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령전 正祖 御眞의 移奉 내력

        윤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7

        This manuscript is focused on the record which can identify the history of King Jeong-jo’s portrait which was enshrined at Hwaryeong-Jeon. In temporary palace of Hwaryeong-Jeon which is in Su-won, there is a portrait painted in 2003 instead of the original King Jeong-jo’s portrait. This manuscript tried to positively review the reasons why King Jeong-jo’s portrait at age 40s’ had produced and enshrined at Hwaryeong-Jeon, moving history after leaving the Hwaryeong-Jeon and the problems of current portraits. In 1792(King Jeong-jo 16), King Jeong-jo enshrined his small size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in Hyeollyungwon’s religious service. After King Jeong-jo’s death, this portrait had moved to Su-won temporary palace’s Yuyeotaek and after the continuous discussion of the place to move, the Hwaryeong-Jeon was built. In 1800(King Sunjo entrance to the throne) December, before the construction of Hwaryeong-Jeon, King Sunjo sent the large size portrait of King Jeong-jo to Hwaseong temporary palace. This portrait was painted in 1797(King Jeong-jo 15) and was finally preserved at Seohyanggak. I supposed this portrait as a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and confirm that it was a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from the records of 1874(Emperor Gojong 11). In this case, there are total 4 paintings of King Jeong-jo at age 40s drawn in 1797, each of large and small size portrait in red silk and each of large and small size of a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Current portrait of King Jeong-jo hanging in Hwaryeong-Jeon is necessary to find the meaning of this ancestral extension line. Historical research of drawing technique and costume at the time of King Jeong-jo’s portrait production is very important regeneration requirement. The position and the meaning of the Hwaryeong-Jeon located in Suwon temporary palace can be deeply illuminated when we know the truth about King Jeong-jo’s portrait correctly and when efforts are made to restore continues. 이 논문은 華寧殿에 봉안되었던 正祖御眞의 移奉 내력을 확인 가능한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지금 수원 行宮의 화령전에는 있어야 할 정조어진은 전하지 않고, 2003년에 제작한 정조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본고에서는 정조의 40세 어진이 제작되어 화령전에 봉안된 경위와 화령전을 떠난 뒤의 이봉 내력, 그리고 정조어진이 최종적으로 역사에서 사라진 사실들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1792년(정조 16) 정조는 자신의 군복본 어진 소본을 顯隆園의 齋殿에 봉안하게 하였다. 정조의 사후 이 어진은 화성 행궁의 維與宅으로 이봉되었고, 상시적인 봉안처에 대한 논의 끝에 화령전이 건립되었다. 1800년(순조 즉위) 12월, 화령전의 건립을 앞두고 순조는 화성 행궁으로 정조어진 대본 1점을 내려 보냈다. 이때 내려 보낸 어진은 1791년(정조 15)에 그린 뒤 書香閣에 보존되었던 군복본이고, 이후 화령전에 봉안되었던 정조어진임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1791년에 그린 정조의 40세 어진은 기존에 알려진 강사포본 대소본 2점, 군복본 소본 1점 등 3점이 아니라 군복본 대본 1점을 더 추가한 4점을 제작한 것이 된다. 화령전에 봉안된 정조어진 대․소본 2점은 1908년 국가제사제도와 관련하여 慶運宮 璿源殿으로 이봉되었고, 1921년에는 창덕궁의 新璿源殿으로 옮겨졌다. 이후 6.25전쟁 때 안전을 위해 부산으로 이송하였으나 1954년 12월의 화재로 인해 정조어진을 포함한 대부분의 어진이 망실을 면치 못했다. 현재의 화령전에 걸려 있는 정조의 초상화는 이러한 전래 내력의 연장선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정조의 어진 제작 당시의 화법과 복식 등의 고증은 매우 중요한 재현의 요건이다. 수원 행궁 옆에 자리 잡은 화령전의 위상은 정조어진에 대한 실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이를 검증된 표준영정으로 제작할 때 그 역사적 의미를 깊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방위를 이용한 진위 결정 알고리즘

        윤진영,정선재,임재홍,Youn, Jin-Young,Jeong, Seon-Jae,Yim, Jae-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4

        천문을 이용한 측위는 과거로부터 육분의(Sextant)를 이용하여 시행하여 왔다. 주로 천측력과 천측계산표를 이용하여 St. Hilaire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현대에는 IT 기술과의 접목으로 LOP(Line of Position) 방식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과거의 방식 대비 LOP 방식은 항상 위치가 진위(True Position)와 허위(False Position) 두 가지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항해사가 반드시 판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OP 방식에서 발생하는 허위의 제거를 위해 방위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히 방위를 이용하게 되는 이론적 고찰을 여러 방법으로 제시하여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본 논문의 이론적 근거가 타당성을 가지고 있음을 평가하였다. Astronomical positioning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past by using Sextant. The St. Hilaire method was mainly used by Nautical Almanac and Sight Reduction Tables For Marine Navigation. In modern times, it has been able to use the LOP(Line of Position) method smoothly by combining with IT technology.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past method, the LOP method always shows two positions, True Position and False Position, which must be distinguished by the navigator.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using the azimuth to remove the false position generated by the LOP method.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using azimuth are presented in various ways, and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s confirmed. Simulations are presented to confirm that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hesis is valid.

      • KCI등재

        Dendrobium nobile ‘Hamana Lake Dream’ X ‘No. 55’의 기내 줄기삽목에 미치는 배지의 종류와 온도의 영향

        윤진영,남유경,이종석,김현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3

        The optimal growth condition of in vitro stem cutting of Dendrobium nobile 'Hamana Lake Dream' X 'No. 55' was investigated. Among various media and their concentrations, MS media had better effect on the growth of micro stem cutting than Hyponex media in all concentration levels except stem length. The activated charcoal concentration in MS media showed different effects on number of stem and root, leaf length, and fresh weight: the most effective in the range of 0.1 to 1.0 g/L and barely effective above 2.0 g/L. Addition of agar 5 g/L, sucrose at 40 g/L, and peptone at 1 g/L to MS media increased significantly stem length, leaf width, and fresh weight, internode length and number of roots, and the number of stem and leaves. On the other hand, addition of gelite with any concentration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micro stem cutting compare to that of control. The optimal temperature for growth of micro stem cutting was 28℃. Under the same temperature, MS medium was better than Hyponex medium for the growth of stem. In addition, sucrose at 40 g/L was the most effective on growth at 28℃. 본 실험은 Dendrobium nobile 계통의 교잡종인 'Hamana Lake Dream' X 'No. 55' 유묘의 기내삽목 시 증식 및 생육에 알맞은 배지와 배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Hyponex배지보다 MS배지에서 생장이 잘되었는데 MS배지에 활성탄을 0.1과 1.0g/L 수준에서 첨가했을 때 줄기수와 엽장, 근수, 생체중이 양호하였으나 2.0g/L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MS배지에 agar, sucrose, peptone, gelite를 농도별로 첨가한 실험에서는 agar 5g/L 첨가 시 줄기 길이와 엽폭, 생체중의 값이 높았고, 절간장과 근수는 sucrose 40g/L을 첨가했을 때 효과적이었다. 또한 줄기수와 엽수는 peptone 1g/L에서 효과적이었으나 gelite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저조하였다. 기내삽목 시 배양온도는 28℃가 알맞았고 동일한 온도조건에서는 MS배지가 Hyponex배지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ucrose 농도별 실험에서는 28℃에서 40 g/L를 첨가하는 것이 좋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시 경화 제작기법을 적용한 이종 수지 복합재의 열적/기계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윤진영,최지덕,박철용,김영규,Yoon, Jin-Young,Choi, Jiduck,Park, Cheolyong,Kim, Younggyu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3 No.5

        Individual curing process of each layer in two resin composites can be caused the separation between two layers. In this study, co-curing process for two resin composites is suggested to improve the inter-layer bonding. 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s with phenolic and epoxy resins were manufactured by co-curing process, and several types of glass/phenolic composites were considered to confirm the application on two resin composites. Experiments for smoke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flexural strength were carried out to verify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thermal and mechanical environments. It was validated that two resin composites with phenolic resin impregnated prepreg exhibits good therm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it can serve as highly effective composite structures in aerospace and many industry area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