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을 위한 장애 유형별 보조공학기기 수요도 조사

        유은영,정민예,박흥석,김수정,김정란,임윤정 대한작업치료학회 200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직 장애인을 대상으로 고용과 연관된 장애 유형별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기초수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설문조사는 직업훈련 교육 및 상담을 받고 있는 구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역적 변수를 고려하여 표집 하였다. 전체 가용 설문 대상자는 275명(남: 218, 여: 55, 무응답: 2)이였으며, 장애 유형별로 개발 우선 영역과 보조공학기기 품목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조공학기기의 장애 유형별 개발 수요는 지체 장애인은 일상생활, 작업보조기구, 이동을 가장 우선 개발해야 하는 영역으로 지목하였고, 시각 장애인은 시각, 청각 장애인은 청각 관련 보조공학기기의 개발을 요구하였다. 세부 제품에 대한 개발 요구 정도에서는 지체 장애인은 일상생활영역에서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세면기 및 변기 등을 가장 개발이 요구되는 제품으로 지목하였고, 작업보조기구에서는 작업물 운송/운반 장치, 높낮이 조절 작업 테이블, 욕창방지용 쿠션 등을, 이동에서는 장애인용 개조 자동차 및 악세사리, 전동 휠체어 등을 가장 개발이 요구되는 제품으로 조사되었다. 시각 장애인은 컴퓨터 음성 입․출력 프로그램, 점자 정보 단말기, 문서인식 프로그램, 음성 메모기, 시각 장애인용 흰 지팡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각 장애인은 문자 송․수신 전화기, 소리를 빛이나 진동으로 알려주는 장치, 그림과 글자가 있는 의사소통 판, 휴대용 대화장치, 화상 전화기를 가장 개발이 필요한 제품으로 설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직업재활 과정의 구직 장애인들에게 우선시 되는 보조도구 개발영역과 구체적인 장애유형별 개발 요구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직업재활 과정에서 보조도구의 개발과 지원 정책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 for assistive devices and to initiate the groundwork for their appropriate development, as well as creating supporting polic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Methods :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ently undergoing vocational training and counseling were selected. Locational variables in the survey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total available data came from 275 subjects (male: 218, female: 55, did not respond: 2), and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areas of priority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assistive devices for disabilities. Results : With regard to priority in the development of assistive devices,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ointed the following out as being of utmost importance: activities during daily routines, (ADLs), instrument-related work, and mobility. Blind person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to vision, and persons with a hearing impairment demanded development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to hearing. Demands for the development of detailed items to assist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mostly expressed in the following areas: a height-adjustable washbowl and height-adjustable chamber pot in ADLs, a delivery apparatus in working objects, a height-adjustable worktable, an ulcer protective cushion for instrument related work, a modified automobil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utomobile accesso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 power-driven wheelchair for better mobility. The blind require a computer input or output program, a Braille device, a document recognition program, voice memory, and a walking stick as assistive devices. The demands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include a letter transmitter-receiver telephone, a device converting sound to light or vibration, a communication board using figures and letters, a portable communicator, and a videophone. Conclusion : We identified the priorities in the development of areas and detailed items of assistive devices for applicants with disabilit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 demand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assistive devices and supporting polic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 KCI등재

        Cystic Pulmonary Chondroid Hamartoma: A Case Report

        유은영,이경수,한정호,김윤경 대한영상의학회 200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8 No.6

        Hamartomata is the most common benign type of tumor, occuring in the lung. However, a cystic pulmonary hamartoma is extremely rare, and is difficult to diagnose due to its nonspecific nature. We report a case of cystic pulmonary hamartoma in which a popcorn-like calcification is clearly identified, thus enabling a confident diagnosis of the disease.

      • KCI등재

        치매 노인을 위한 다감각환경(snoezelen)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유은영,이지연,황수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게 다감각환경(스노젤렌) 프로그램이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원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6명의 중등도-중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 스노젤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였고, 12가지 이상행동빈도와 이에 따른 보호자의 고통정도를 스노젤렌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비모수 통계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증상 빈도의 평균이 57점에서 37점으로 35% 감소하였고, 보호자의 고통정도는 평균이 29점에서 19점으로 29.6%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감각환경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중증 치매노인의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가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Snoezelen) environments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burden of care in persons with dementia. Methods : Six person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and significant problem behaviors, received 8 weeks of multisensory environments program.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was employed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includ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 Participants's average problem behavior scores decreased from 57 in the pretest to 37 after multisensory environments program. Mean scores of burden of care decreased from 27 to 19. Conclusion : Multisensory environments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decrease problem behaviors and burden of care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그릿을 중심으로

        유은영,김태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senior students of a university, an open university, and two junior colleges for teacher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Gri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i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pen university seniors were presented the highest in the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grit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grit. Thirdly, university typ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gr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rit are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ch required the teacher educators to seek ways to increase these abilities in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의 목은 비유아교사의 진로비행동에 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는데 있다. 연구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학의 3년제, 4년제, 개방 학의 최고 학년인 3학년과 4학년 비유아교사 329명이었다. 비유아교사의 진로비행동에 향을 미치는 요 인을 살펴보기 해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 진로비행동 검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신뢰도를 구한 후 상계분석과 단계 회 귀분석을 실시하여 비유아교사의 진로비행동에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이 미치는 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학 유형에 따라 학과 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 능감, 그릿이 통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다. 둘째, 진로비행동과 학과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릿이 정 상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 유형은 진로비행동 에 유의미한 향을 주지 않고,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은 모두 비유아교사 의 진로비행동에 유의미한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비유아교 사의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이 진로비행동과 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 에 따라 학에서는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릿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유은영,강은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mind map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lecic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ree spastic cerebral palsied children were the subjects for the program and a before-after scheme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his or her lexicon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 Frist, small group mind map activities increased the number of the associated words with the given word. Second, after the program performed, the frequency of noun usage decreased, while that of verb usage increased. Also, the usage of descriptive words surfaced. Third, this program increased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 from the subjects. Fourth, this program increase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in words of the subj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ll group map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anguage competence of children with spacitic cerebral palsy.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3명에게 마인드 맵 중재를 실시하고 어휘력의 향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들의 연상어휘수, 품사별 출현율, 전체 발화 수, 평균 낱말 길이를 측정하였다. 중재는 사전-사후 설계를 실시하여 사전평가와 중재후의 사후 평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이 주제어에 대한 연상 어휘 수를 증가시켰다. 둘째,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이 주제어에 대한 연상 어휘에 대한 명사에 제한적 이었던 품사 출현을 동사와 형용사로 확장되어 출현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전체 발화 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평균 낱말 길이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소그룹 마인드 맵 언어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