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아 이소성 신장의 임상적 고찰

        육진원,김지홍,김명준,김병길,Yook Jin-Won,Kim Ji-Hong,Kim Myung-Joon,Kim Pyung-Kil 대한소아신장학회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2

        목적 : 이소성 신장이란 정상적인 후복막내의 신와에 성숙된 신이 도달하지 못하고 이상위치에 고정된 신장을 말한다. 흉곽 내에서 골반강에 이르는 어느 위치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신 이주시 정지된 위치에 따라 골반신, 요추신, 복부신 및 흉부신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반대측으로도 전위되는 경우가 있다 타측신의 선천적 결여나 식도폐쇄, 선천적 심장기형등 다른 장기의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본 저자들은 이소성 신장 환아들을 대상으로 단서가 되었던 임상양상과 동반되는 다른 질환들 및 치료와 임상적 특성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이소성 신장으로 진단되었던 16명의 환아들의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환아의 진단 당시 연령은 생후 2일부터 12년 2개월이었고, 남아가 7례였고 여아가 9례로 남녀 비는 1:1.28로 나타났다. 15례는 일측성이었으며 좌측 8례, 우측 7례로 관찰되었다. 이중 7례가 골반신, 5례가 요추신, 2례가 복부신, 이중 1례가 교차성 이소성 신장이었고 흉부신 1례 있었다. 1례에서 양측 신이 모두 골반에 위치한 이소성 신장이었다. 진단 당시의 임상증상으로는 요실금을 주소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6례였고, 비뇨기계외의 다른 질환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복부 초음파상 우연히 이소성신이 의심되어 진단된 경우가 5례였고, 복부종괴로 촉진된 경우가 1례, 배뇨 곤란 1례, 요막관 개존증 1례, 산전 초음파에서 진단된 경우가 1례, 요로감염이 1례였다. 동반된 비뇨기계외 이상으로 척추이분증과 같은 골격근계이상이 4례 있었고, 심방중격결손이나 TOF와 같은 심장혈관계의 이상이 2례, VATER 증후군이 1례 있었다. 비뇨기계이상으로는 이소성 요관 4례, 방광요관역류 2례, 수신증 1례, 중복요관 1례등이 있었다. 치료에 있어 전체 16명중 6례(38%)는 치료 없이 추적 관찰 중이며, 1례(6%)는 요로감염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였고 9례(56%)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신이형성 4례, 신형성 부전 2례, 다낭성신이형성 1례를 포함한 7례에서 신절제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 배뇨장애로 방광절개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요막관 개존증으로 교정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 이소성 신장은 임상적으로 증상이 없는 경우는 수술을 요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으나, 저자의 경우 56%의 환하에서 동반된 기형, 감염, 요실금 또는 방광요관역류로 인하여 수술적인 처치를 필요로 하였으므로 이소성 신장의 정확한 진단 및 동반된 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 When the mature kidney fails to reach its norml location in the renal fossa, the condition is known as ectopic kidney. Presenting symtoms can be various and it generally depend on the associated anomaly. Beside urologic anomalies such as hydronephrosis and vesicoureteral reflux, various anomalous vascular net work, skeletal anomaly or genital anomaly can be observed in this condition. Methods : Sixteen children with ectopic kidney was studied retrospectively to analyse initial presentation, accompanied anomaly and prognosis. Results : 56% of the children were accompanied with other urologic anomalies such as true incontinence and vesicoureteral reflux that required surgical treatment. 31% of children were either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evaluation of other non-urologic disease or during follow-up evaluation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Conclusion : Ectopic kidney can be often misdiagnosed as tumorous condition or as a surgical condition depend on the abnormal location of the kidney. Careful evaluation using abdominal sonogram, DMSA, VCUG and abdominal CT scan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earch for associated anomalous condition and for proper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의 중복요관에 관한 임상적 고찰

        육진원,김지홍,김병길,한상원,Yook Jin Won,Kim Ji Hong,Kim Pyung Kil,Han Sang W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2

        목 적 : 중복요관은 전체 인구의 약 $0.8\%$에 이르는 비교적 발생 빈도가 높은 기형의 하나로 최근에는 산전 초음파를 통해 발견되기도 하지만, 혈뇨나 복통, 요로감염의 증상으로 진단되어지며, 다른 비뇨기 계통의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중복요관 환아들을 대상으로 진단의 단서가 되었던 임상양상과 동반 질환 여부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8세 미만의 61례의 중복요관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 61명의 전체환아의 진단당시의 평균연령은 5.6세였고, 추적관찰의 평균기간은 3년 7개월이었으며, 여아가 42명이었고 남아가 19명으로 남녀 비는 1:2.2였다. 양측 중복요관 환아는 16명($26.2\%$), 완전 중복요관 환아는 24명($39.3\%$)이었다. 산전 초음파상 이상소견으로 발견된 경우가 8례($13\%$)있었고, 요로감염을 단서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19례($31.1\%$)로 가장 많았다. 동반질환은 비뇨기 계통이 아닌 기형이나 질환이 11례($18\%$)있었고, 50명($82\%$)은 중복요관 이외의 비뇨기계 다른 질환을 동반하였다. 편측 중복요관환아 45명의 경우 좌측이 23명($51.1\%$)이었고, 이들중 21명($46.7\%$)이 완전 중복요관으로 진단되었다. 전체환아중 비뇨기계의 문제를 동반하여 수술을 받았던 환아는 37명($60.6\%$)이었고, 이 중 방광 요관역류를 동반한 예가 27명($44.3\%$)으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중복요관 환아의 $60.6\%$가 수술을 요하는 비뇨기계의 다른 질환들을 동반하였으며, 특히 요로감염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뇨기계증상 없이 산전진찰이나 우연히 발견되었던 경우가 전체 대상 환아의 $42.6\%$를 차지하므로, 따라서 산전초음파에서 비뇨기계의 비정상적인 소견이 발견되었거나 요로감염, 혈뇨, 복통 등의 증상이 있는 소아들은 반드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중복요관 및 다른 기형이 동반되는지를 확인하여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고, 복부초음파, 배설성 방광요도조영술, 소변 배양검사 등의 주기적인 추적관찰로 향후 발생할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nal duplication is a common occurrence, and the range of ureteral and renal anomalies draining the two poles of the duplex kidney leads to a variety of clinical presentations. Method : A series of 61 children with duplicated systems was studied retrospectively who were admitted during last 12years. Results : Of the children $60.6\%$ were accompanied with urologic anomalies that required surgical treatment, and most children initially were present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42.6\%$ of children were either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evaluation of other non-urologic disease or during follow-up evaluation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Conclusion : From our point view, children with history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or with symptoms such as urinary tract infection, hematuria, abdominal pain should be evaluated radiologially fully to confirm further abnormality and accompanied complications. And routine follow-up using abdominal ultrasonogram, VCUG, and urine culture should be used to prevent and detect early treatable complications.

      • KCI등재
      • 비축대칭 초음속제트 유동에 관한 연구

        진원,이열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산업기술연구소 2002 航空宇宙産業技術硏究所 硏究誌 Vol.12 No.-

        초음속 제트유동장 비대칭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이루어 졌다. 축대칭 유동장의 비대칭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노즐 출구에 작은 돌출부를 설치하거나, 혹은 노즐 내부에서 이차유동이 분출되었고, 이때 나타나는 유동장 변화가 서로 비교되었다. 쉴러린 장치를 이용한 유동가시화와 피토관을 이용한 유동장내의 피토압력이 측정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제트경계의 벌어지는 정도가 측정되었고 아울러 유동장의 제트경계내의 단면 질량유량의 변화가 같은 제트 유동장 변화의 정량적 데이터가 얻어졌다.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highly compressible asymmetric supersonic jet flowfields has been carried out. The axi-symmetrric supersonic jet flowfields have been modified by utilizing small proturbances at the exit of the nozzle or the secondary injection inside the nozz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different flowfields are compared each other. Diverge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jet boundary for various flow conditions has been obtained by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of the Schlieren system. Quantitative variation of the cross-sectional mass flux inside the jet boundary downstream of the flowfield has also been observed by the Pitot-pressure measurements in the flowfield.

      • 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문화 선도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진원 경북대학교사회과학대학지리학과 2008 地理學論究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rategies, effects and problematic issues of cultural flagship projects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s many older industrial cities in the US and Europe have suffered inner city decline problems after the decen- tralization of economic activity and population, they have become more conscious of the need to regenerate city center, in the late 1980s. Urban regeneration 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vision and action which seeks to bring about a lasting improvement in the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erelict urban areas. Cultural flagship project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re central to promotional strategies that seek to transform the image of declining older industrial cities. We define cultural flagship projects as cultural development focusing attention on th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facilities which play an influential role in urban regeneration. Many European cities implemented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upon flagship projects that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US origins. The primary functions of flagship projects seems to produce beneficial impact such as creating physical regeneration, attracting investment and skilled workforce and increasing tourism and employment. And, Cultural strategies form the cornerstones of city's place marketing strategy. However, in the cases of Baltimore, Pittsburgh and Manchester, flagship projects have drawn many controversial issues. Flagship projects generate issues of redistribution such as spatial separation between business, cultural, entertainment center and the decaying neighborhoods of poor inhabitant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 economic benefits flowing from investment in flagship projects will trickle down to local communities. They contribute, in some cases, to displacement and spatial segregation by social class. The cost of maintaining flagships can constitute a long term drain on public finances. It is also clear that imitation effects resulting in the proliferation of standardized models which do not t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can contribute to the cultural standardization. City center regeneration policy is reasonable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mart growth. But, it is necessary to adopt foreign experience after careful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선진 산업국가에서 시행되어온 도시재생 및 문화 선도 프로젝트의 전략,효과,문제점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화를 일찍 경험한 서구의 대도시들은 도시 중심부의 인구 및 경제활동이 분산되는 도시쇠퇴가 시작되었으며,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재생을 위한 개발 전략들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재생이란 쇠퇴지역의 경제적,물적,사회적,환경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전통적인 공업도시들 은 쇠퇴하고,낡은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중심시가지 재생 수단으로 문화 선도 프로젝트를 활용하게 된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문화유산을 보전하고,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등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도시를 재생하는 전략으로서 처음 미국 도시들에서 시행되었으며,후에 많은 유럽도시들이 채택했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물적 재생, 기업 투자와 숙련된 노동력의 유입,관광과 고용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문화전략은 도시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Baltimore,Pittsburgh,Manchester 등의 사례연구에서,선도 프로젝트의 결과 사업,문화,유흥이 있는 중심지와 이를 둘러싼 빈곤지역이 발생하는 등 재분배 문제가 나타났다. 경제적 편익이 자동적으로 지역사회로 파급될 것이라는 증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또한 사회계층에 따른 배제나 분리를 가져왔다. 선도 프로젝트를 계속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공재정의 고갈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모방효과로 인해,지역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을 채택하여 문화표준화의 위험도 있다. 중심시가지의 재생은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과 스마트 성장 운동의 측면에서도 당위성이 있다. 그러나 문화 선도 재생프로젝트의 이러한 문제점음 심사숙고하여 외국의 경험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