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astic net을 통한 학생의 창의성 예측 모형 연구

        유진은,노민정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8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7 No.3

        Previous creativity research has focused on student predictors, but teacher and school predictors also need to be identified to increase school accountability and teacher awarenss for creativity education at schools. Initially, all 2,138 variables from SELS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tudent, parent,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datasets were considered for predictive model building. Elastic net, best-known for selecting variables and handling multicollinearity issues, was employed as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Consequently, a total of 46 predictors were selected out of 1,422 predictor candidates. Selected predictors such as students’ self-concept, self-directed learning, career-based activities,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and computer efficiency were also frequently investigated in previous research. Newly found predictors include school violence experiences (spreading evil rumor), students’ peer relation, and English instruction-related variable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Specifically, school and district’s efforts should be exerted on the operations of free-semester, 2015 revised curriculum’s software education, and Wee classes. Lastly, suggestions on panel data collection were made such as switching to online surveys and delivering actual creativity tests to subsampled students. 본 연구는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를 망라하는 모든 교육 주체를 분석 모형에 포함함으로써 창의성 관련 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수립·이행 시 실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SELS 8차년도 초4 패널 자료가 제공하는 2,138개 학생, 학부모, 교사, 교장, 학교 변수를 기계학습 기법인 elastic net으로 분석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의 창의성 예측 변수를 탐색하였다. 벌점회귀모형 기법 중 하나인 elastic net은 변수 선택이 가능하며 다중공선성까지 고려하므로 대용량 사회과학 자료 분석에 적절하다. SELS의 1,422개 설명변수를 elastic net 모형에 투입한 결과, 성취목표, 탄력성, 자아개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같은 학습 및 심리 특성 변수 21개, 진로성숙도, 진로탐색활동과 같은 진학 및 진로 변수 10개, 학부모와 자녀의 관계, 독서, 문화예술활동과 같은 가정 생활 변수 6개,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 능력과 같은 ICT 활용 변수 3개, 교우관계, 학교폭력, 교사 및 수업 평가 등 학교 정규 수업 및 학교생활에 관한 변수 6개의 총 46개의 변수가 선택되었다. 본 연구모형이 선택한 변수 중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아개념, 성취목표 등의 학습 및 심리 특성 변수, 진로체험활동과 같은 진로 관련 변수, 문화체험활동, 컴퓨터활용능력 등은 선행연구에서 다뤄졌던 변수들이다. 본 연구가 새롭게 발굴한 변수는 학교폭력, 건강 상태, 교우 관계, 영어 수업 관련 변수 등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유학기제(또는 자유학년제), 2015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교육, 위(Wee) 클래스 등과 관련한 학교 및 교육청 차원에서의 노력에 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SELS 자료 수집 시 개선 사항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생활체육 참여효과 예측변수 탐색: 2020년 국민생활체육조사 자료 분석

        유진은,정태순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5

        그간 생활체육 참여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론적으로 확인된 소수의 변수에 대하여 전통적인 분석기법을 적용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계학습 기법을 통해 생활체육 대용량 자료가 제공하는 수백 개의 변수를 모두 활용하여 주요 생활체육 참여효과 예측변수를 탐색하는 것이다. 기계학습 기법 중 해석이 가능한 예측모형을 도출하는 벌점회귀모형이 특히 사회과학 연구에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벌점회귀모형 중 group Enet과 group Mnet을 활용하여 2020년 국민생활체육조사에 응답한 6,194명의 121개 군의 252개 변수를 탐색하였다. 기계학습 시 자료 분할로 야기되는 편향을 고려하여 100번의 모형화가 실시된 결과, 총 12개 군의 36개 변수가 생활체육 참여를 예측하는 주요 예측변수로 선택되었다. 이 중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근린 체육시설 인지 여부 등은 선행연구에서 활용되었던 변수들이다. 새롭게 파악한 예측변수로 체육 동호회 미가입 이유, 1년간 규칙적 체육활동의 변화, 체육활동 시 안전사고 예방 관련 변수, 거주 지역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생활체육 대용량 자료에 벌점회귀모형을 적용한 첫 번째 연구로 의의를 지닌다. 국민생활체육조사와 같은 생활체육 대용량 자료의 가능한 모든 변수를 하나의 모형에서 탐색하는 기계학습 연구 및 이를 토대로 하는 증거기반 정책 입안을 위한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용 영어 쓰기평가 연구: 교사 채점자 훈련과 채점자 일치도를 중심으로

        유진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riting audit of ELL(English Language Learner) students in a state whose ELL students comprise a half of the total. The writing audit, as well as the usual ELL writing assessment, adopted a holistic rating approach. The state authorize teachers as raters through rater requirements and rater training courses. The qualified teacher-rater of an ELL student collected and rated writing samples of the ELL student in a variety of domains, which demonstrates an authentic assessment. The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conducted a three-year audit for the writing assessment of 560 grades 2-12 ELL students, gathered acceptable, stable reliability evidences, and obtained writing samples for consequent teacher-rater training courses. The inter-rater agreement rates between teacher-rater and state-rater of the last audit ranged between 76% and 98%, depending on which agreement rate is referred to. These high agreement rates are encouraging, showing that teachers can be trained to be reliable holistic raters through proper rater training. Further study topics are addressed. 본 연구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ELL; English Language Learner)이 전체 학생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 T주 영어 쓰기평가를 다룬다. 채점자 선정 기준, 채점자 훈련, 쓰기 표본 수집 기준 등을 개관하며 실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채점자 일치도를 구하였다. 미국 T주 ELL 학생 영어 쓰기평가는 해당 ELL 학생을 가르치는 학교 교사가 여러 영역에서 학생의 쓰기 표본을 수집하여 평가함으로써 실제 상황에서의 참평가(authentic assessment)를 구현하려한 점이 특징이었다. 쓰기평가에서 더 적합한 총체적(holistic) 채점 방식을 도입하였으므로 채점자 자격 요건과 훈련을 강조한 것, 그리고 3개년 간의 지속적인 감사(audit)를 통하여 채점자 일치도 증거를 수집하고 후속 연구와 훈련에 이를 이용하는 것 또한 배울만한 점이다. 채점자 자격 기준을 정하고, 채점자를 합당한 수준이 되도록 훈련시킴으로써 교사 채점 신뢰도를 상당 수준 높일 수 있었다. 학교 교사를 채점자로 훈련시키는 것은 교사 재교육, 그리고 교사 전문성 함양 차원에서도 권장할 만하다.

      • KCI등재후보

        미국 초,중등학교 학급수준 학생평가 실태: 수학 과목을 중심으로

        유진은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recently been undergoing major changes in its curriculum.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was developed for 45 participating states and has been implemented in some states including California. This study aimed to capture the student evaluation practices in this time of curriculum reform and to provide insights and/or implications to the Korean settings. Focusing on K-12 mathematics,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 evaluation practices at a classroom level rather than at a national level. Student evaluation instruments included evaluation forms, teachers’ guidebooks, and internet documents which were extensively researched and select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Telephone and emai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school principal and a mathematics teacher to elicit detailed feedback on student evaluation practices. Among others, project evaluation was found to be one of the foremost methods for student evaluation, closely adhering to the 4Cs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eativity) of the CCSS core values. Project evaluation in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system, particularly in the high-stakes testing contexts, appears to have quite a controversial impact. Prerequisites to the successful landing of project evaluation are discussed. 최근 미국에서는 CCSS(Common Core State Standards)라는 국가공통기준을 만들어 유치원부터 고등학생까지 학생의 수학과 영어 표준을 국가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다. 기초 기능에 치중했던 과거 NCLB(No Child Left Behind)에서 벗어나 실제 사회생활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지식과 기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반적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틀이 크게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젝트 평가와 같은 수행평가가 미국 수학교과에서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초·중등학교 학급수준 학생평가 실태 분석 결과, 큰 틀에서는 미국의 학생평가와 우리나라의 학생평가가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프로젝트 학습과 평가가 강조되는 점이 우리나라 수학과 평가와의 차이점이었다. 프로젝트 평가는 CCSS에서 강조하는 4C(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 창의성)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학생의 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까지도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평가의 경우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시간과 노력을 많이 투입하도록 요구하는 부분이 있으며, 과제 개발자이자 평가자로서 교사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 입시를 앞둔 중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평가를 도입하려면 채점의 객관성·공정성, 교사의 평가권 보장 등의 과제가 선결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유진은(兪鎭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2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는 1963년 이래로 초·중등교육, 사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 등을 포괄하며, 학생, 교원, 학부모, 관련 직원들의 실태조사, 의식조사 등을 망라하며 발전해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UIS 교육통계를 중심으로 우리 교육 승인통계를 평가하고,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앞으로의 교육 통계조사의 발전방향을 논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육 승인통계의 시기별 변천사를 알아보고, 총 73종의 교육 승인통계 중 59건을 기본통계, 초중등교육, 사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의 다섯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유네스코의 UIS 교육통계의 범주화, 분류체계, 방법론적 특징 등을 고찰하였다. UIS 교육통계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는 상대적으로 유아교육이 간과되는 반면 사교육이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각 통계에 대한 방법론을 상세하게 문서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총 73건의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를 평가하는 최초의 연구로, UIS 교육통계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교육 승인통계의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Since 1963,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have been conducting facts and/or perceptions surveys to student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mong others, in all possibl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planning and practices of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were grouped in categories, and compared with the UIS(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statistic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methods, statistics categorization,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73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were examined, and 59 of them were categorized as the five groups: Basic, Elementary and Secondary, Private Tutoring,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tatistic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lacking, and the Private Tutoring category stands out, compared with UIS statistics. Documentation efforts on detailed methodology need to be furthered. This study is the first one on the 73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and discussed suggestions to improve the Korea approved statistics of education.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부 생활체육 보도자료 분석

        유진은,권순보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5 No.1

        Major national policies are publicized and disseminated via government press releases. This study aimed at mining the press release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which began to accumulate after 2010, and investigating administration-specific characteristics on Sports for All policies. Specifically, 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and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were applied to a total of 354 press releases obtained from the MCST websi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F-IDF captured vivid keywords such as sports instructor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baduk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which were not apparent in the national agenda summaries of one or two pages. Second, the topics extracted through LDA shed light on the administrations’ priority projects or issues; all the administrations focused on the sports policies of the disabled, and the Lee Myung-bak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s school sports promotion. While these topics covered the administrations’ national agendas, LDA also revealed some topic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the national agendas; such topics included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safety management of sports facilities; and the integration of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Sports Association; an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s budget planning for culture and s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uture Sports for All policies. Studies are also warranted on policy suggestions for specific types of Sports for All. 국가 주요 정책은 정부 보도자료를 통해 홍보⋅확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이후 축적되기 시작한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정부별 생활체육 관련 주요 정책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인 정부는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 정부였다.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에서 ‘생활체육’으로 검색된 총 354 건의 보도자료에 대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와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법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F-IDF를 통하여 한두 쪽의 관련 국정목표 요약문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주요 단어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를테면 이명박정부의 스포츠강사, 문재인정 부의 바둑이 그러한 단어다. 둘째, LDA 결과로 형성된 토픽을 통하여 정부별 실제 역점 사업 또는 이슈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장애인 관련 정책은 모든 정부의 토픽으로 추출되었고 학교체육 활성화는 이명박정부 와 문재인정부에서 공통적으로 추출된 토픽이었다. 이들 토픽이 정부별 국정과제와 직접 연결되는 반면, 박근혜정부의 체육시설 안전관리, 대한체육회⋅국민생활체육회의 통합, 그리고 문재인정부의 문화체육 예산 편성과 같은 토픽은 국정과제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실제 역점 사업 또는 이슈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생활체육 관련 정책 추진 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구체적인 생활체육 종목에 대해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 KCI등재

        기계학습을 활용한 생활체육 참여자와 미참여자의 건강 및 체력상태 예측변수 비교 : 2021 국민생활체육조사 자료 분석

        유진은,김형관 한국체육과학회 202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2 No.3

        Promotion of Sports for All (SFA) can contribute to improving health and physical fitness status, and ultimately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dictors for health and physical fitness status by SFA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via machine learning. In particular, all possible variables and respondents of the 2021 National Survey on Sports for All were analyzed, using penalized regression. After data cleaning and missing data imputation, we analyzed 292 variables of 6,535 participants and 212 variables of 2,465 non-participant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group Mnet, 14 and 11 groups of variables were selected as key predictors of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respectively. Commonly selected predictors included household income, practices for health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on sports club, and prerequisites for promoting sports activites. Gender, education level, the degree of safety rule compliance, reasons for not using physical fitness management service, and accompanying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were predictors for SFA participants. Predictors for non-participants included awareness of neighborhood sports facilities and presence of sports clubs willing to join in the future. We recommend that SFA policies should target prospective SFA participants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FA policies. In-depth research is warranted on sports instructors’ quality improvement and sports clubs’ roles and usages in SF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