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분야에서 식생지수의 활용

        윤정범,영남,김윤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5

        최근 농업분야에서 정밀농업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정밀농업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인 연구분야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작물의 생육 및 수량을 예측하는 것이다. 특히, 여러 영상정보 중에서 다중분광 혹은 초분광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작물의 생육 및 수량예측이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각각의 센싱장비를 통해서 획득된 영상정보는 여러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방법이 다중분광 및 초분광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식생지수로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물의 생육을 예측하는 것이다. 식생지수는 식물체내의 광합성색소함량 및 광합성효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파장을 기반으로 산출된 지수이다. 현재까지 약 150종의 식생지수가 알려져 있으나 농업분야에서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식생수는 일부에 불과하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식생지수들 중 주요한 식생지수들을 선별하여 식생지수들의 산출공식, 적용방법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하였다. Recently,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lement precision agriculture in the agricultural sector. Among them, the most representative research area in precision agriculture is to predict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crops using the imagery data. In particular, among various image information, plant growth and prediction of crop productivity based on multi-spectral or hyper-spectral images are the most actively studied areas. The image data obtained through many sensing-equipments and the image data can be used in many area. Among them, the most commonly using area is to convert image data into various vegetation indices using multi-spectral or hyper-spectral images and the data can predict the plant growth condition. The vegetation index is an calculated-index based on wavelength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in the plants. So far, approximately 150 vegetation indices have been identified, but only a small number of vegetation index have been used in the agricultural area. For this reason, this paper selected the major vegetation indices among the various vegetation indices and summarized the calculation formulas and application methods of it in agricultural sectors.

      •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의 약제 살충력 검정

        윤정범,김형환,김동환,양창열 한국버섯학회 2016 버섯 Vol.20 No.1

        국내 버섯 재배지에서 가장 심하게 피해를 주는 해충은 버섯파리이며 버섯 생산량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 이다. 버섯파리 유충은 균사를 먹어 절단시키거나 자실체를 파먹어 상품성 저하의 피해뿐만 아니라 성충, 유 충 모두 이동 중에 각종 세균과 푸른곰팡이 등의 병원균을 몸에 묻혀 매개함으로써 복합 피해를 유발시키기 도 한다. 버섯파리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훈증제를 제외한 diflubenzuron(양송이, 느타리), teflubenzuron(버 섯) 2종뿐이며, 양송이의 경우 등록된 약제마저도 복토 전 2회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복토 후에는 농약 잔류문제로 약제사용에 제약이 많아 방제가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등록된 약제가 2종뿐이어서 재배농가에서 번갈아 살포하더라도 오랜 기간 사용해왔기 때문에 약제 저항성이 의심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버섯파리를 대상으로 각종 약제의 살충력을 검토하였다. 연중재배가 가능한 의령 느타리 봉지재배사에서 폐배지를 수거 하여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 유충을 채집한 후 필터페이퍼가 1장 깔린 직경 5 cm의 페트리디쉬에 유충 10개체씩(3-4반복) 옮겨 넣고, 버섯파리 등록 약제 노몰트와 디밀린, 그 외 여러 약제를 표준농도로 희 석 후 3 ml씩 살포하여 긴수염버섯파리의 약제 살충력을 비교조사하였다.

      • 달마시안제충국을 이용한 버섯파리 방제용 천연살충제 검정

        윤정범,김형환,김동환,양창열,서미혜 한국버섯학회 2017 버섯 Vol.21 No.1

        국내 버섯 재배지에서 피해를 주는 해충 중 버섯파리는 버섯 재배사에서 연중 발생한다. 유충은 균사를 먹어 절단시키거나 자실체 속으로 파고 들어가 가해 흔적을 남기고 이동 중에 각종 세균과 푸른곰팡이 등의 병원균을 몸에 묻혀 매개함으로써 복합 피해를 유발시킨다. 버섯파리 성충 또한 이동 중 각종 병원균, 버섯 응애, 선충을 매개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해들이 버섯 수확량 감소, 품질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버섯파리 방제용 등록 약제가 많지 않아 적용 가능한 살충제 수가 적을뿐더러 이마저도 잔류 문제로 인하여 사용 시기에 제약이 많아 방제가 어렵고 재배농가에서 번갈아 살포하더라도 오랜 기간 사용해왔기 때문에 약제 저항성이 의심된다. 따라서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효과가 뛰어난 친환경 천연살 충제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을 소형 연막기를 사용하여 가열 연무 방식으로 버섯 재배사내에 살포한 결과, 버섯파리 성충에 대하여 높은 살충력을 나타냈으며 달마시안제충국의 농도가 진할수록 살충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농업 분야에서 유용하고 안전한 천연살충제 보급을 위하여 비용절감 및 효과증진을 위한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양송이버섯 재배 중 발생하는 버섯파리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윤정범,김형환,정충렬,강민구,권선정,김동환,양창열,서미혜,Yoon, Jung-Beom,Kim, Hyeong-Hwan,Jung, Chung-Ryul,Kang, Min-Gu,Kwon, Sun-Jung,Kim, Dong-Hwan,Yang, Chang-Yeol,Seo, Mi-Hy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4

        버섯파리는 국내 양송이 균상 재배지에서 발생하여 버섯 균사와 자실체를 가해하고 간접적으로는 병을 매개하여 피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부여군 세도면, 보령시 성주면, 용인시 남사면, 칠곡군 약목면 등 총 4개 지역의 버섯 재배사에서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한 버섯파리 성충을 DNA barcoding 방법으로 Cytochrome Oxidase I (COI)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 조사지역의 양송이에서 발생하는 버섯파리는 모두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로 동정되었다. The dark-winged fungus gnats are one of the most serious fly pests attacking the mushroom cultivation in Korea. They cause severe damage to the artificial sawdust beds used to cultivate mushroom, and reduce the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n greenhouses. In this study, we collected nine species of the mushroom flies in order to identify the dominant species of the dark-winged fungus gnat attacking the A. bisporus plantation using the yellow sticky trap in Buyeo-gun, Boryeong-gun, Yongin-si and Chilgok-gun from April to June 2015. The collected sampl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NA sequence of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of the nine different species by DNA barcoding. The sequencing results showed that Lycoriella ingenua was the dominant dark-winged fungus gnat species destroying A. bisporus cultivated on the artificial sawdust beds in Korea.

      • 달마시안제충국을 이용한 버섯파리 방제용 천연살충제의 천연효과증진제 검정

        윤정범,김형환,김동환,양창열,서미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국내 버섯의 품질저하, 수확량 감소 피해를 주는 해충 중 버섯파리는 버섯 재배사에서 연중 발생한다. 유충은균사, 자실체를 가해하고 이동 중에 각종 병원균을 몸에 묻혀 매개하기도 하며 성충 또한 이동 중 각종 병원균,버섯응애, 선충을 매개하기도 하여 복합피해를 유발한다. 그러나 버섯파리 방제용 등록 약제는 종류가 많지 않고잔류 문제로 사용 시기에 제약이 많아 방제가 어려우며, 재배농가에서 번갈아 살포했더라도 오랜 기간 사용해왔기때문에 버섯파리의 약제 저항성이 의심된다. 최근 달마시안제충국을 이용한 연무연막 기술이 연구되고 있어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효과가 뛰어난 친환경 천연살충제로서의 기대가 크다. 본 연구는 피레트린 활성성분의살충속성을 향상시키면서 고가, 고농도의 살충원제 절감으로 인한 생산 코스트 절감, 부작용 저감을 위하여 천연효과증진제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딜씨드, 참자소, 배초향 추출물에서 80% 이상의 버섯파리 성충 치사율을 나타냈다.

      • 표고버섯에서 포식성 응애의 검정날개버섯파리에 대한 방제효과

        윤정범,김형환,김동환,양창열,강택준 한국버섯학회 2015 버섯 Vol.19 No.1

        톱밥배지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에 발생하여 버섯에 피해를 주는 버섯파리는 검정날개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 작은뿌리파리(Bradysia difformis) 등 7종류가 발생하는데 이중에서 우점종은 검정날개버섯파리이다. 본 시험은 검정날개버섯파리가 발생하고 있던 톱밥배지 표고버섯 농가에서 버섯파리의 천적인 포식성 응애 아큐레이퍼응애(Hypoaspis aculeifer), 마일즈응애(Hypoaspis miles),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의 포 장실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각 포식성 응애는 표고버섯 재배사에서 30,000마리/10a 밀도로 3회 방사하였다. 처리간격은 14일이었으며, 3회 방사 후 14일 간격으로 황색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트랩에 유인된 버섯파리의 성충수를 조사하여 밀도감소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버섯 균사 및 자실체에 대한 유충 의 피해도 처리간에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포식성 응애를 방사한 4주 후부터 무처리와 비교하여 버섯 파리 성충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8주째에는 무처리 대비 80% 이상의 성충수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었 다. 3종류의 포식성 응애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무처리 대비 15% 이상의 피해율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2015년 현재 국내 토착 포식성 응애인 아큐레이퍼응애가 판매되지 않으나 외국에서 수입한 마 일즈응애와 스키미투스응애가 국내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의 친환경 방제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음 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