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의 중심 교수학습 모형 개발

        윤옥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미술 전공 신입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개념과 AI 생성 예술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상 예술가 놀이 수업 모델을 개발하였다. 중국 쓰촨영화&텔레비전대학교 디지털미디어아트과 1학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 수업은 미술 창작에 대한 두려움 해소와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이 교육 모델은 페르소나 설정, 창의적 글쓰기, 텍스트 시각화, 가상 전시 등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페르소나 설정을 통해 학생들은 예술가 정체성을 확립하였고, 게임적 요소를 도입한 글쓰기 체험으로 잠재적인 창의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AI 생성예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텍스트 시각화를 통해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고, 가상 전시에서 다른 학생들의 작품 감상 및 평가를 통해 예술가로서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었다. 게이미피케이션과 AI 생성예술 프로그램의 융합을 통한 이 교육모델은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촉진하는 새로운 교육 방법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참여와 흥미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교육 환경에 적합한 창의적 사고를 기르는 교육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더 많은 학생들이 예술적 역량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는 이러한 교육 전략을 통해 미술 전공 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학생들에게도 적용함으로써 예술적 역량과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적 정의에서 살펴본 학문적 융합 가능성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cademic convergence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HRD through conceptual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For literature analysis, literature was extracted using academic data analysis, focusing on contents related to the concepts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a possibility of academic integration in the sense that lifelong education may encompass HRD and HRD may encompass lifelong education. Second, since HRD and lifelong education are common in that both concepts emphasize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with training, education, learning, and development as key mediators, they are interconnected and integ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phenomenon of sharing and exchange with other academic fields through lifelong education and HR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expected that lifelong education will be reborn as lifelong learning and HRD convergence studies along with HRD. In this context, it is suggested that the graduate degree program integrate lifelong education and the HRD major.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과 HRD의 개념적 분석을 통하여 평생교육과 HRD의 학문적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문헌분석을 위하여 평생교육, HRD의 개념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학술자료 분석을 활용하여 문헌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이 HRD를 포괄할 수도 있고 HRD가 평생교육을 포괄할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통합 가능성이 있다. 둘째, HRD와 평생교육은 두 개념 모두 훈련, 교육, 학습, 개발을 핵심적인 매개체로 하며 성인 학습의 원리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기 때문에 서로 연결되고 통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평생교육과 HRD를 매개로 다른 학문 분야의 공유와 교류 현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이 HRD와 함께 평생학습 및 HRD 융합학문으로 재탄생하기 기대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원 학위 과정을 평생교육과 HRD 전공을 함께 통합 운영해 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진로지도를 위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분석

        윤옥한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career guidanc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o survey 165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how should careers and career guidance be handled in rela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econdary schools, the teachers were most likely to be guided through vocational career guidance and through individual curriculum instruction. Second, 69 (41.8 %) survey respondents said that the greatest problem for job and career guidance was the absence of programs for systematic vocational guidance education. Third, in secondary school, respondents received ample education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103 respondents, 62.4 %) for vocational career education. A total of 130 respondents, (78.8%) knew about what they need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105 persons, 63.3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vocational career guidance is urgently needed. Second, concerning changes i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ystemat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various curriculums that can be applied to curriculum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contexts. Third, continuous education is needed to address occupational changes, such as those relat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career guidance should be made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지도를 위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중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중등학교 현직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구글을 통하여 설문조사한 다음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관련 직업·진로 지도 인식은 중등학교에서 직업·진로 지도는 어떻게 다루어지는 것이 좋은가? 에 대하여 교사들은 직업 진로 지도 시간을 통해서와 각 교과 교육을 통해서 지도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였다. 둘째, 직업·진로 지도의 가장 큰 문제는 체계적인 직업 진로 지도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69명 (41.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학교에서 교사들은 직업 진로 교육을 위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교육을 많이 받았으며(103명, 62.4%).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30명, 78.8%),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직업 진로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체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5명, 63.3%).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직업 진로 지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 직업환경 변화와 관련하여 중등학교 현실에서 교과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과교육 내의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의 발달과 사회 환경변화 등으로 나타나는 직업의 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 올바른 방향으로 직업 진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하브루타 수업모형에서 질문생성 전략 탐색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in the Havruta instructional model and to implement it actively in the field. For the research method, the Havruta class model and its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follow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question-, argument-, comparison-, friend-, and problem-centered Havruta class models. The core of all five Havruta teaching models is a question. Havruta is a typical educational method that emphasizes questioning, talking, and discussing, but it is not used to teach students how to ask questions, which depends on an individual's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question-genera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the hope point enumeration, defect enumeration methods, and the check method. By using these strategies, the Havruta class model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teach questioning techniques in advance when having a Havruta class in the school field through a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so that the Havruta class is activated. In addition, the manner of asking questions can determine the quality of a class. It is important to faithfully teach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technique. It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to have enough class time in order for the Havruta class to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If there is limited time for discussion, it is better not to use the Havruta method because the it requires sufficient discussion time. It is recommended to set aside sufficient time for discussion and conduct a question-creation strategy class in advance, followed by the Havruta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수업모형 모형에서 질문생성 전략을 탐색하여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하브루타 수업모형과 질문생성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하브루타 수업모형은 질문 중심, 논쟁 중심, 비교 중심, 친구 가르치기 중심, 문제 만들기 중심 수업모형을 살펴보았다. 5가지 하브루타 수업모형 모두 핵심은 질문이다. 질문을 강조하고 대화하고 토론하는 교육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하브루타이다. 그러나 질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가르쳐 주지 않는다. 질문하는 방법은 개인의 역량으로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질문생성 전략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희망점 열거법, 결점열거법, 점검법이다. 이 세 가지 질문생성 전략을 하브루타 수업모형에서 활용함으로써 하브루타 수업모형을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질문생성전략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하브루타 수업할 때 질문기법들을 사전에 가르쳐서 하브루타 수업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가 수업의 질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문생성전략 기법을 충실히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하브루타 수업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을 충분히 가지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토론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하부루타 수업방법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하브루타 수업은 충분한 토론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충분한 토론시간을 마련하고 질문생성전략 수업을 사전에 한 후 하브루타 수업을 할 것을 권장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 20년(1995-2014) 연구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평생교육학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20년 연구동향을 분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 논문은 ‘평생교육학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531편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학연구 논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평생교육 이론적 탐색에 대한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그 다음이 평생교육관련 제도개선이다. 셋째, 평생교육사 자격증 이수과목 연구영역별 분석 결과 필수과목에 대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넷째, 평생교육기관형태별 발표된 논문 분석 결과는 연구대상기관을 정확히 정하여 연구된 논문들은 3%이하로 나타났다. 다섯째, 평생교육발달단계별 발표된 논문 분석결과 특별한 대상층이 정해져 있지 않은 연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과제는 연구동향 분석시 분석틀의 다양화와 분석대상 학술지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 of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for 20 years mainly based 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531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 on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 Second, the paper about theoretic studies of lifelong education is the most prevalent, followed by institutional improvement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Third, my analysis about lifelong educator certification subject of completing each research area shows that the paper about compulsory course is the most prevalent. Fourth, according to my analysis of papers announced for each type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search papers that exactly decide a target institution for study are less than 3 percent. Fifth, according to my analysis of papers announced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 paper without definite subject is the most prevalent. The task presented by this study suggested that analysis frame should be diversified and journals for analysis should be expanded when analyzing trend of research.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의미 분석

        윤옥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의미를 분석하고 다양한 쟁점 및 개선 방향을 종합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 인터뷰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배경은 디지털 전환, 기후환경 변화, 학령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고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 특징은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방향은 개별성과 다양성, 분권화와 자율화, 디지털 기반 교육, 공공성과 책무성이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 내용은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혁신, 학습자의 공동체 가치 함양 및 역량 강화, 초‧중‧고 학생 디지털 ‧ AI 소양 함양 교육 강화,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강화이다.

      • KCI등재

        Chat GPT 등장과 교양교육의 방향 탐색

        윤옥한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due to the emergence of Chat GPT. The contents of the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first, to understand Chat GPT, and second, the emergence of Chat GPT and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Chat GPT is a language model designed to answer questions in conversations with users. Chat GPT can have multiple impacts on education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First, it helps to find the material. Second, self-study is possible. Third, language learning is possible. Fourth, creativity is possible. Fifth, coding is possible. Sixth, it is possible to act as a planner. Seventh, variou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Eighth, teacher support is possible. Ninth, Chat GPT helps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other special needs more easily access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due to the emergence of Chat GPT.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oft skill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cience and philosophy education to establish human identity. Third,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liberal arts education. Fourth, education emphasizing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is needed in liberal arts education. Fifth, in the era of Chat GPT, it is necessary to innovate desir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liberal arts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Chat GPT 등장으로 인한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내용은 첫째, Chat GPT를 이해하고, 둘째, Chat GPT 등장과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 제시이다. Chat GPT는 사용자와 주고받는 대화에서 질문에 답하도록 설계된 언어 모델이다. Chat GPT는 교수 및 학습 측면에서 교육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첫째, 자료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둘째, 독학이 가능하다. 셋째, 언어 학습이 가능하다. 넷째, 창작이 가능하다. 다섯째, 코딩도 가능하다. 여섯째, 플래너 역할도 가능하다. 일곱째,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덟째, 교사 지원이 가능하다. 아홉째, 채팅 GPT는 장애가 있거나 기타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학생이 교육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Chat GPT 등장으로 인한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 스킬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간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과학철학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양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교양교육에서 윤리 및 사회적 책임 강조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Chat GPT 등장 시대에 교양교육에서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 혁신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육 평등과 귀인이론 관점에서 능력주의 담론 성찰

        윤옥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평등 관점과 귀인이론 관점에서 능력주의 담론을 성찰하여 교양교육에서 능력주의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주의 담론을 개방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등한 교육을 위해서는 허용적 평등뿐만 아니라 보장적 평등, 과정적 평등, 결과적 평등, 더 나아가서는 사회개혁의 평등까지 생각해야 한다. 셋째, 귀인이론 관점에서 행동 결과의 원인을 귀인 하는 방법은 개인이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귀인 하게 해야 한다. 넷째, 능력주의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다섯째, 닫힌 능력주의에서 열린 능력주의로 담론을 옮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방법연구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 total of 498 published 'Education Metho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during a period of 20 years, from 2002 (Volume 14, No. 1), to Volume 33, No. 4, published in 2021. The repor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method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itation index for the past two years (2019-2020) was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ominent in the field with 324 articles (65%), followed by 92 practical studies (18%), 44 theoretical studies (9%), and 38 qualitative studies (8 articles; %).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study subject, the most frequently used were multi-layered subjects (193 articles; 39%), followed by 191 articles (38%)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69 articles (14%)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 articles (9%)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topic, learning methods were addressed in the greatest number of studies (199 articles; 40%), followed by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ethods (118 articles; 24%), teaching methods (109 articles; 22%), and research methods (72 articles; 14%).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can be evaluated as academic journals that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journal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citation index, typ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방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방법연구’ 논문을 2002년 제14권 1호부터 2021년 제33권 4호 까지 20년 동안 발행한 총 498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육방법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년(2019-2020)의 피인용지수는 2.0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 분석 결과 양적연구가 324편(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실천연구 92편(18%), 이론연구 44편(9%), 질적연구 38편(8%)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다층 대상이 193편(39%)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이 대학생 191편(38%), 중등 학생 69편(14%), 초등학생 45편(9%)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방법이 199편(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 118편(24%), 교수 방법 109편(22%), 연구 방법 72편(14%)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론 연구 학술지는 피인용지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술지의 정체성이 분명히 드러난 학술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체에서 코칭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개발*

        윤옥한 한국코칭학회 2022 코칭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ass model for creative problem-solving using coaching technique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a draft of the class model was devised, and the final form was deriv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Concerning the final draft,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model was verified by professors who were employed by companies that specialized in the teaching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by experts with a doctorate in education. Unlike the draft instructional model,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 included the application of coaching techniques to each stage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Consequently, a model focusing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technique was developed. The class model for creative problem-solving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a class model to educate businesses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Therefore, I expect that the model can help teachers to introduce creative problem-solving education and to provide education that is more systematic. 이 연구의 목적은 코칭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개발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전문가 검증을 통해 수업모형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최종안에 대해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강의 경험이 있는 기업체 교수자와 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모형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수업모형 초안과 비교해 최종 수업모형은 코칭 기법을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의 각각 단계에서 적용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에 중점을 둔 모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은 기업체 대상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제공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을 도입하는 교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