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한 오미자 내 유기산 포접

        유이슬,황가은,김규린,정유진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11

        오미자는 다섯 가지 맛을 내는 넝쿨성 식물로서 당뇨병 예방 및 치료 효과1)가 있으며, 이 외에도 많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오미자의 다섯 가지 맛 중 강한 신맛으로 인해 식품 개발 시, 소비자의 기호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신맛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신맛을 감소시키기 위해 산을 포접하는 방법으로 천연첨가물인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하여 오미자추출물과 적정비율로 교반하여 포접복합체를 만들었다. 제조된 오미자 포접물의 형태, 크기 및 특징은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PSA(Particles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IR(Infrared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오미자 신맛의 주 성분인 시트르산(Citric acid)과 말산(Malic acid) 함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유기산 포접 연구는 오미자 식품개발 시 오미자 신맛감소를 통해 기호성 증가에 도움될 것으로 보여진다.

      • PSC 거더 철도교의 가로보 개수 적정성 분석

        유이슬,김병철,김환표,임성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2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2 No.1

        Although PSC girder bridges are widely applied to highway bridge, cross beams are considered as secondary member, not primary. Using simplified and/or experimental formula, five equi-spaced cross beams are conventionally designed in the field depending on standard drawings. Since structural damages are found frequently in the connection between girder and cross beam under traffic loads, the number of cross beams are reported to decrease in design of railway bridge like highway bridge.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r applicability to decrease the number of cross beams of PSC girder railway bridge.

      • KCI등재후보

        Increase in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a lateral flow assay for a cardiac marker by oriented immobilization of antibody

        유이슬,Zongwen Jin,강문석,김학성 한국바이오칩학회 2011 BioChip Journal Vol.5 No.3

        Early detection of human cardiac markers is regarded as a gold standard for dia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ere we demonstrate the increase in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a lateral flow assay for a cardiac marker troponin I (cTnI) by oriented immobilization of antibodies on magnetic beads. For the construction of sensitive magnetic labels, orientated-immobilization of anti-troponin I antibodies on magnetic beads was attempted using protein G. Magnetic beads were first conjugated with protein G followed by immobilization of anti-cTnI antibodies. The factors affecting the detection sensitivity in the lateral flow assay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lateral flow assay of cTnI was carried out using the magnetic beads and a Giant magnetoresistive (GMR) sensor at the optimized condition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using a conventional random immobilization method. Magnetic labels with oriented immobilization of antibodies enabled the detection of cTnI up to 0.01 ng/mL, showing significantly increased sensitivity compared with conventional immobilization method. This result clearly shows that the magnetic labels with oriented immobilization of antibodies can find wide applications in the lateral flow assays of target analyte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업중단 숙려제’ 관련 네이버 지식iN 게시글 분석

        이슬,금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교육과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네이버 지식iN의 ‘학업중단 숙려제’ 관련 질문글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의정보 요구와 심리적 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2017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총 1,263개의 질문 게시글을 수집하여 R 패키지를 이용해 텍스트마이닝을 하였다. 코로나-19 전후의 단어 출현을 비교하기 위해 단어 빈도와 오즈비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이후에는 고빈도 단어 중 학업관련 단어가 감소하고, 정신건강 관련 단어가 증가하였으며, ‘가정학습’이 새롭게 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DA 토픽모델링 결과 9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자퇴 고민과 결정의 어려움’, ‘검정고시 관련 규정 및 정보’, ‘자퇴/숙려제 신청 방법 및 규정’, ‘친구관계 어려움’, ‘자퇴 허락에 대한 고충’, ‘전학 규정 및 방법’, ‘자퇴 후 학업 방향’, ‘출석 인정 결석 방법’, ‘정신적 고통’으로 명명하였다. 이를통해 학업중단을 고민하는 학생들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과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도출하였으며, 학업중단 위기에 처한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및 정책 개선에 대해 논의하였다. 끝으로 연구의시사점과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ndatory Dropout Prevention Program is a preventative policy that offers 2 to 7 weeks of guidance for students showing signs of academic suspension or expressing an intention to drop out. This study analyzed posts on Naver Jisik-In, a platform for shar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Korea, related to the Mandatory Dropout Prevention Program exploring the information demands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tudent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in R, we analyzed 1,263 question posts from 2017 to 2022. By analyzing word frequency and odds ratios to compare word occurrenc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t was confirmed that after COVID-19, academic-related words decreased among high-frequency words while mental health-related words increased, and “home learning” emerged as a new term. Furthermore, the results of LDA topic modeling were classified into 9 topics: 1) Difficulty in deciding to drop out, 2) GED (General Educational Development) exam rules and details, 3) Regulations for leaving school, 4) Friendship difficulties, 5) Difficulty in obtaining approval for dropping out, 6) Ways to transfer to another school, 7) Academic concerns and plans, 8) Approaches to obtaining excused absences, and 9) Mental distres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diver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otivations, and concerns of students contemplating dropping out of school or participating in the Mandatory Dropout Prevention Program, or study interruption system. The study prompts discussions on counseling and policy improvements for students in academic crisi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동적영향변수를 통한 자기부상열차용 철도교의 해석적 연구

        유이슬(Yi-Seul Yoo),박원찬(Won-Chan Park),임성순(Sung-Soon Yh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4

        자기부상열차는 비접촉자기부상과 안내 및 추진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안전한 고속주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이 적으므로 주행안정성에도 탁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자기부상열차개발을 국가성장산업으로 지정하면서 자기부상열차의 시범제작과 시범운행을 시도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속주행으로 발생하는 각 모듈의 동적 응답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므로 주행속도, 노면조도, 현가장치의 물성치, 교량거더의 강성비 등 동적 효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수들의 변화에 따라 동적응답들의 상호관계를 연구범위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박스거더교를 교량모델로 선택하였고 국내 생산중인 부상열차와 레일형식을 각각 이동열차하중과 가이드웨이 해석모델로 선택하였다. 해석결과 처짐 제한을 2000분의 L로 제시한 단면을 가진 자기부상열차용 교량의 고유진동수는 일반교량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교량구조에서와 같이 자기부상열차용 철도교도 이동속도에 따른 거더의 동적응답은 속도에 비례하여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설계기준은 이동속도와 관계없이 10%의 충격계수로 동적효과를 나타내므로 설계기준의 값과 적용범위는 검증이 요구된다. 거더의 동적응답은 시속 240km/h에서 극대 값을 가지며 이후 속도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해석결과들은 자기부상열차용 철도교 설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설계기준을 확인하거나 검증할 때 기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Because maglev trains have a propulsion and absorption force without contact with the rails, they can drive safely at high-speed with little oscillation. Recently, test model of a maglev propulsion train was produced and operated, and has since been chosen as a national growth industry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nd considerable investment in these fields. This study examined the dynamic responses due to bridge-maglev train interaction and basic material to design bridges for maglev trains travelling at high-speed. Depending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dynamic effect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responses. A concrete box girder was chosen as a bridge model and injured train and rail types in domestic production were selected as the moving train load and guideway analysis model, respectively.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natural frequency of a bridge for a maglev train, which has a deflection limit L/2000, was higher than those of bridges for general trains. The dynamic responses of the girder of the bridge for a maglev train showed a substantial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velocities of the moving train like other general bridge cases. Maximum dynamic response of the girder is shown at a moving velocity of 240km/h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moving velocity of trai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sign a bridge for maglev propulsion trains and provide the basic data to confirm the validity and verification of the design c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