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 교직과정에서 현장 중심 수업 운영 방향 탐색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윤옥한(Yoon, Ok Ha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 중심 수업 운영현황과 사례를 살펴보고 현장 중심 교직과정 운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현장 중심 수업 운영 자료 분석 대상은 K 대학 교직과정 설치학과인 경제학과를 포함한 22개 학과 총 252개 수업계획서 전체를 2019년도 1~2학기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론 수업 180개(71%), 현장실습 32개(13%), 현장 전문가초빙 9개(4%), 현장 탐방 2개(0.8%), 협동학습 3개(1%), PBL 8개(3%), 모의수업 18개(7%)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현장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K 대학에서 실시한 TEAM 교육 혁신모델 도입 운영, 알파 프로젝트 학기제 도입, HOT TEAM CLASS와 같은 방식을 교직과정에 맞게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장 교사 중 수석교사, 학습연구년 교사, 혁신 교사, 초임 교사 등이 대학 강의에 참여하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셋째, 현장 중심 수업 운영을 위해서는 실무 중심 교육실습을 내실화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cases of field-oriented class operation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ield-oriented teaching process operations. The objective of the data analysis of the field-oriented class operations was to analyze all 252 lesson plans in 22 departm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180 discussion classes (71%), 32 field experiences (13%), nine lectures by field experts (4%), two field trips (0.8%), cooperative learning, three (1%), eight PBL (3%), and 18 mock classes (7%).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field-oriented class oper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ield-oriented curriculum.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methods such as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TEAM education innovation model conducted at K University, the introduction of the α-Project semester system, and the HOT TEAM CLASS according to the teacher training cours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senior teachers among field teachers, teachers in the study year, innovative teachers, and beginning teachers participate in university lectures. Third, in order to operate field-oriented classes,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substantiated.

      • KCI등재

        고교학점제도 문제점 해결을 위한 운영 방향 탐색

        윤옥한(Ok-Han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도의 운영 방향을 탐색하여 고교학점제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고교학점제도를 효과적·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문헌연구대상은 선행연구, 공청회자료, 언론보도자료, 2015개정교육과정,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추진방안 등이다. 연구 결과 고교학점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의 기본적인 방향은 첫째, 보통 교과 과목 위주로 편성해야 한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관련 과목을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편성의 근거도 확인해야 한다. 고교학점제도 문제점 중 진로지도를 위한 고교학점제도 운영 방향은 첫째, 진로 학습·코칭을 위한 진로 교육과정위원회 구성 및 운영이다. 둘째, 교원의 업무 체계 재 구조화이다. 셋째, 진로 희망 설계 및 진학 방향 탐색의 시간 마련이다. 넷째, 진로 및 학업 설계 지도 코칭 북 제공이다. 다섯째,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교사의 역할이다. 여섯째, 과목 선택에 대한 책임감 강조 및 재 이수 프로그램 마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olve the problem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ploring its operation plans for both career guidance and the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tudy’s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research; it examined prior research, public hearings, press releas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plans to promo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s fac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organized around general subjects. Second, students need to be able to study subjects related to their desired fields in depth. Thir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basis for organizing the curriculum. Meanwhile, the following step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career guidance. First, a career curriculum committee for career learning and coaching should be formed and operationalized. Second, the teachers’ work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Third, career aspirations should be identified,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should be researched. Fourth, career and academic design guidance coaching books should be provided. Fifth, it is the role of the career and academic design guidance teacher. Sixth,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responsibility for subject selection and preparation for re-taking program.

      • KCI등재

        사고력 향상 교수법 수업 적용 사례

        윤옥한(Ok-Han Yo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21 교육방법연구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사고력 향상 교수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력 향상 교수법 수업 설계는 어떻게야 하는가? 둘째, 사고력 향상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 효과는 어떤가? 이다. 연구 방법은 K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 실시하는 교수법 관련 컨설팅을 2018년 7월 18일부터 7월 31일 동안 받고 수업을 설계한 후 한 학기 동안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고력 향상 교수법 수업 설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사고력 향상 교수법 수업 설계의 기본원리는 흥미의 원리, 의사소통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사고력 향상 교수 기법으로는 짬짬이 토의, 완전일치 토의, 직소 토의, 이해 촉진시험 기법을 중심으로 사고력 향상 교수법 수업 설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사고력 향상 교수법의 학습 효과는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고차적 학습, 종합적 학습, 반성적 학습, 지각된 학업성취도, 지각된 학업 만족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중 가장 높은 효과로 나타난 것은 지각된 학업 만족도(평균 4.55)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사고력 향상 수업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수업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교수학습 자료들은 여러 영역의 실생활 사례 중심으로 시작하여 실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관점을 적용하여 여러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 능력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자가 다양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교사는 수업을 잘 설계 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가 각 수업 단계에서 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의견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 of a lesson designed and applied by using a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inking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should the teaching method be designed to improve thinking ability? Second, what effect does the lesson in which the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inking ability is applied have on learning?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a teaching method-related consultation was conducted by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in K university from July 18 to July 31, 2018, and the lesson was designed for and applied in class for one semester. Following the study, the design of the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thinking ability was presented in detail. The principles of interest and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as the basic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for improving thinking ability. As a teaching technique for improving thinking ability, a teaching method design for improving thinking ability was presented with a focus on intermittent, complete agreement, and jigsaw discussions and on test techniques to promote comprehension. Furthermor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the learning effect of the teaching method used to improve thinking ability were examined in terms of higher-order, comprehensive, and reflective learning,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ived academic satisfaction. Of these, perceived academic satisfaction (M = 4.55) had the strongest effect. Suggestions for lessons on to improve thinking 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is necessary.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must be prepared for a variety of lessons focused on solving practical problems, starting with real-life cases in various areas. Third, improving the ability to properly understand various issues by applying different perspectives is necessary. Fourth, teachers should design lessons optimally, so that learners can activate various sources of background knowledge. Fifth, learners should be able to modify their opinions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at each lesson stage.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인생 설계와 진로 수업 효과 분석

        윤옥한,Yoon Ok Ha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3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인생을 설계하고 진로, 취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단순히 취업 특강이나, 취업에 관한 정보 제공, 모의 면접, 자기소개 작성법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생 설계와 진로 설계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생 설계와 진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느낀 인생설계와 진로에 관한 수업 효과를 분석하여 인생 설계와 진로의 수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인생 설계와 진로 수업을 통하여 첫째, 인생 설계 부분에서는 나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이 되었으며,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반성적 사고가 생겼다. 그리고 대학 4년 동안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진로 직업 탐색 부분에서는 나에게 맞는 직업 탐색,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다양한 직업군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취업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다양한 직업의 존재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았다. 셋째, 수업 진행 부분에서는 체험 활동 등의 수업 진행과 다양한 초청 강의가 좋았다. 또한 수업의 흥미가 있었고, 수업을 통해 자존감을 획득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대학생들에게 인생 설계와 진로 지도와 관련된 수업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업이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ies to simply provide students with programs such as special lectures on employment, information on employment, mock interviews, and how to write self-introductions, as well a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life planning and career and employment. However, life planning and career planning are also provided systematically.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lasses on life design and career felt by students through life planning and career class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lasses on life design and care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life planning and career courses, college students had time to learn about themselves in the life planning part and developed reflective thinking about how they should live their lives. And it helped me plan for my four years of college. Second, in the career and job search section, it was helpful in finding a job and career path that suited me. I also realized that there are various occupations, and it was nice to be able to think about various things about employment. And it was seen a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various occupations. Third, in terms of class progress, the class progress including experiential activities and various invited lectures were good. He also said that he was interested in the class and was able to gain self-esteem through the class. Classes related to life planning and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various career paths, so it is expected that many such classes will be held.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모형 탐색

        윤옥한(Yoon Ok Ha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논총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과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모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의 이론적 배경과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모형의 경우도 이미 연구된 바 있다. 그러나 좀더 체계적이고 체제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탐색을 통하여 평생교육분야에 종사자들에게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자체가 단순성(simple), 실용성(useful), 체계성(systematic)을 추구하였다. 첫째 단순성이란 내용이 단순하다는 것이다. 너무 어렵지 않고 쉽게 접근해 볼 수 있게 구성하였다. 둘째 실용성이란 단순하지만 실제 업무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현장 적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셋째 체계성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논리적 구조에 합당하게 전개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자체는 이 연구를 읽으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모형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models for life 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 lot of studies have already studi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models for life 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odel for life long education workers to access more easily by exploring more systemic and systematic models for life 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itself aims to pursue simplicity, usefulness and systemicity. First, simplicity means simple contents. Accordingly, it was configured easily accessible and yet not too difficult. Second, for usefulness, it was focused on field applicability, that is, simple but applicable to actual work fields. Third, simplicity means to deploy program development reasonable to logical structur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tself is focused that readers of this study could fu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model of life long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인물 분석

        윤옥한 ( Yoon Ok-ha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3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morals (3rd, 4th, and 5th, 6th grade) textbooks by number of characters, continent, gender, age, and occupation, to examine whether potential biases in the selection of charact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A total of 4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52 characters appeared in these elementary school morals textbooks. Second, the analysis of nationalities, which divided people into six continents, revealed that 29 characters―the highest proportion (60%)―were from the Asian continent. Third, 42 (86%) of the characters were male and 7 (14%) were female. Fourth, the analysis of age group showed that the number of deceased characters was the highest with 42 (86%). Fifth, in the case of occupation, the 31 experts and related work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63.2%) of the total.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gender, continental, and occupational biases in the characters depicted in elementary school morals textbooks.

      • 팀 기반학습에서 개념명료화시험 교수전략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윤옥한(Yoon, Ok-Han),윤옥(Lee, Yoon-O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에서 개념명료화시험(Concept Clarification Test: CCT) 교수전략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K대학 교육사회학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6차시의 CCT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은 강의식 수업을 6차시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 2는 강의와 토의식 병행수업을 6차시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CT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1, 2 보다 학업성취도 점수가 향상되었고(p<.05), CCT 교수전략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업흥미도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CCT 교수전략이 통계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적인 측면에서 설문평가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에서 실시한 CCT교수전략이 통제집단 1,2보다 수업흥미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cept Clarification Test(CCT) instructional strategy in Team Based Learning(TBL). Students from the social education depart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CCT was processed 6 times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led group 1 takes classes with lecture method instruction 6 times and controlled group 2 takes classes with lecture and seminar 6 times. There are two results concluded by this study. Firstly, academic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involved in CCT was more improved than the controlled group 1 and 2(p<.05). It shows that CC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academic ability. Secondly, in the matter of students" interest to the subject, it is shown that CCT has no effect statistically compared by the controlled group 1 and 2. However, it was indicated that interest to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al group taking CCT was higher than the controlled group 1 and 2"s interest to the subject in qualitative research.

      •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논의

        윤옥한(Yoon, Ok Ha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교육사회학 수업에서 다루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의 지속 가능성을 비판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이다.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존속과 폐지 문제가 가장 뜨거웠던 2014년 7월 한 달 동안 자사고와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검색하였고, 공립학교 교사 5명, 사립학교 교사 5명, 시민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주의 입장에서는 자사고를 존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능력주의 사회, 전문가 사회, 민주주의 사회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둘째, 갈등주의 입장에서는 자사고를 폐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기능주의 사회에서 말하는 능력주의 사회의 실현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결국 자사고는 지배집단을 재생산하는 또 다른 학교라고 보기 때문이다. 셋째, 해석학적 입장에서 자사고는 운영의 묘를 살려야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얻은 시사점은 첫째, 자사고의 원래의 취지를 살릴 필요가 있고, 둘째, 교육의 본질적 목적과 수단적 목적을 잘 살려야 하며, 셋째, 학교장과 교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retention and attrition of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nd to suggest implications through various theoretical viewpoints learned in educational sociology class. The study method is of a qualitative study. During the period of one month of July 2014 when the discussion on survival or abolition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was at its peak, the contents related with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were searched through internet portal sites, and interviews with 5 public school teachers, 5 private school teachers and 10 citizens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he viewpoints of functionalism, it is desirable to keep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It is because it matches with the meritocracy society and democratic society. Second, in the viewpoints of conflict doctrine,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should be abolished, because the realization of meritocracy society which is insisted in functionalism society is difficult in reality. In considers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s another school reproducing ruling group. Third, in the viewpoint of hermeneutics,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can be either maintained or abolished. Fourth, in the viewpoint of curriculum sociology,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should make the best use of operation.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se viewpoint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preser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second, the essential purpose and methodical purpose should be well saved, and third, it is suggested that the roles of the principals teachers are criticall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