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연안재해 관리시스템 기능 개발 우선순위 선정 및 시스템 설계

        윤초롱,오국열,김원현,양동민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2

        Due to climate change, coastal areas are expected to be weighted disaster caused by sea level rise, the regional disaster characterized by coastal and river disasters, sea level rise, tsunamis, high tides may occur in combination. For disaster preparing and proactive managemen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astal areas are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oast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manage the complex disasters in coastal areas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a Coastal Disaster and Management System that may be beneficial because the expected collective flooding caused by various attention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cities were considered. It provided evacuation guidance and information over the coastal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assisting the general public and decision-making organizations. For an effective development of system, functions were identified, given their respective relative importance and development priority, by compa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Natural Hazards System case studies and survey questions. These functions were selected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Priority rank derived through the AHP, flood maps, evacuation maps, disaster field information,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was proposed for Coast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uthority. Menu structure was also obtained. 기후변화로 인해 연안지역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재해가 가중될 것으로 예측되며 해수면상승, 해일, 만조의 해안재해와 하천재해가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연안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재해 대비와 사전예방적 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까지 반영된 연안지역의 복합 재난을 관리하기 위한 연안재해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도시의 지역적 특성에 주목하여 다양한 원인을 고려한 복합 침수예상도와 그에 따른 대피지도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국민 연안재해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연안재해 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효과적 시스템 개발을 위해 국내·외 관련 시스템 사례 분석과 전문가, 연구진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기능을 도출하였으며, 계층적 분석 기법(AHP)을 통해 기능 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개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우선순위를 통해 도출된 침수예상도, 대피지도, 현장정보, 재해정보 기능을 바탕으로 연안재해 관리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개별 특징과 사용권한을 고려하여 메뉴구조도를 도출하였다. 연안재해 관리시스템의 개발 우선순위로 도출된 핵심 기능인 복합 침수예상도는 연안에서 발생 가능한 다중적인 재해 원인이 고려된 결과를 표출하는 것으로서 연안재해 관리에 효율적인 의사결정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대피 정보 제공을 통해 재해피해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시스템 설계 고도화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에 맞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침수예상도, 대피지도 등 표출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병행된다면 재난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nti-Aging’ of Fashion Brands with Sustained Longevity in Korea: A Qualitative Research on Self-Diagnosis and Treatment of Brand Aging

        윤초롱 한국복식학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Vol.19 No.2

        This study explores loyal customers' aging issue with regards to fashion brands that have sustained longevity. When such customers’ brand commitment lasts many years, their average age increases whilst the acquisition of new customers decreases, which means the brand eventually becomes ag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siders how seriously fashion brands perceive the issue of loyal customers' aging and how actively they confront this issue.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iddle managers that work in marketing, design and merchandising departments at Korean fashion brands with sustained longevity. The researcher analyzed fashion brands by dividing their approach into product, price, communication, and distribution; and proposed desirable strategies for fashion brands with sustained longevity who want to attract Millennials by strategically developing targeted products and adjusting materials to lower product prices. As brands regard the young designs that result from collaborating with illustrators as loved by Millennials, such brands need to expand their retail channels to various online retailers familiar with Millennials and prepare communications that focus on increasing brand awareness. Such approach should consider that Millennials are unfamiliar with such brands, despite such brands currently holding a dominant market position.

      • Differences i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of Regional Subculture Groups

        윤초롱,추호정 한국복식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Vol.10 No.2

        This study regarded fashion selection criteria a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desired fashion images, and examined selec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al subculture groups. Clothing consumption value is a direct value that people seek with clothing products and a perceived value which is divided into emotional, social, price, quality values. Fashion image which is a feeling communicated to other by wearing a certain fashion style is the most superficial valu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regional subculture groups i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desired fashion images. We found some differences in clothing consumption value specifically in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The group differences were remarkably significant in fashion image comparison. ‘Kang-nam’ group pursued ‘lively’, ‘sophisticated’, ‘charming’, ‘feminine’ ‘gorgeous’ image more than ‘Kang-buk’ group pursued lower scores in ideal fashion images, the group had significant higher seeking in ‘sportive’ image compared to ‘Kangnam’ group.

      • Adolescent Consumer Segmentation According to Retailer Patronage in the School Uniform Market

        윤초롱,정혜정,이유리 한국복식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urchase behaviors for school uniforms among adolescent consumer groups which were segmented by the type of retailer they patronized. An online survey was carried out and 907 data sets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s support that classifying adolescent consumers according to what type of retailers they patronize lead to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segmentation of the school uniform market. The adolescent consumers consisted of five groups categorized by the retailer types. These types included special stores, department stores, discount stores, small custom-made stores and store designated by school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onsumer groups segmented by retailer patronage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use of multimedia information sources. Five consume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purchase evaluative criteria: utilities and promotions.

      •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TiO₂ 박막제조

        윤초롱,오효진,이남희,Guo Yupeng,김선재 한국표면공학회 2007 한국표면공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07 No.-

        자외선 차단용 TiO₂박막을 제조하기 위해 수열합성법 중 외부로부터 N₂가스를 인가하는 방법으로 200 bar의 압력을 유지하여 브룩카이트상의 TiO₂졸을 합성하였다. 제조된, TiO₂졸을 잉크젯 프린터로 FTO glass에 프린팅하여 TiO₂박막을 제조하였고 합성된 졸과 박막의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합성된 졸의 크기는 30nm 이하로 비교적 균질하였으며 잉크젯 프린팅 후에도 입자 형상 및 크기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코팅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 영역에서의 흡수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

        윤초롱 ( Chorong Youn ),문희강 ( Hee-kang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의 개념을 확인하고 제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으로 생활한복 교복만이 언급되었으나, 최근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새로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을 생활한복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적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의 교복으로 확장시키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통해 전통을 반영한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청소년의 선호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고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 평가차원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여중생과 여고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51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 2종을 자극물로 제시하여 이들에 대한 이미지 평가 및 선호태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물에 대해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여 두 자극물이 전통적으로 표현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현대적 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두 자극물 사이의 선호태도를 비교한 결과, 청소년들은 현대적으로 표현된 교복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제품에 대한 미적 이미지 평가 차원을 밝힌 결과, 품위/단아, 편안/실용, 고루/투박, 장식/화려의 네 차원이 도출되었다. 각 이미지 평가 차원이 현대적 표현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을 편안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나 단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인식할수록 현대적이라고 평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 of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may reflect the ima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the images of Hanbok.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 from a modern viewpoint and reflecting i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design, a large portion of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c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dentify adolescents` preferred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is study examined if they prefer modernized Korean image to realistic one. And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dimensions on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at affect their al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were identified as wel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551 female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operatinal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odern expressivity and preferred the school uniform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image with modern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our dimensions, refined/ graceful, easy/practical, stuffy/rustic, and decorative /staring were drawn. It was found that the easy/practical dimensions factor and refined/ graceful factor affected adolescents` perception of modernity in Korean image uniform.

      • KCI등재

        SPA 브랜드의 친환경 활동 커뮤니케이션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윤초롱(Youn, Cho R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태도가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주요 장애물이 높은 가격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가격장벽을 극복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A 브랜드의 친환경 패션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를 대상으로, 친환경 커뮤니케이션이 제공되지 않은 집단과 패션 브랜드의 대표적인 친환경 활동 네 가지를 다룬 커뮤니케이션을 접한 집단을 비교하였다. 20대, 30대 남녀 소비자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는 SPA 브랜드의 친환경제품 개발, 제품 리사이클, 환경보호기금 기부 캠페인, 친환경 매장 운영 중 하나를 다룬 가상의 기사를 제시하는 설문지 혹은 아무런 기사도 제공하지 않는 설문지에 무작위 할당되었다. 분석 결과, SPA 브랜드의 친환경 활동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접한 소비자는 커뮤니케이션을 접하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 친환경제품에 높은 지불의사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각 활동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친환경 제품 개발의 지불의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환경보호기금 기부 캠페인, 친환경 매장 운영, 제품리사이클의 순으로 지불의사가 높게 확인되었다. 커뮤니케이션을 접하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지불의사를 보인 경우는 친환경 제품 개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에 노출된 통제집단뿐이었으나, 통제집단의 평균 지불의사와 비교하면 최소 4.3%에서 최대 24.0%까지 높은 지불의사를 보여, 친환경 활동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가격 장벽을 허무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high price that works as a major barrier to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SPA brands" eco-communication can elevate the willingness to pay (WTP) for eco-friendly product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of the communication effects by four eco-friendly activity types: 1) eco-friendly products, 2) products recycle, 3) fund-raising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4) eco-friendly stores. Four types of survey (for experiment) with different fictitious news stories about the four types of eco-friendly activities and a survey (for control) without news story are developed, then one of them is randomly assigned to a participant. The 320 survey participants are asked to answer the willingness to pay for a eco-friendly product with a type of stimuli (experimental group) or without a stimulus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s that fashion companies" communications on eco-friendly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coming the price barrier of eco-friendly purchase. Communications of eco-friendly products is the most effective, and fund-raising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ommunications of eco-friendly stores and products recycle are effective in order. The WTP of respondents encountering communications of eco-friendly product is only higher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at the higher WTP of experimental group (from 4.3% to 24.0%)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dicates the positive effect of SPA brands" eco-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