's Corporate Sponsorship Exhibition owing to the explosive response of visitors was identified b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hibition and exhibition space for art sponsorship. (Result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wartime cases and analysis of exhibition sp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Tate Modern's corporate-sponsored exhibition space is an accessible, highly exposed exhibition space, one that is open to non-objective visitors. The turbine hall is the most central space in the art museum and functions as a major space as the central space for the movement of visitor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s an open art museum; it is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selectively watch exhibitions, but operates as a straight line view. Therefore, the exhibition hall is located in a vulnerable area with difficult access, and the number of visitors per exhibition room, according to the museum's Annual Report,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main entrance of the museum increases. This shows that the accessibility of the exhibition room is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the visitors and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exhibition is decreasing. (Conclusion) It suggests that exhibition space, which functions as a major space, is a spatial element that expands people's cultural opportunities and promotes artists and Korean art internatio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space in contact with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5 gallery will be expanded to show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expansion and accessibility of exhibition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large space system, and functioning as a space for nurturing domestic writers. It is meaningful to expand peoples’ participation in culture, develop Korean art, and cultivate writers, as public spaces open up to art collections and exhibitions.

      • KCI등재

        소셜미디어 플랫폼 유형에 따른 네이티브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분석

        윤해리,정정호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Each individual type of social media platforms demands differentiated native advertis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of using the service. As a matter of fact, although advertisement contents are not differentiated in social media,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over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ways of designing communication for native advertisement that can draw positive responses from the users by the types of social media platforms. This researcher structuralized the types of social media platforms and divided them largely into four types, ①the expression type, ② relationship type, ③ communication type, and ④ contents sharing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and users’ human network.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native advertisement showing high utility rate and drew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type that combines visual contents attracting users’ attention in the expression-type platform with participatory elements can enhance consumers’ immersion. Second, if we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employ devices to elicit behavior,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vir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type platforms. Lastly, to spread the contents of social media, this author suggests a way of connecting or integrating contents combining brand elements with multiple platfo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undationally to design communication in native advertisement which is effective in the diversified environment of social media afterward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vitalize the advertising markets of social media both in Korea and overseas desirably. 소셜미디어 플랫폼 유형별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목적에 따라 차별화된 광고 전략이 요구되지만, 무분별한 광고 콘텐츠에 대한 문제제기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유형별로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유형을 구조화하여, 크게 사용자 인맥관계와 서비스 특성에 따라 ①표현형, ②관계형, ③커뮤니케이션형, ④콘텐츠 공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용률이 높고 현재 서비스 중인 플랫폼의 네이티브 광고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첫 번째, 표현형의 사용자 주의를 주목시키는 시각적 콘텐츠와 참여형 요소가 구성된 형태가 사용자 몰입을 높일 수 있으며, 두 번째, 유용한 정보 제공 및 행동유도 장치를 통해 관계형과 커뮤니케이션형 플랫폼에서 바이럴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의 콘텐츠 확산을 위해 브랜드 요소를 결합한 콘텐츠를 복수의 플랫폼과 연계 또는 통합하는 방식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향후 다변화된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효과적인 네이티브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하며, 사용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견인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 광고 시장의 발전 및 활성화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기업의 시민참여형 공공미술 유형에 따른 공유가치창출(CSV) 활동 분석

        윤해리 ( Jung Jung-ho ),정정호 ( Kim Chul-woo ),김철우 ( Lee Ku-yong ),이구용 ( Ryu Jae-han ),류재한 ( Min Chun-gi ),민춘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5 No.-

        최근 기업은 사회적 책임(CSR)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상생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공유가치창출(CSV)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에서 공공미술을 활용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은 단순한 심미적 관점이 아니라, 시민들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민참여형 공공미술을 활용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의 활동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데스크리서치를 통한 개념분석 및 선행연구를 통한 유형 분류, 유형별 국내외 대기업 우수선진 사례 분석을 통해 가치제안 하였다. 분석결과로, ① 지역문화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확대 ② 지속가능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구축 ③ 기업, 지자체, 시민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간의 협력시스템 구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민의 주체적인 참여에 의한 지속적인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하며, 문화예술지원의 발전 및 활성화를 기대해본다. Recently, businesses hav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are searching for methods for creating shared value(CSV) in order to realize continuous co-prosperous value. In particular, the corporate creation of shared value utilizing public art in the culture and arts field needs, not a simple aesthetic point of view, but concrete alternatives that allow socio-economic shared value to be created together with the public. At thi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esent action plans for creating shared value(CSV) for businesses utilizing participatory public art in which citizens can autonomously take part in. It made value propositions through concept analysis conducted using desk research, type classification made using precedent research, and analyses of well advanced cases from large corporations home and abroad by each type. Analysis results led to the ① expanded development of programs utilizing local culture, ② the construction of a sustainable communication platform, and ③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on system for various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businesses,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base material that can create continuous shared value through the autonomous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expectations are made toward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art and culture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