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내 안전교육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차이

        유성창,라종민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2015년 한국의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과 학교 내 안전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루어 졌다. 연구에 참여한 9,842명의 초·중·고 교원 중 결측값을 Listwise 방법을 통해 제거 한 후 7,775명의 정보만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사고에 대한 교원들의 태도, 학교 내 안전교육의 필요성, 학교 내 안전교육을 위해 정보를 얻는 통로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원은 중·고등학교 교원들보다 학교 내 안전사고는 덜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며 남자교원보다 여자교원은 학교내 안전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초·중·고 교원 모두 학교 교육과정에서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높아지고 교원들은 안전교육은 학교 교과과정에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perceived safety at school and safety education performed in Korean school system. Among 9,842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formation about 7,775 participants was considered.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attitude to accident at school,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at school, ways of obtaining materials needed in safety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analysis indicated that teachers at the elementary school was perceived safety issues less seriously compared to other levels of teachers. In addition, compared to female teachers, male teachers considered safety issues at school less seriously across all levels of schools. However, teachers across all the levels agreed to have safety related education at school. However, In parallel with this line, results obtained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as higher recognition of safety education and higher levels of school increased, possibility of being safety education as independent subject was increased.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근거로서 인지 및 비인지 역량의 관계

        유성창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3

        We currently witness an increase in the currency of educational phrases involving ‘competence’, which translates into requests for curriculum reform suitable for our next generation. As is often noted, such requests in fact emphasize non-cognitive competences such as social skills, personal attitudes and ethical behaviors as the essential contents of our new curriculum. In spite of the currently high volume of scholarly works 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form that usually stresses learning and teaching of non-cognitive competences,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e relationship we can draw between cognitive and non-cognitive competences. As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an clarify the specific strategies of reforming the current curriculum, it is crucial for us to examine the types of such relations. Certain philosophical traditions have advocate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two, whereas certain cognitive psychological theories have it denied. And a recent comparative international survey shows that the case is more complicated than such an advocacy-denial dichotomy and that the relation could be diversely set up based upon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us,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form requires further analyses of the relations between cognitive and non-cognitive competences in each subject matter, which have been specifically formed in our cultural and social context.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역량이라는 개념의 교육계에의 도입은 기존의 지적 능력 중심의 교육에서 비인지적 역량에 대한 강조점의 환기라는 데에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논의는 기존 교육이 다루어온 지적 역량과 새롭게 강조되는 (21세기형) 비인지적 역량간의 관계 설정을 필요로 한다. 서양철학과 인지심리학의 학문발달 과정 및 국제비교 조사 자료를 통하여 인지 및 비인지 역량의 관계를 탐색해 볼 수 있다. 그 결과, 첫째, 인지 역량과 비인지 역량 간 모종의 관계가 있으며, 둘째, 그 관계는 단순히 정적인 인과 관계가 아니라 보다 복잡한 형태로 얽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인지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선은, 첫째, 기존의 인지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포함 혹은 반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인지 및 비인지 능력의 관계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교과별 및 역량별로 다른 비인지 역량의 포함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practical autonomy in education: The case of Korean Self-directed Learning Policy

        유성창 한국교육개발원 2011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8 No.2

        The concept of autonomy encompasses different dimensions of meanings in education. If we are concerned with how to deal with practical autonomy in educational contexts, it is crucial for us to adopt the pertinent types of autonomy in the proper pla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us to first analyze the different types of autonomy, and then apply the analytical distinctions to actual policy cases in which the concept of autonomy is employed. This will help u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conceptual coherence or cacophony in applying the meanings of autonomy to practical prescriptions. This article offers four different ways of conceiving of practical autonomy based upon its origins, directions, boundary and treatment, and maintains that one type of autonomy may transfer into another in the course of education. Both theories and policies concerning education for autonomy should reflect important conceptual properties of autonomy to secure its logical validity. The Korean Self-directed Learning Policy is examined in light of this analysis, as an example of a policy that lack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types of autonomy and coherence in the policy logic.

      • KCI등재

        중학생의 언어폭력과 언어방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유성창,이한종,이윤옥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verbal violence and verbal defensive curriculum by analyzing certain patterns of verbal violence and discomf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do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only the data of 8,674 responded sincerely.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hi-squared test. And the contents of verbal violence in counseling cas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type of verbal viol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as attack on appearance, followed by profanity, attack on academic ability, personality, friendship, and family. The most discomforting verbal violence was attack on the family, as opposed to regarding academic ability, which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most preferred verbal defense was conflictive situation avoidance, followed by partial acceptance, changing conversation partners, requesting to stop, requesting information, and changing topics.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naware of how to deal with verbal viol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reduce the occurrence of verbal viol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establish training and curriculum about verbal defense, and prepare effective measure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전조가 되는 언어폭력의 양상 및 불쾌감, 그리고 언어폭력에 대한 언어방어 방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언어폭력과 언어방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실히 답변한 8,674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t검증, 교차검증 등을 실시하였으며, 위클래스 상담사례에 나타난 언어폭력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생들이 가장 많이 듣는 언어폭력은 외모에 대한 공격이며 그다음은 욕설, 공부·능력에 대한 공격이 많았다. 언어폭력에 대한 불쾌감은 가족에 대한 공격을 가장 불쾌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공부·능력 공격에 대한 불쾌감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둘째, 언어방어로는 상황회피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다음으로 부분인정, 대상전환, 중단요청, 정보요구, 감정전달, 화제전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폭력에 노출된 학생들은 그런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처방안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언어폭력 감소 및 언어방어의 훈련 및 교육과정 수립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활용할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언어폭력 방어 교육과정 개발

        유성창,이윤옥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erbal violence defense education curriculum that can cope with verbal violence situations that are a precursor to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prior studies on verbal violence and verbal defense. Based on the survey analysis, we organized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nd developed a verbal violence defense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process of expert consultation council for appropriateness review. Then,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ere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and the opinions of exper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into five stages of learning, training, utilization, overcoming, and growth. This program has provided defense techniques suitable for each type based on the language defense type, and it is possible to train small groups together with individual training. The time required for each step of the program is 45 minutes, but it can be used flexibly conside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stud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 verbal violence defense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pplicable to school sit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전조가 되는 언어폭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언어폭력 방어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언어폭력 및 언어방어 관련 선행연구 고찰, 설문조사 분석을 토대로 본 내용을구성한 후 적절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자문 등의 과정을 거쳐 언어폭력 방어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 후 본 내용의 효과성 여부와 진행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예비연구 및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여 본 내용을확정하였다. 본 언어폭력 방어 교육은 총 5단계인 학습단계, 훈련단계, 활용단계, 극복단계, 성장단계로 개발되었다. 학습단계는진단, 필요성, 전략탐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훈련단계는 선택, 훈련, 시도로, 활용단계는 활용, 교정으로, 극복단계는활용, 피드백으로, 성장단계는 응용, 추후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방어 유형을 기초로 각각의 유형에적합한 방어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개인별 훈련과 함께 소그룹으로 구성하여 훈련할 수 있다. 단계별 소요시간은 45분이지만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언어폭력 상황에서 적절히 언어적으로 방어하여 학교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 적용 가능한 언어폭력 방어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육의 효율성과 타당성의 대립: 한국과 서양의 교육문화 비교

        유성창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3 No.-

        In most cases, Korean students find their actual motivation of learning in obtaining good results in various evaluations, whereas theorists and scholars tend to value educationally rightful directions in their academic works. Thus the concepts of efficiency and validity in educational practices seem to be in an irreconcilable contradicting relationship. This articles examines several international and domestic cases in which educational evaluation has been revised in pursuit of validity and discuss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betterment of Korean educational culture, requesting to value more validity in practical realms. 한국의 학생들은 거의 모든 학업의 동기가 시험과 그 결과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교육학의 이론가들과 정책 입안가들은 교육적으로 옳은 방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효율성을 중시하는 현실과 교육의 타당함을 중시하는 이론의 괴리가 인지된다. 본고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의 교육평가 사례들을 검토하고 전반적인 세계적 흐름을 고찰하며, 한국의 교육평가 개선 사례들을 대조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에 있어서 효율성과 타당성이 결국 상호 대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현실에 있어서 동시에 추구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특히 효율성을 중시하는 한국의 교육현실에서 교육적 타당성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육정책의 논리로서 정치발전에 대한 비판적 검토: 플라톤과 로크의 사상을 중심으로

        유성창 한국교육정치학회 2016 敎育政治學硏究 Vol.23 No.3

        In our conversation regarding educational matters such as the national publication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it is frequently argued that education can somehow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culture. This article examines the logical soundness of such an argument that education can lead political advancement, first by examining Plato’s philosophy that such a logic is possible through fostering capable political leaders and second by discussing John Locke’s political theory that politics can develop through providing proper civic education for every citizen. This research points out practical limitations that both thinkers’ arguments have to face in considering their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finally interprets such limitations as a ground for educators’ duty to keep political neutrality. 교과서 검인정에 관한 논쟁이나 각종 세부 교육정책에 대한 판단의 근거로 빈번히 사용되는 논리 중‘교육이 정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논리를 드는 사례가 많다. 본고는 해당 논리를 철학적으로 검토하여 교육과 정치 발전 간 보다 이론적으로 타당한 관계를 탐색한다. 특히 지도자의 양성을 통하여 기여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던 플라톤의 철학과 시민들의 능력 향상을 통하여 기여하는 것을 주장하였던 존 로크의 철학을 현실적 한계점에 근거하여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본고는 궁극적으로 교육과 정치는 독립적으로 추구되어야 하는 영역들이며, 따라서 교육관련자들은 정치적 문제와 관련하여 중립성을 지켜야 함과 교육정책의 정치적 중립성이 추구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