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액투석용 자가혈관 동정맥루의 혈전을 동반한 폐색에서 경피적 수동 흡인 혈전제거술의 안정성과 유용성

        윤상,최선영,조수 대한영상의학회 202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1 No.2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percutaneous manual aspiration thrombectomy technique to treat thrombotic occlusion of native arteriovenous fistula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20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manual aspiration thrombectomy for native thrombotic arteriovenous fistula occlusion from March 2012 to December 2017 was performed. We evaluated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s and complications. The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analysis. Results Percutaneous manual aspiration thrombectomy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n = 20) with concomitant balloon angioplasty. The overall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s were both 85% (n = 17). The native arteriovenous fistulas, based on their site, were the left radiocephalic (n = 13), left brachiocephalic (n = 4), and right radiocephalic (n = 3) fistulas. An underlying stenosis was detected in the juxta-anastomotic venous site (n = 16), outflow draining vein (n = 12), and central vein (n = 4). The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s at 1, 3, 6, and 12 months were 100%, 70.6%, 70.6%, and 56.5% and 100%, 94.1%, 94.1%, and 86.9%, respectively.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rocedure. Conclusion Percutaneous manual aspiration thrombectomy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to treat thrombotic native arteriovenous fistula occlusion. 목적 혈액투석용 자가혈관 동정맥루의 혈전을 동반한 폐색에서 경피적 수동 흡인 혈전제거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자가혈관 동정맥루의 혈전을 동반한 폐색으로내원하여 경피적 혈관 내 시술을 시행 받은 2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술적및 임상적 시술 성공률, 1차 및 2차 개통률, 그리고 시술에 따른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20명의 환자에서 20회의 경피적 혈관 내 시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혈전을제거하기 위해 경피적 수동 흡인 혈전제거술을 시행하였고, 협착이 동반된 경우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혈관성형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17명의 환자는 혈전이 제거되어 혈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고(기술적 성공률 85%), 17명 환자 모두 시술 직후 혈액투석이 정상적으로 시행되었다(임상적 성공률 85%). 동정맥루 위치는 좌측 요골두정맥루가 13명, 좌측 상완두정맥루가 4명, 우측 요골두정맥루가 3명이었다. 동반된 협착 부위는 문합부 주위 정맥이 16예, 원위부 배출정맥이 12예, 중심정맥이 4예였다. 1차 및 2차 개통률은 1, 3, 6, 12개월에서 각각100%, 70.6%, 70.6%, 56.5% 및 100%, 94.1%, 94.1%, 86.9%였다.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없었다. 결론 혈액투석용 자가혈관 동정맥루에서 혈전을 동반한 폐색의 치료로서 경피적 수동 흡인혈전제거술은 안전하고 유용한 시술이다.

      • KCI등재

        장산 식생의 생태적 특성

        남정칠,박승,김석규,윤상 한국자료분석학회 200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9 No.5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vegetation management device through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 in Mt. Geumjeong. Ten belt transects of quadrat(20m 20m) were sampl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allows;Vegetation Distribution is indicated 40.95% in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24.79% in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5.42% in Quercus serrata-Quercus mongolica, 1.57% in Quercus variabilis-Rhododendron mucronulatum, 1.14% in Quercus serrata-Quercus acutissima, 0.06% in Pseudosasa japonica.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ima in the overstory tree layer,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us,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in the understory tree layer, and Eurya japonica, Stephanandra incisa, Lindera obtusiloba in the shurb layer, Dryopteris bissetiana, Athyrium niponicum, Arthraxon hispidus in shurb layer are shown respectively as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ground survey. Pinus thunbergii is getting less,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is getting more.Constant Species is Athyrium niponicum, Rhus tricocarpa, Pinus thunbergii, Stephanandra incisa, Styrax japonicus, Eurya japonica, Lespedeza bicolor, Quercus serrata, Fraxinus sieboldiana, Rhododendron mucronulatum, Smilax china. Constancy of Pinus thunbergii and Eurya japonica are indicated 100%.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indicated Transect5 2.6092 is highest,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indicated Transect10 1.8685 is lowest. 본 연구는 시민들의 중요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장산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특성, 식생분포, 우점도, 상재도, 종다양도, 유사도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식생분포는 곰솔-소나무군락이 40.95%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24.79%,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 5.42%, 굴참-진달래 군락 1.57%, 졸참-상수리나무 군락 1.14%의 순이었으며, 이대군락은 0.06%로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2) 우점도는 교목층에서 곰솔, 소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높았으며,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 때죽나무, 곰솔, 사스레피나무 등이 높았다. 관목층에서 사스레피나무, 국수나무, 생강나무 등이 높았고, 초본층에서 족제비고사리, 개고사리, 조개풀 등이 높았다. 우점도 및 군도를 분석한 결과 현재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참나무류군락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3) 출현빈도가 높은 고상재도종은 개고사리, 개옻나무, 곰솔, 국수나무,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싸리나무, 족제비고사리, 졸참나무, 좀쇠물푸레, 진달래, 청미래덩굴 등이었으며, 곰솔과 사스레피나무는 모든 조사구에 출현하여 상재도가 100%로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다.(4) 출현종수는 조사구1이 27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조사구10이 12종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는 제5조사구인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에서 종다양도지수가 2.60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10조사구인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에서 종다양성지수가 1.868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모든 조사구에서 종다양도지수가 높게 나타나 조사지역의 종다양성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승학산 식생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남정칠,박승,김석규,윤상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This study are analyzed Importance Valu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similarity index to propose vegetation management device through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in Mt. SeungHa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allows;In order to revitalize the unstable vegetation structure in Mt. SeungHak. (1)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has to be well maintained in the shrub tree layer, and vines, such as Smilax china, Paederia scandens, Pueraria thungergiana should be removed. (2)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dead leaf layer should be protected, and more shrub trees need to be planted. In the understory and shrub tree layer, multi layer tree planting is highly recommended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and increase tree diversity. (3) The park entry area should be divided into areas that can be used and should be protected, and to each area, different maintenance system should be given. In the facility area, buffering plants should be planted between usable area and natural vegetation area to protect the natural vegetation. (4) To improve the soil acidity due to acid rain, soil buffer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from activating microorganisms in the soil by using lime and organic material, Since it takes a long time to make a change in the soil structure, well planed maintenance system is required by mid-term or long-term plans. 본 연구는 승학산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식생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상대우점치, 우점도, 종다양도,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지역에서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로의 천이가 예상되었고, 관목층에서 덩굴성 식물이 우점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식생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에서 산성토양에 내성이 강한 주름조개풀이 우점하고 있어 토양산성화에 대한 관리방안이 요구되었다. 승학산 식생의 생태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해서는 첫째, 주변의 자연경관과 이질적이고, 산림을 생태적으로 불안정상태로 만드는 리기다소나무와 아까시나무 등의 인공조림 수종을 벌목을 통하여 도태시키야 하며, 자연적인 식생천이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는 청미래덩굴, 계요등, 칡 등의 덩굴성식물을 제거해야 할 것이다. 둘째, 낙엽층의 보호와 관목층의 보식을 통하여 식생을 회복시켜야 할 것이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주변 자연녹지의 다층구조의 자연림을 모방한 다층구조 식재를 실시하여 식생의 회복과 종다양성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이용자의 이용밀도가 높은 지역은 부분적으로 구획을 지어 이용제한지역과 이용허용지역을 나누어 식생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산성토양을 개량하기 위하여 석회의 시용으로 토양반응을 교정하여 중금속의 용출을 억제하거나 퇴비 등의 유기물을 시용하여 토양미생물을 활성화시켜 토양을 개량해야 하며, 토양환경과 주변 식생을 고려한 적합한 양의 석회 시비, 유기물 투여, 토양오염원을 차단하거나 정화시킬 수 있는 수종선정 등을 통하여 토양산도를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토양의 개량효과는 짧은 기간 내에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중·장기 계획에 의한 토양의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nti-Drone Technology for Drone Threat Respons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정진우,심이삭,윤상범,서정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5 No.4

        In this paper, we have undertaken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e of anti-drone technology due to the increasing concerns and risks associated with the widespread use of drones. We carefully analyze anti-drone technology, dividing it into three crucial domains: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neutralization methods. This categorization enables us to delve into intricate technical details, highlighting the diverse techniques used to counter evolving drone threats. Additionally, we explore the legal and regulatory aspects of implementing anti-drone technology. Our research also envisions potential directions for advancing and evolving anti-drone tech to ensure its effectiveness in an ever-changing threat environment.

      • KCI등재

        A Survey for Vulnerability Attack and Defense Method of Satellite-Link Based Communication System

        심이삭,정진우,윤상범,임윤식,서정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5 No.4

        Satellite based communication is networks in which users in a wide area can access without wired-based ground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the need is emerging due to the recent Ukraine-Russia war. Satellite network systems acquire data that is difficult to observe on Earth as well as communication networks and are also us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which allows additional data to be produc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ommunication networks existing in outer space, certain vulnerabilities are revealed, and attacks based on them can be exposed. In this paper, we analyze vulnerabilities that may arise due to the nature of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s and describes current research, countermeasur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심볼 단위 채널 부호화된 시퀀스에 대한 블라인드 인터리버 추정

        장연수,윤동원,현광민,박철순,윤상범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9 No.6

        A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dopt a channel code for error correction and error correction capability of channel code can be improved by interleaving, which converts burst errors into random errors. However, if information of transmitter's interleaver is not known, a receiver cannot acquire exact data from transmitter because deinterleaving cannot be performed correctly. For this case, interleaver parameters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linearity of channel code, and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recently. However, previous researches are restricted to estimations of bit unit interleaver when bit unit channel codes are used. Researches for estimation of symbol unit interleaver are insufficient when communications systems adopt symbol unit channel codes such as Reed Solomon code.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stimation method for the symbol unit convolution interleavr when symbol unit channel codes are adopted.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 unit convolution interleaved sequence and estimate the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of shift registers and the size of register unit using the linearity of symbol unit channel codes. We verify the proposed estimation algorithm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Then, the detection probabilities for various cases are presented and performance of estimation for noisy channel is analyzed.

      • KCI등재

        위상 및 주파수 오프셋에 강인한 개선된 변조 분류 알고리즘

        안성진(Seongjin Ahn),윤동원(Dongweon Yoon),윤상범(Sangbom Yun),권지연(Jiyeon Kw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5

        In a non-ideal channel environment where the phase offset and the frequency offset exist, it is important to select features that are robust to performance degradation fact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mulant based automatic modulation classification algorithm which is independent of the phase and the frequency offset. In order to classify linear digital modulation schemes, e.g., BPSK, QPSK, 8PSK, 16QAM, and 64QAM, we use the cumulants of differential decoded signal as features, and by calculating the euclidean norm of the obtained feature vectors, we perform the modulation classificati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the existing algorithm in terms of average classification probability, and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