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기 획득과정에서의 요구사항 결정 프레임워크

        윤하늘,옥영호,왕지남,Yun, Ha-Neul,Ok, Young-Ho,Wang, Ji-Nam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12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8 No.1

        In Weapons acquisition process, if the requirements are not clear, it leads to confusion and conflict in business. In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weapons, to define and derive requirements has to start from decision of operational concept. It is difficult task and has many uncertainties. This paper has goal about development of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that derive military operational scenario-based requirements acquisition process and framework that classify and save the derived requirements for next project. That framework can generate new class and category, also suggest that verification of requirements. It help to derive and manage the requirements, and make it easy to grasp the requirements. Accordingly, it can help make military requirement plan and weapon acquisition process.

      • 요구사항 시험검증을 위한 Template기반의 논리적 물리적 모델링

        윤하늘(Yun Ha-neul),옥영호(Ok Young-ho),왕지남(Wang Ji-na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7

        요구사항에 대한 실제 검증은 많은 비용과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새로운 무기체계 개발에 있어 요구사항이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과 가변적인 특성은 검증방법에 대한 결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검증방법에 대한 실제 검증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사항 검증방법에 있어 컴퓨터 기반의 논리적 모델과 물리적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특정 무기에 있어 실제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제시할 수 있으며 Template 기반의 모델링방법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제안 방법을 획득과정에서 확산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한다.

      • 무기 획득과정에서의 요구사항 결정 Framework

        윤하늘(Yun Ha-neul),옥영호(Ok Young-ho),왕지남(Wang Ji-na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7

        무기획득과정에서 요구사항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많은 업무혼선과 갈등을 야기한다.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정의하는 것은 차세대 무기개발에 있어 운용개념부터 결정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많고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은 군의 작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군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더 나아가 시스템 요구사항을 도출해내는 지식 획득 과정과, 도출한 요구사항을 분류 및 저장하여 다음 프로젝트 진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Framework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당 Framework는 필요시 새로운 클래스 및 범주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요구사항의 검증방법 또한 제시한다. 이 연구는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 보다 쉽게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 군 소요계획 작성 뿐만 아니라 무기획득과정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스프레드잼의 품질특성

        하늘,정희경,진성우,김경제,고영우,임승빈,정상욱,경원,김기만,서경순,Ha, Neul-I,Jeong, Hee-Gyeong,Jin, Seong-Woo,Kim, Kyung-Je,Koh, Young-Woo,Im, Seung-Bin,Jeong, Sang-Wook,Yun, Kyeong-Won,Kim, Ki-Man,Seo, Kyoung-Sun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원목표고를 활용하여 전통된장의 기호성과 저장성이 향상된 저염표고된장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구로 시판된장(전통된장, 농업회사법인 장흥식품)을 분석하였다. 염도함량은 염수 중 식염 첨가량이 낮은 저염표고된장이 시판된장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L(명도)값은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은 저염표고된장보다 시판된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시판된장에서 glucose, fruct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저염표고된장에서는 arabinose와 fucose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유기산 분석결과 시판된장과 저염표고된장은 2 종만 검출되었으며,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은 4 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시판된장과 저염표고된장의 주요 아미노산은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시판된장(49.26 mg%)보다 저염표고된장(54.81 mg%)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43.01 mg%로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과 β-glucan은 표고정과를 첨가한 된장스프레드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중된장보다 저염표고된장에서 함량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저염표고된장 및 된장스프레드잼은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며, 염도가 낮은 장점이 있어 표고를 활용한 건강식품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a low-salt Lentinula edodes soybean paste (LSLESP) with improved palatability and storability relative to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was developed by utilizing low quality log cultivation of L. edodes. We also conducted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es of spread jam made from low-salt L. edodes soybean paste (SJLLESP). The lowest salinity content and the highest L (brightness) value was found in LSLESP. According to proximate compositions analysis,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 were higher in commercial soybean paste than in LSLESP. Glucose, fructose, and maltose were the only free sugars detected in commercial soybean paste, whereas arabinose and fucose were additionally detected in LSLESP. Only two types of organic acid, were detected in common in commercially available soybean paste and LSLESP. Four types of organic acid, were detected in SJLLESP due to its added ingredients. The major free amino acids in commercially available soybean paste and LSLESP are histidine, glutamic acid, and arginin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LSLESP (54.81 mg%) than in commercial soybean paste (49.26 mg%).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in SJLLESP was 43.01 mg%. Ergosterol and β-glucan contents were highest in SJLLESP. The elevated ergosterol and β-glucan content in low-salt LSLESP relative to commercial soybean paste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LSLESP and SJLLESP contain useful components from L. edodes, and offer the advantage of low salinity. LSLESP and SJLLESP could thu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using L. edodes.

      • KCI우수등재

        [지능로봇] SEA를 이용한 고속 세그웨이의 주행 안정성 향상

        윤하늘(Ha-Neul Yun),방진욱(Jin-Uk Bang),김지현(Ji-Hyeon Kim),이장명(Jang-Myu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9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6 No.4

        최근,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연구와 상용화 제품 개발이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퍼스널 모빌리티의 성능은 점차 향상되어 개발되고 있으며, 성능 개발과 더불어 주행 중에 발생하는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 및 주행 안정성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퍼스널 모빌리티 연구는 성능 및 제어기의 우수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안정성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일종인 세그웨이 모델에 직렬 탄성 액추에이터를 추가하여 직진 및 선회 주행 시의 주행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은 직진 주행 및 선회 주행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두 실험을 통해 직진 및 선회 주행 시 탑승자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M(personal mobility) such as the Segway, electronic unicycle have been developed continuously and 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continuously improved. However, most researches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PM and the excellence of controller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tability. So,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dangerous situations and to secure the stability of driver.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a SEA (Series Elastic Actuator) in a Segway model to improve the driving stability during curved and straight driving and , thus,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driver and ensuring driving stability. This paper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rol method of the SEA for improvement of the driving stability.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suggested in this paper is verified by linear and curved driving experiments, thereby, confirming the improved the driving stability.

      • KCI등재

        더덕,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고영우,경원,김경제,진성우,임승빈,하늘,정희경,김승주,김복선,최유진,송다혜,서경순,Koh, Young-Woo,Yun, Kyeong-Won,Kim, Kyung-Je,Jin, Seong-Woo,Im, Seung-Bin,Ha, Neul-I,Jeong, Hee-Gyeong,Kim, Seung-Ju,Kim, Bok-Seon,Choi, Yu-Jin,Song, Da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4

        한약재로 사용되는 더덕과 도라지에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더덕표고균사발효물(FCLM)과 더덕도라지균사발효물(FPLM)을 제조하였다. 두 가지 발효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𝛽-glucan, ergothioneine, ergosterol, vitamin D<sub>2</sub> 함량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FCLM에서 조섬유와 조지방함량이 FP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FPLM은 조단백질과 가용성무질소물의 함량이 FC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FCLM과 FPLM 모두 arabinose, glucose, sucrose 3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당 함량은 FPLM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발효 후 FCLM과 FPLM에서 낮게 나타났다. 𝛽-Glucan 함량은 FCLM과 FPLM 두 발효물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ergothioneine의 함량은 FCLM이 FPLM보다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D<sub>2</sub>는 발효물들에서만 검출되었으며, FPLM (0.58±0.01 mg%)가 FCLM (0.47±0.01 m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더덕과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인 FCLM과 FPLM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하여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FCLM과 FPLM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억제하여,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ood and medicinal products containing useful components of Lentinula edodes in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s for use as herbal medicine. We manufactured C. lanceolata (FCLM) and P. grandiflorus (FPLM) extract fermented with L. edodes mycelium. The effect of the two fermented products on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 organic acid, 𝛽-glucan, ergothioneine, ergosterol, and vitamin D<sub>2</sub> levels, and 3T3-L1 preadipocyte cell growth were studi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rude fiber and crude fat content in FCLM was higher than that in FPLM, and the crude protein and soluble nitrogen content in FPLM was higher than that in FCLM. Free sugar analysis detected arabinose, glucose, and sucrose in both FCLM and FPLM, and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 in FPLM. The organic acid content was lower in FCLM and FPLM compared to C. lanceolata and P. grandiflorus before fermentation. The 𝛽-glucan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L. edodes used as a control in both fermented products, FCLM and FPLM. The content of ergothioneine, an antioxidant, was higher in FCLM than in FPLM. Ergosterol content was highest in L. edodes which was used as a control, and the two fermented products showed similar content. Vitamin D<sub>2</sub> was detected only in FCLM and FPLM, and FPLM (0.58±0.01 mg%) showed a higher vitamin D<sub>2</sub> content than FCLM (0.47±0.01). FCLM and FPLM showed a higher level of cell viability for 3T3-L1 pre-adipocytes compared to non-fermented C. lanceolata and P. grandiflorus. In addition, FCLM and FPLM inhibited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more than C. lanceolata and P. grandiflorus before fermentation, which may exert an anti-obesity effect.

      • KCI등재

        표고 유산균 발효물의 성분 및 간기능 보호 효과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정희경,이재근,경원,서경순,Im, Seung-Bin,Kim, Kyung-Je,Jin, Seong-Woo,Koh, Young-Woo,Ha, Neul-I,Jeong, Hee-Gyeong,Lee, Jae-Keun,Yun, Kyeong-Won,Seo, Kyoung-Sun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표고를 추출 및 농축하여 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3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표고의 농도를 달리하여 유산균을 배양하였을 때 면역관련 물질인 ergothioneine 및 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ergothioneine함량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plantarum이 첨가되어 배양된 발효물이 40.48 mg/100 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β-Glucan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brevis가 첨가된 발효물이 13.94%로 가장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두 면역관련 물질 모두 표고추출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D rat을 간을 적출하여 일차 간세포로 분리해 발효물의 간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고추출농축액과 유산균 발효물을 10, 50, 100, 500 ㎍/mL을 일차 간세포에 처리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10 mM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하여 독성을 유발한 일차 간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여 AST, ALT, LDH를 측정한 결과, 효소의 농도가 감소하여 간보호 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L. brevis를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물 처리구에서 효소의 농도가 가장 감소한 것을 보았고, 가장 간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표고추출농축액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기존의 표고보다 면역관련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고, 간기능 보호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표고 유산균 발효물이 건강기능 소재로서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usefu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Lentinula edod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B). Three LAB strains (Lactobacillus brevis KCCM 11904, L. plantarum KCCM 354469, and L. fermentum KCCM 12116) were inoculated and used for L. edodes hot water extract (10%, 20%, 30%) fermentation. LAB fermentation of L. edodes hot water extracts decreased pH and thus were more acidic than non-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 β-glucan and ergothioneine contents were increased by L. edod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ergothioneine and β-glucan contents were highest in fermented with 30% L. edodes hot water extract fermented by L. plantarum and L. brevis (40.48 mg/100 g and 13.94%, respectively).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s by the three LAB were tested using Sprague-Dawley rat primary hepatocytes. In primary hepatocytes obtained following liver injury induced by acetaminophen, 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s by the three LAB showed protective effects, as evident by reduction of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liver markers. The collectiv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s obtained using LAB are potentially valuable in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 KCI등재

        퍼지제어기와 전류센싱방법을 이용한 모바일 로봇의 Slip현상 추정 및 주행성능 향상

        김동언(Dong-Eon Kim),윤하늘(Ha-Neul Yun),박선호(Seon-Ho Park),최병찬(Byeong-Chan Choi),이장명(Jang-Myung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7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3 No.4

        An optimal slip control algorithm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driving performance of a mobile robot in outdoor environments. The optimal slip control is aimed to achieve a straight line driving accurately by minimizing the slip. The slip is occurred by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robot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has a critical effect on the straight line driving efficiency. To reduce the slip, an ASS(Anti Slip System) has been implemented using FSC(Fuzzy Slip Control) where encoder and current sensor data are properly used not to cause cumulative errors. To demonstrat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real experiments are performed using a mobile robot in the outdoor.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