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재(耐齋) 홍태유(洪泰猷) 산문의 주제 의식 연구

        유정열(柳正烈) ( Yu Jeong-yeo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본고는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조명된 적이 없는 홍태유(洪泰猷)의 산문을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홍태유는 부친이 당파 갈등의 여파로 인해 죽은 이후 당대 정치 현실과 거리를 둔 채 살아간 인물이었다. 이러한 불우한 상황 속에서도 그는 끊임없이 의미 있는 활동을 하려 노력했으며, 그의 문학 특히, 산문에는 이러한 삶의 지향이 잘 투영되어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外物 애호’와 ‘현실에 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는 산문들의 주제의식을 고찰했다. 먼저 전자와 관련된 산문들을 고찰함으로써 홍태유가 절제된 외물 애호를 추구하고, 나아가 그 애호를 수양의 차원으로 격상시키려 한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다음으로 후자와 관련된 산문들을 고찰함으로써 그가 科擧 문제와 같은 선비라면 모두 관심을 가질만한 문제는 물론이요, 築城 문제 같은 상당히 특수한 사안에도 관심을 갖고, 그 문제들에 대해 다각도로 고민한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se of Hong Tae-yu, who has never been fully illuminated, focusing on subject consciousness. Hong Tae-yu lived away from the political reality of his time since his father died in the aftermath of party conflict. Even in this unfavorable situation, he continually tried to do meaningful activities, and his literature, especially in prose, reflects this intention of life. This paper considers, particularly,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prose that can check the interest in reality and external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Hong, Tae-yu pursued the fond of externals as moderate by examining the prose related to the externals fond, and furthered the external-loving to cultivate level. Next, it was found that he was interested in not only general problems such as state examination; of course, all scholars would be interested, but also very specific issues like building a castle by examining the prose related interested reality and, by extension, he considered the matter from various angles.

      • KCI등재

        차강 박기정의 선비정신과 예술정신 연구

        유정은 ( Jeong Eun Y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5 No.-

        차강 박기정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실로 국운의 비운과 오롯이 일생을 함께한 재야의 서화가 중 한 사람이다. 재예가 뛰어나 뒷날 그 유품들이 지인들과 학계의 일부학자들에 의해 회자되면서 빛을 발하고 있지만 서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조차도 차강의 이름자를 모를 정도로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이렇게 알려지지 않은 연유에는 차강의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곧은 성품과 차강이 주로 활동했던 강원도라는 지역적인 특성도 한몫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강은 오늘날에는 그 이름이 잊혀져 그저 당대의 묵객정도로만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분명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차강은 서화에 모두 그 재예가 뛰어났다. 서(書)에 있어서는 행서와 초서를 비롯하여 예서 등 각 서체에 두루 능하였고, 화(畵)에 있어서는 사군자를 비롯하여 괴석에 이르기까지 문인화의 높은 경지에 이른 근대 강원도 에서는 찾아보기 드문 서화가라 평해지고 있다. 차강 필적의 기개가 얼마나 뛰어났던지『강원도지』에는 ‘서화를 잘하여 세상 사람들이 명가라 칭한 유일한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특히 차강은 난을 칠 때 땅 위에 뿌리를 드러낸 노근란(露根蘭)을 주로 그렸는데, 이는 일제식민지 조선 땅에는 난초를 심지 않겠다는 차강의 강인한 지조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금의 현실은 그 이름조차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 서화전적에서도 이름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그에 대해 전하는 기록은 미비하다.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차강의 올곧은 정신도 국운의 비운과 함께 묻혀버린 것이다. 본 논고는 차강의 선비정신과 예술정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차강의 선비정신은 그의 대표작으로 지칭되는 난과 대나무 그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애국·애족의 마음으로 행하였던 의병활동과 항일운동을 중심으로 차강의 행적을 살펴보며 마음속에 품었던 선비정신을 고찰해보았다. 다음으로 차강의 예술정신에서는 차강의 대표적인 서화작품을 통해서 그의 예술정신이 어떤 의미로 남아 전하는지 살펴보았다. 1)서화가의 바탕이 되는 내적인 인격의 완성을 繪事後素로, 2)차강 작품에 생기와 풍격, 그리고 의미를 부여하는 정신적인 힘을 氣韻生動으로, 3)차강의 작품세계를 한 단어로 정리한 듯한 차강말년에 직접 써서 전하는 秋水精神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Chagang(此江) Park, Gijeong(朴基正)(1874~1949) was on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artists out of the painters`` society, who devoted his life to the tragedy of the country``s fate which went through late Joseon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era. He became famous by being acknowledged his acquaintances and some scholars with his keepsakes later, since he was excellent in talent, however he was not widely known as much even the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researchers do not know the name of Chagang. There might be a major reason why Chagang``s straight character that never compromised with injustice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 where he mainly acted. Due to this reason, Chagang was forgotten today, known as a calligrapher(墨客) of the period. However, this is definitely wrong. Chagang was known for his excellent talent both in painting and calligraphy. In respect of calligraphy(書), he was widely good at various handwritings such as Yeseo(隸書), Haengseo(行書), as well as Choseo(草書), also, in respect of painting(畵), he was evaluated as an extraordinary painter who was rare in modern Gangwondo, who reached a high stage of literary painting such as oddly shaped stones(怪石) including Sagunja(四君子). Spirit of Chagang stroke was so outstanding that he was recorded as a sole person in Gangreungjo of『Gangwondoji』that ``people called him a master, since he was good at paintings and calligraphy``. Also, Chagang mainly drew Nogeunnan(露根蘭) when drawing orchid, which exposed root on the ground, which is determined to show Chagang``s firm fidelity regarding that he would not plant orchid on Joseon land under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current reality does not even remember his name. Record on him is minor, as much as his name could not found in Seohwajeonjeok. Because Chagang``s upright spirit was buried along with the tragic fate of the nation while going through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Chagang``s classical scholar spirit and art philosophy. First,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gang``s classical scholar spirit based on orchid(蘭) picture and bamboo(竹) picture, which are called Chagang``s representative works.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gang``s spirit of classical scholar that he included in his heart, while searching his deeds mainly with Righteous army activity and anti-Japanese movement that he exerted in his heart of patriotism.devotion to the people. Nex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Chagang``s art spirit that remains through his representative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in respect of Chagang``s art philosophy.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1)Hwesahuso(繪事後素), completion of inner personality, the basic of the painting and calligraphy artist, 2)Giwoonsaengdong(氣韻生動), the spiritual power that presents liveliness, character, and significance to Chagang``s works, and 3)Chusujeongsin(秋水精神) that delivered in Chagang``s latter years, which seemed to arrange his work world with one word, with Chusu spirit that he had directly written.

      • SCOPUSKCI등재

        덖음 시간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차의 이화학적 특성

        유정식(Jung Sik Yu),황인국(In Guk Hwang),우관식(Koan Sik Woo),장영득(Young Deug Chang),이철희(Chul Hee Lee),정정학(Jeong Hag Jeong),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3

        덖음 처리가 감국차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감국 꽃을 230℃에서 5, 7.5, 10, 12.5 및 15분간 덖음 처리 후 감국 꽃 침출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L 및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여 차의 색은 점차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총 질소함량은 3.15-3.33%의 범위를 보였고 구성 아미노산은 감칠맛의 주성분인 glutamic acid를 비롯하여 18종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Chlorophyll 함량은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nnin,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덖음 시간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분 덖음 시 각각 0.63 ㎎ gallic acid equiv./g, 13.85 ㎎ tannic acid equiv./g 및 9.77 ㎎ catechin equiv./g이었다. 전자공여능은 15분 덖음 시 9.93%, 총 항산화력은 10분 덖음 시 19.33 ㎎ ascorbic acid equiv./100 g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덖음 감국 꽃차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12.5분, 맛과 향 및 종합적 기호도는 10분 덖음 처리된 차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was prepared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5, 7.5, 10, 12.5, and 15 min)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otal nitrogen and tannin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pan-firing time, whereas chlorophyll and total amino acid (AA) contents decreased. The total AA contents of the samples ranged from 6,399 to 7,068 ㎎%, and the highest content (7,068 ㎎%) was found with the 10 min panfiring treatment. The AAs occurring in the C. indicum L. flower tea included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hich are desirable flavor components. As the pan-firing time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creas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in the 15 min treatment at levels of 13.85 ㎎ tannic acid equiv./g and 9.77 ㎎ catechin equiv./g, respectively. The 15 min pan-firing treatment also had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activity at 19.33 ㎎ ascorbic acid equiv. eg/100 g. Finally, based on sensory evaluations, the 10 min pan-fired C. indicum L. flower tea had the best overall quality.

      • KCI등재

        신사임당의 서화작품 발문으로 살펴 본 조선 사대부들의 담론 및 한계점 연구

        유정은 ( Yu Jeong-eu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6

        16세기 조선에 살았던 여성 신사임당은 딸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의 본분인 婦德을 잘 실천하고, 스스로의 노력으로 서화에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꽃피운 여류예술가이다. 또한 5세기가 지난 지금까지도 조선의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여전히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논란의 중심에서 회자되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과연 어떤 이유가 조선이라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폐쇄적이고 수동적일 수밖에 없었던 규방의 여성을 5세기 동안 꾸준히 역사의 중심에 서 있게 한 것일까? 그 힘의 원동력은 무엇보다 그녀 스스로 뛰어난 ‘화가’였기 때문일 것이고, 또 대학자 ‘율곡의 어머니’였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사임당의 서화작품에 남겨진 조선 사대부들의 발문을 살펴봄으로써 사임당에 대한 담론이 시대별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으며, 또 어떻게 평가되고, 어떻게 이미지화 되어 갔는지 이해하는 데 있다. 16세기 사임당은 아들 율곡의 「선비행장」에 전하는 평가처럼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안견의 화풍을 잇는 산수화와 포도 그림을 잘 그리는 ‘화가 신씨’로 칭송되고 있었다. 그러나 17세기 중반부터는 그녀에 대한 인식이 급격히 변화하게 되는데, 그 중심에는 서인의 영수였던 송시열이 있었다. 그는 사임당을 서인의 종주인 율곡을 낳은 훌륭한 어머니로 추앙하고, 그녀를 정호·정이의 어머니 후부인과 동일시하였다. 또한 사임당의 산수화에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그 이후 사임당의 산수화에 발문이 등장하지 않게 한 장본인이다. 송시열에 의해 산수화에 절묘했던 사임당은 사라지고 대신 초충도가 그 자리를 차지하였다. 18세기에 담론을 주도했던 사대부들은 송시열의 담론을 이어 ‘율곡의 어머니임이 당연하다’는 귀결점과 함께 유교적 부덕을 갖춘 여성으로 재강조하게 된다. 유교 경전중 『시경』과 대비시키면서 더 구체적으로 부덕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19세기 발문을 통해 나타난 사임당은 ‘모성의 대명사’로 평가되었다. 그 중심에는 평산 신씨 가문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문에 가려져 사임당의 예술성은 이미 그 빛을 잃어 버렸다고 판단된다. 사임당 서화작품 발문의 공통점들은 16세기를 제외하고 송시열 발문 이후부터는 서화 실력 자체로 평가 존재되었다고 보기보다는 ‘율곡의 어머니’라는 위치로 서화의 평가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발문을 쓴 사대부들도 대부분 율곡의 학문을 종주로 하는 서인·노론계 학자들에 의해서 폐쇄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사임당의 서화는 ‘율곡의 어머니’라는 위치를 공고히 하는 하나의 보조물이었다. 이는 사임당 스스로의 재능인 ‘화가 신씨’로 존재하지 못하게 하고 ‘율곡의 어머니’로 존재하게 한 한계는 있지만, 또한 ‘율곡의 어머니’였기 때문에 사임당의 서화가 그 명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었던 양면성을 함께 지니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Shin Saimdang, having lived in the 16<sup>th</sup>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was a woman writer and artist who not only practiced well the female virtues as a daughter, a wife and a mother, but also cultivated her artistic talents fo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herself. In addition, for the past five centuries, she has been one of the rare figures in the Joseon Dynasty who became discussed by all and has been caught up in controversy in modern society. What made this woman in the women’s quarters, who had to live a passive life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stand on the center stage of history for five consecutive centuries? The driving force likely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she was an outstanding “painter” on her own and the “mother of Yulgok, the great schola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pilogues left in the paintings and the calligraphic works of Saimdang, which help us to understand how the discourses on her were formed, evaluated and magnified in each period. Like the evaluation records left in Yulgok’s Records on the Deceased Mother, in the 16<sup>th</sup> century she was praised as “painter Shin” who had gifts for paintings of grapes and the landscape, succeeding the painting style of An Gyeon, a paint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from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onwards, the recognition of her underwent a rapid change, with Song Si-yeol at the center of it. He recognized her as an eminent mother of Yulgok, the leader of the Seo-in faction, and equated her as Mrs. Hu, the mother of Cheng Hao and Cheng Yi in the Song Dynasty of China. In addition, since he showed a negative view on her landscape paintings, the epilogues on them disappeared after that. In other words, because of him, the landscape paintings, which had made her a conspicuous painter, disappeared, replaced with those of birds and insects. Succeeding his opinion, the noblemen who led the discourse in the 18<sup>th</sup> century, reemphasized her as a woman with Confucian female virtues, reaching a conclusion that it is natural she is a “mother of Yulgok.” More concretely comparing to the verses in《Shijing》 among the Confucian scriptures, they emphasized her female virtues. From the viewpoint of the epilogues in the 19<sup>th</sup> century, she was evaluated as the epitome of motherhood. This was mostly promoted by the clan of Pyeongsan Shin. Covered by that clan, the artistic merits of her works paled into insignificance. As for the common features of the epilogues for her works, except for the 16<sup>th</sup> century, from the epilogue of Song Si-yeol on, her works were evalua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position of the “mother of Yulgok,” not that of the performances of her works themselves. The noblemen themselves were also exclusively selected from the Seo-in and Noron faction which respected Yulgok as the leader of the scholars at that time. He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served as one of the auxiliary substances to consolidate her position of “mother of Yulgok.” However, although in the epilogues of her works there are some limitation that made her not be “painterShin,” but be “mother of Yulgok,” it cannot be denied that her works could keep themselves in existence, since she was a “mother of Yulgok.”

      • KCI등재

        덖음 횟수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꽃차의 품질 특성

        유정식(Jung Sik Yu),우관식(Koan Sik Woo),황인국(In Guk Hwang),장영득(Young Deug Chang),정정학(Jeong Hag Jeong),이철희(Chul Hee Lee),장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5

        덖음 처리가 감국차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감국 꽃을 230oC에서 3, 5 및 7회 덖음 처리 후 감국꽃 침출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덖음 횟수에 따라 L 및 a value는 감소하고 b value는 증가하여 차의 색택은 점차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총 질소함량은 무처리에서는 2.79%이었으나 덖음 횟수에 따라 3.42~3.63%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18종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Caffeine 함량은 덖음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chlorophyll 함량은 덖음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nnin,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덖음 시간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7회 덖음 시 각각 9.79, 17.44 및 11.09 ㎎/g이었다. 항산화활성은 7회 덖음 시 전자공여능은 17.22%, 총 항산화력은 16.62 ㎎ AA eq/g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덖음 감국 꽃차의 관능검사 결과 색, 맛, 향 및 종합적 기호도는 5회 덖음 처리된 차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were investigated with the number of pan-firing. Total nitrogen, tannin and caffeine contents of tea were increased as the number of pan-firing increased, whereas chlorophyll and total amino acid (AA) contents were decreased. TAA content was in the range of 5,226~6,561 ㎎% with the number of pan-firing. The content of caffeine and chlorophyll was not changed with the number of pan-firing. As the number of pan-firing increased,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increas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17.44 and 11.09 ㎎/g at 7 times pan-firing, respectively. Total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16.45 ㎎ AA eq/g at 7 times of pan-firing. Based on the sensory evaluation, the best overall quality of the tea was obtained with 5 times of pan-firing.

      • KCI등재

        중국 소득배증(收入倍增) 계획의 사회적 함의

        유정원 ( Yu Jeong Weon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7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5 No.3

        A change in China from the 1990s can be covered by comprehensive term “diversification”. And diversification is shown from the system and recognition evenly throughout political·economic·social area.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social differentiation in China and society members` recognition. To this end, this study pushed forward discussion, focusing on income differentiation, and tested a difference in social recognition according to incom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come structure. For this test, statistical data from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survey data from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Institute of Social Science Survey, Peking University, and Development Research Center of the State Council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owing to the effect of economic development, the household income in China has gradually grown. And as household income diversification became serious, a difference was shown in social recognition according to income bracket. This study analyzed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 satisfaction with social safety net, living environment recognition evalua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a difference in income and social recognition showed a certain pattern. Second, it doesn`t seem that a difference in social recognition according to income will undermine the stability of Chinese society in a short period of time. Various social groups formed due to market economy hope for government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ndpoint. However, in spite of this difference, a common point of regarding the government`s role in security and order as important is shown in all income segments.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ocial recognition,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members of society demanded that Chinese government should improve policy, not insisting that currently operated social system should be shifted to different one. Rather, it is thought that current demand is a hope for government actively interfering in solving social problem by properly using the right of decision and execution.

      • KCI등재

        중국 과학자 조직과 네트워크

        유정원(Yu Jeong-we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1 No.-

        1914년 미국 코넬대학(Cornell University)에서 중국 유학생들이 자발적인 참여로 조직된 중국과학사는 “과학으로 나라를 구한다(科學救國)”는 구호 하에서 사회 교육과 사회 개량을 통한 부국강병을 추진하였다. 학회지 발간과 연구소ㆍ박물관 설립, 사회 교육 등 활발한 사회 활동이 주식제도와 기부금, 정부의 찬조와 같은 사회 각계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문에서는 중국과학사로 대표되는 근대 과학 지식인의 조직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과학 지식과 사회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먼저 중국 과학 지식이 전수되고 전문 직업인으로서 중국 지식인 등장하게 된 제도적 변화와 사회의 인식 전환에 대해서 논하였고 이를 통해 과학 지식이 중국 사회에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과학사에 참여한 사원들의 인적 구성을 6가지 집단으로 구분하여 중국과학사 사원들의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중국과학사 사원들 사이의 인맥 연결망을 통하여 사원들 간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이러한 특성을 통해 과학사 사원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과학지식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당시 지식인 사회의 인식과 과학지식을 중국의 지식 체계로 정착시키려는 중국과학사 사원들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과학사의 활동, 그리고 사원구성과 사원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새로운 지식이 특정 사회에 이식되고 성장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cience Society of China was a major science organization in the modern history of China. It was initiated by Chinese Students at Cornell University in 1914, and founded headquarter in Nanjing in 1918. Although the Science Society of China was a science organization, but it was supported by almost all Chinese intellectuals. Because China was suffered imperial aggress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cience Society of China' agenda, which is “saving China through science”, was welcomed by Chinese intellectuals, and these people made great efforts to build science education system together. This paper researched members of the Science Society of China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howed their diversity of career, political position and social background.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that modern scientific knowledge was finally accepted in Chinese Society, and it became one of social norm. After establish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ese government founded government-sponsored scientific organization,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 and the autonomy of science research was vanish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