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리쾨르의 문학론. 언어와 실재에 대한 탐구

        윤성우 한국하이데거학회 2007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5

        Une étude sur l'élément littéraire chez Paul Ricoeur Yun, Seong-Woo Dans cet article il s'agit de mettre en evidence une pensée littéraire de Paul Ricoeur. Nous affirmons l'idée qu'elle tournerait autours de deux grandes conceptions. D'abord, elle est incluse dans son cadre de la pensée philosophique du langage. Deuxièmement celle-ci s'oriente vers une découverte heuristique du monde ou du réel. Les contributions de Ricoeur au problème de l'élément littéraire , me semble-t-il, ont trois étapes. Au premier abord, le philosophe établit une distinction bien fondée à propos de trois unités linquistiques, c'est- à- dire, mot, phrase, texte dont l'équivalent philosophique chez Ricoeur est symbole, métaphore, récit. L'éclaircissement de cette distinction va de pair avec tout un itinéaire du philosophe. Cela nous permettrait de dégager l'enjeu philosophique de la pensée philosophique du langage. Le symbole donne à penser. Or penser ici veut dire non seulement penser à un sens philosophique du celui-là, mais aussi , à travers lui, penser à un monde designé par lui. La métaphore, elle aussi, est capable de montrer et dévoiler une autre référence, au de-là de son sens métaphorique et de son primaire niveau de référence directe. Enfin dans la mesure où le texte, la dernière unité linquistique serait mieux reconnue sous forme de récit, il culminerait dans son capacité de proposer le monde du texte, c'est- à- dire, un autre monde que le monde manipulable et sensible, un monde propre tel que je puisse l'habiter pour y projeter un des mes possibles les plus propres. 문】이 논문은 리쾨르의 문학론을 다룬 글이다.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 필자는 두 가지 작업 가설적 관점에 입각하였다.첫째, 리쾨르의 문학에 대한 관심은 철학과 문학을 아우르고 초월하는 “언어”(langage)라고 하는 보다 보편적인 매개에 대한 관심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둘째, 언어에 대한 리쾨르의 관심은 그 언어가 말하고자 하고 관계 맺고자 하는 현실(現實) 또는 실재(實在)에 대한 탐구와 천착과 분리될 수 없다.리쾨르 문학론의 주요 알맹이인 상징 언어, 은유적 문장, 이야기를 담고 있는 텍스트 등 이 모두는 언어라고 하는 전체적인 현상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런 중요한 언어의 알맹이들에 대한 리쾨르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리쾨르가 언어에 대해서 가지는 근본적인 통찰을 엿보게 된다. 그 통찰은 다름 아니라 언어가 세계와 관계 맺으려 하고, 부단히 (세계) 지향적이라는 것이다.여기서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언어가 세계를 지시하되 그 지시하는 방식과 수준이 문제다. 아마도 가장 덜 지시적인 시(詩)의 언어조차도 1차적 의미의 지시 대상을 넘어서 다른 무엇인가를 가리키지 않는 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상징이나 은유, 이야기가 가리키는 세계가 직접적인 지시 대상으로서의 세계가 아니리면, 더 정확히 말해 직접적으로 지시가능하며 오감(五感)으로 확인 가능한 세계가 아니라면 과연 어떤 세계일까? 그것은 우리가 눈으로나 손으로 조작하거나 촉지할 수 있는 대상들과 사물들의 총체로서의 세계가 아니다. 오히려 텍스트를 통해서 그리고 그것에 의해서 열리고 발견되는 세계가 아닐까?우리가 그 안에서 우리 삶과 관련된 다양한 기획과 제안을 시사 받고 자극 받는 세계가 아닐까? 나의 가장 고유하고도 본래적인 존재 가능들 중에 하나를 선택하도록 내가 살도록 제안하는 그런 세계가 아닐까?

      • KCI등재

        번역의 해석학적 쟁점 :해석과 번역의 수렴점과 발산점을 중심으로

        윤성우 한국하이데거학회 2018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8

        Contrairement à l'importance humaniste de traduction et à sa potentialité , la non-visibilité de la traduction et des traducteurs, c'est-à-dire les rôles et le statut de la traduction et des traducteurs cachés ou dévalués n'est pas le seul problème d’aujourd'hui. Dans cet article, nous essayons de traiter les problèmes herméneutiques ou les capacités de traduction basés sur cette conscience en termes de corrélation avec celle d '«interprétation». Plus spécifiquement, il traite du problème de l'objet de l'interprétation/traduction, du problème de l'objectif d'interprétation/traduction et du caractère éthique de l'interprétation/traduction. Au niveau du problème de l'objet, nous révélons que l'objet commun est un langage ou un texte. Au niveau du problème du but, beaucoup diraient, sans doute, que le but commun est l'extraction du sens, la médiation du sens, ou la (re)mise en oeuvre du sens, mais nous insistons sur le fait que le 'sens' n'est pas tout dans l'interprétation ou la traduction. En particulier, dans la traduction, nous soulignons que nous avons besoin de traduire même les techniques accumulées et la maniére du texte original dans lequel le sens est exprimé, plutôt que de reproduire le sens des textes originaux. Il est également suggéré qu'un texte sans interprétabilité n'est pas un vrai texte à interpréter. En termes de questions éthiques, l'interprétation/traduction impose l'interprète/ traducteur à s’ouvrir sur des rencontres de l'autre qui pourrait les bouverser. Après tout, à travers l'interprétation/traduction, le sujet décentré se poursuit. 번역이 가지는 인문학적 중요성과 그 역량에 비하면 번역과 번역자의 비가시성, 즉 철저하게 번역과 번역자의 역할과 위상이 숨겨져 있거나 평가절하 되는상황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번역이가지는 해석학적 쟁점이나 함의를 ‘해석’의 그것과 상관관계의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석/번역의 대상의 문제, 해석/번역의 목표의 문제, 해석/번역의 윤리적 성격의 문제를 다루게 된다. 대상의 문제 차원에서는그 대상은 언어 또는 텍스트라는 점을 밝힌다. 목표의 문제 차원에서는 의문의여지없이 많은 사람들은 의미의 추출이나 의미의 매개, 의미의 (재)구현라고 말할 것이지만 필자는 언어와 그 언어의 해석이나 번역에서 그 ‘의미’가 전부는아니라고 주장한다. 특히 번역에서는 원문의 의미를 재현하는 것을 넘어서서의미가 표현되는 원문의 방식과 축적된 기법에 이르기까지 번역문 속에서 옮겨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해석됨직함이 없는 작품은 진정한 작품이 아니라는 점도 제안해 본다. 윤리의 문제 차원에서 해석/번역은 모두 텍스트와의만남을 통해 해석자/번역자를 제약하고, 자신을 전복시키는 자신 아닌 것, 즉타자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견디는 열린 주체, 즉 탈중심적 주체를 모색한다는점을 밝힌다.

      • KCI등재

        타자의 유형을 통해서 본 번역학: 윤리적/사회적·정치적/생태학적 전환을 중심으로

        윤성우 한국통역번역학회 2020 통역과 번역 Vol.22 No.2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oughly sketch how and in what form the concept of ‘the other’ appears in the translation studies. The idea of ‘the other’, both in translation discourse and humanities, is often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is not oneself. In other words, it signifies other individuals, languages, cultures, and world views, as they are different from one’s own. One can agree that various types of the other have appeared in the translation discourse from its beginning to the current age. However, rather than attempting to survey all the known types of the other, due to the limited length of this particular essay, it will focus specifically on the types of the other that emerged after 2001, at the ethical, socio-political, and ecological turn.

      • KCI등재

        번역철학 — 그 계보학적 탐구

        윤성우 한국통역번역학회 2013 통역과 번역 Vol.15 No.1

        In the philosophy of translation, “language” means a natural language, and it deals with relations between at least two natural languages. At the heart of Plato’s philosophy of translation posited by Antoine Berman is that the formal aspect of language can be separated from the meaningful(i.e. conceptual/ideal) aspect. The metaphysical divisibility of language places Plate into the category of sense-oriented translation theorists. Insisting on the unity of the author’s thought and expression, Friedrich Schleiermacher cites the level of the author’s intervention as the dividing factor betwee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He can be justifiably called the founder of the literal translation theory. While Walter Benjamin is known as the most difficult theorist, he mounts the most profound refutation and resistance to the subordinate and marginal status of translation. Known to have laid the groundwork for linguistics-based translation studies in France, Georges Mounin maintains that translation should be transparent(or unobtrusive) so that the reader doesn’t feel any involvement of the translator. Therefore he can be considered a sense-oriented translation theorist. As a theorist armed with practical experience, Berman has built his own realm in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and is regarded as the most serious thinker of translation, going beyond the sense-oriented translation to propose what he terms ‘translation-to-the-letter.’ While acknowledging his indebtedness to Berman and Deleuze, Lawrence Venuti takes the position of challenging and resisting the mainstream and standard tendency of the target language, and advocates foreignizing translation, following the footsteps of Schleiermacher, Benjamin and Berman.

      • KCI등재

        리쾨르의 용서론(容恕論)

        윤성우 한국하이데거학회 201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2

        이 논문은 리쾨르의 용서론을 다룬다. 그의 철학 내에서 용서론은 아주 체계적이고 엄밀한 구조를 가지고 전개되기 보다는 일종의 ‘덧붙이는 말’의 수준에서 이뤄진다. 물론 용서의 출발점으로 파악되는 ‘행위’, 특히 잘못된 행위로서의 ‘잘못’은 그의 초기 철학의 논변에 기반하고 있다. 기억의 과도와 과소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시된 ‘기억의 비판적 사용’은 정의의 기획아래 움직이는 것이며, 회피하는 망각과 능동적인 망각을 넘어서서 ‘무심함’으로서의 망각은 용서에로 수렴된다. 리쾨르는 용서와 사랑이 같은 가족으로 주장하면서, 인간 실존의 근원적 주어짐에 근거해서 적이나 원수에게도 그냥 주어지는 용서의 지평이 과제로서 제시된다고 본다. Cet article traite d’une théorie du pardon chez Paul Ricoeur. Dans sa philosophie tout entière, la théorie se situe au niveau d’une sorte d’“épilogue” plutôt que d’une structure systématique et rigoureuse. Bien sûr, “l’action”, en particulier “la faute”, est considérée comme le point de départ du pardon, car le concept de celle-là est déjà d’une façon profonde discuté dans son premier ouvrage, Philosophie de la volonté I: le volontaire et l’involontaire. Alors que “l’usage critique de la mémoire”, présentée comme une alternative à la fois à un trop de mémoire et à un défaut de mémoire, s’opére sous l’égide du projet de la justice. l’oubli comme “insouci”, au-delà de l’oubli de fuite et de l’oubli actif, converge vers le pardon. Ricoeur soutient que le pardon et l’amour sont de la même famille et que, à partir de l’idée de “donation originaire de l’existence”, l’horizon du pardon qui se donne à l’ennemi, se propose comme une tâche raisonnable, bien que interminable et difficile.

      • KCI등재

        한방치료(韓方治療)로 호전된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 1례

        윤성우,박재우,Yoon, Seong-Woo,Park, Jae-Woo 대한한방내과학회 200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7 No.4

        Gastroesophageal reflux disorder (GERD) refers to reflux of gastric contents into the esophagus leading to esophagitis, reflux symptoms (e.g. heartburn, regurgitation and non-cardiac chest pain) sufficient to impair quality of life, or long term complications. 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a subdivision of GERD, is diagnosed when there were some reflux symptoms without esophagitis and mucosal breaks at endoscopy. We report that severe NERD symptoms and lower quality of life which have not responded to more than 6 months' western medical therapy (acid suppression) were successfully improved with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D.I.T.I,를 이용한 위장병(胃腸病) 환자(患者)의 상복부(上腹部) 온도(溫度) 관찰(觀察)

        윤성우,이경섭,Yoon, Seong-Woo,Lee, Kyung-Sub 대한한방체열의학회 2002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Vol.1 No.1

        Cold hypersensitivity is excessive sensitivity of each body part, particularly limbs and low backs, but sometimes it affects upper abdomen region in G-I trouble patients. We conducted this research on 69 patients who came and took the both exam of gastroscopy and D.I.T.I. in Kangnam korean hospital Kyung Hee university. So, we researched the significance of temperature deviations on upper abdomen which was studied separately by gastritis group, digestive function group and H. pylori group. The result was : 1.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Zhongwan(Ren12)-Danzhong(Ren17) of gastritis group was significant, it means that patients with severe gastritis have more significant cold hypersensitivity in upper abdomen than the patients who has not gastritis(p<0.005). 2.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Zhongwan(Ren12)-Danzhong(Ren17) of indigestive patients in digestive function group was significant(p<0.05) 3.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Zhongwan(Ren12)-Danzhong(Ren17) of H.pylori positive patients in H.pylori group was not significant. 4. The clinical relationship or tendency was not found both between H.pylori group and gastritis group and between H.pylori group and digestive functio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