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복 후 육군 복장의 변천 배경과 발전 방향

        유동호,박찬희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8

        Army uniform is attire worn by our force when we intend to accomplish our (our force's) will to defeat an enemy through violent behavior in a war, and is divided into one for battles and the other for protocol,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symbolism. The functionality (forms, materials, etc.) of the former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of weapons and tactics, while that of the latter has been changed to reinforce the unity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army uniform has underwent following periods: ①early period(1946~1953)→②transition period(1954~1962)→③establishment period(1962~1970)→④indigenous period(1971~2010)→⑤development period(2011~2019). The early Korean army uniform was created by mixing Japanese and American uniform. In particular, the uniform was not regulated, and therefore was confusing during the Korea War. The army uniform began to be established in 1960s, via the transition period right after the war, and was indigenized under the banner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ndependent national defense in 1970s-1990s. The functionality, such as motion, comfort and the camouflage effect was improved for the uniform for battles, while the national identity and authority were emphasized for the uniform for protocol. Multi-functional army uniform has been requir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modification in battlefield environment. The Korean army, therefore, developed a new type of military uniform with digital patterns and improved functionality, by studying it for many years and has distributed it to officers and men since 2011. Moreover, it also has promoted the Warrior Platform Project to cope with the future network battlefields, since 2017.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urroundings have huge effects on some changes in the uniform. The Korean military uniform began to be established under an influence of the American arm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from 1950s to 1960s. Its symbolism and functionality were enhanced, as synthetic fiber was developed and mixed spinning techniques were diversified, from 1970s to 1980s.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color TV made the army formal dress more splendid and the Korean-style nationalism emphasized by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gave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army uniform to escape from the American-style uniform.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future Korean army uniform can be presented: first, the functionality of the uniform for battles, such as the camouflage effect, flexibility, comfort and informative func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the uniform for protocol should include Korean emotions and national identity;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study the symbolism which can reinforce our homogeneity and encourage professional designers to design and produce the army uniform. 군 복장은 전쟁 시 우리의 의지를 적에게 관철시킬 때 차려입는 옷차림새이며, 전투용 복장과 의전용 복장으로 구분된다. 전투용 복장은 정치적?군사적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았다. 초창기 육군은 별도의 복장규정이 없어, 일본 군복과 미 군복을 혼합 착용하였다. 특히 6·25전쟁 기간에는 임시방편으로 육군회보 및 인사지시를 통해 복장 착용규정이 하달되었다. 육군의 전투 복장은 1950년대 과도기를 거쳐 1960~70년대「군인복제」에 따라 정립되기 시작하였으며, 1970~90년대 경제발전과 자주국방의 기치 아래 자주화되었다. 최근 정통신기술의 발달과 전장 환경의 변화로 다기능성 전투 복장이 요구되어졌다. 육군은 2011년부터 기능성을 강화시킨 디지털무늬 전투 복장을 보급하고 있으며, 향후 정보기능성이 강화된 신형 전투 복장을 지급할 예정이다. 의전용 복장은 정치?경제?문화적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았다. 의전용 복장은 1950~60년대 근대화 및 경제발전 과정에서 미국의 영향을 받아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1970~80년대에는 경제발전 속에서 국가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과정에서 의전용의 복장의 상징성과 기능성이 제고되었다. 또한 칼라 TV의 등장으로 육군의 예장(禮裝)이 화려하게 변화하였다. 2000년대 초반부터 육군은 복장의 역사성과 실용성을 강화하기 위해 군 복장체계의 개정을 추진 중이다. 2005년 복제개정안을 국방부에 제출하였으며, 2017년 관리의 편의성, 예산절감, 구성원 간 위화감 완화 등을 위해「군인복제령」의 일부를 개정하여 예장과 정장을 통합하였다. 향후 육군 복장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전투 복장의 내구성과 난연 성능을 강화하여 전투원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하며, 둘째 전투 복장의 정보기능성을 강화하여 미래 전쟁에 대비하여야 한다. 셋째 한국적 정서와 국가정체성이 담긴 의전용 복장을 개발하여 구성원들의 동질감을 유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리의 편의성, 예산절감, 구성원 간 위화감 완화 등을 고려하여 예장과 정장을 통합하여야 한다.

      • KCI등재

        아트 인퓨전이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초점과 사회적 규범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동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2 마케팅논집 Vol.30 No.4

        제품에 아트 이미지를 주입하여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오는 아트 인퓨전 전략은 이제 기업의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아트 인퓨전으로 인한 럭셔리 지각이 오히려 부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불러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의 즐거움과 지불 고통이라는 소비자 인식을 활용하여 아트 인퓨전이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모두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이 소비자들의 자기조절초점과 사회적 규범에 의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아트 이미지가 주입된 제품에 대해 촉진초점의 소비자들은 소비의 즐거움을 더 많이 인식하여 긍정적인 구매의도를 가지게 되었지만, 방어초점의 소비자들은 지불 고통을 더 인식하여 부정적인 구매의도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규범의 역할을 살펴본 실험 2에서는 사회적 규범이 소비자들의 지불 고통에 대한 인식을 줄여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사회적 규범은 아트 인퓨전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켜 소비자들의 구매가능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긍정적 기분과 자기 조절: 정서평가/정서조절 메커니즘과 제품정보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동호,이지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8 No.3

        Research investigating the effect of mood on self-control has generated considerable interest. However, unlike negative moods, the role of positive mood on self-control is ambiguous. In the present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impact of the AE/AR mechanism in positive moods and of product information on self-control. In Study 1,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wo critical factor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an unhealthy food item (beverage): mood and product information. Using a 2 x 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on purchase intension, we found tha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was more positive when cost attributes were not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M = 4.72) than when cost attributes wer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M = 3.55). More importantly, interaction between mood and product information was significant(F = 61.728, df = 1, p < .001). Contrast analysis supported our hypotheses. When cost attributes wer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consumers in the positive mood condition(M = 2.98) had lower purchase intentions toward unhealthy food than did consumers in the neutral mood condition (M = 4.13). However, when cost attributes weren't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consumers in the positive mood condition(M = 5.31) ha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oward unhealthy food than did consumers in the neutral mood condition(M = 3.96). In addition, our results showed that anticipated mood mediated the effect of mood on purchase intentions when cost attributes wer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a = .84, b = -.29, a x b = -.24, 95% CI: -.5424 ∼ -.0263). Path coefficients showed that an AR mechanism of positive mood was activated when cost attributes wer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anticipated mood mediated the effect of mood on purchase intentions when cost attributes were not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a = -1.58, b = -.17, a x b = .26, 95% CI: .0307 ∼ .6656). Path coefficients showed that an AE mechanism was activated when cost attributes were not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In Study 2,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ree critical factors on consumers' WTPs for unhealthy(hamburger) and healthy(salad) foods: mood, food type, and evaluation mode. Using a 2 x 2 x 2 design on WTP, we found differential effects of mood between Joint Evaluation(JE) and Single Evaluation(SE). In the JE condition, interaction between mood and food type was marginally significant(F = 3.453, df = 1, p = .71). For consumers in the neutral mood condition, food type had no impact on their WTPs(unhealthy food: 3975 vs. healthy food: 3820; t = -.308, p > .1). However, consumers in the positive mood condition had higher WTPs for healthy food(M = 5215) than for unhealthy food(M = 4000). In the SE condition, we found main effects for mood. Consumers' WTPs were higher in the positive mood condition(M = 4509.5) than in the neutral mood condition(M = 3807.3; F = 4.141, df = 1, p < .05). More importantly, interaction between mood and food type was significant(F = 4.415, df = 1, p < .05). For consumers in the neutral mood condition, food type had no impact on their WTPs (unhealthy food: 3705 vs. healthy food: 3904.8; t = .407, p > .1). However, consumers in the positive mood condition had higher WTPs for unhealthy food(M = 5138.1) than for healthy food(M = 3881). In Study 3, we investigated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effects of mood and product information on self-control. Specifically, Study 3 showed that the effects of mood and product information on self-control were attenuated in the high cognitive load condition.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ree critical factors on WTP of an unhealthy food(chocolate cake): mood, product information, and cognitive load. Using a 2 x 2 x 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on WTP, we found that consumers' WTPs were more positive when cost attributes were not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M = 515... 사람들의 기분과 자기 조절간의 관계는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온 분야이다. 하지만 자기 조절에 대한 긍정적 기분의 영향을 조사한 기존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서평가(AE)/정서조절(AR) 작동기제와 소비자에게 제시되는 제품정보 유형을 중심으로 긍정적 기분과 자기 조절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험 1의 결과, 긍정적 기분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 제품에 비용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AR이 작동하여 자기 조절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비용 속성 정보가 제시되지 않았을 경우 AE가 작동하여 자기 조절 능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조절에 대한 긍정적 기분의 영향력은 미래의 예상되는 기분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기분을 지닌 소비자들이 미래의 기분을 예상할 경우 자기 조절 능력이 향상됨을 보였다. 기분과 평가모드에 따른 자기 조절의 차이를 살펴본 실험 2에서는 공동평가 상황의 경우 제품정보를 직접 제시하지 않아도 비용 속성 정보를 제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긍정적 기분을 가진 소비자들은 단독평가 상황보다 공동평가 상황에서 자기 조절을 더 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실험 3에서는 소비자들의 인지자원이 고갈될 경우 기분과 제품정보의 유형에 관계없이 자기 조절 능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트 인퓨전 : 소비의 즐거움과 지불 고통에 대한 자아해석과 노스탤지어의 역할을 중심으로

        유동호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2

        제품이나 패키지 디자인에 아트 이미지를 주입하는 아트 인퓨전에 대해 조사한 선행연구들은 럭셔리 지각을 중심으로 아트 인퓨전의 긍정적 효과만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즉, 아트 인퓨전에 의해 발생가능한 부정적 효과에 대한 관심은 부족했으며, 그 결과 기업들에게 제한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트 인퓨전이 소비자들의 소비의 즐거움과 지불 고통이라는 상반된 두 소비 감정을 모두 높일 수 있음을 밝히고, 아트 인퓨전과 소비 감정들 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자아해석과 노스 탤지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의 소비자들은 제품에 아트 이미지가 주입될 경우 소비의 즐거움을 경험하여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구매의도를 가지게 되었지만,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소비자 들은 지불 고통을 경험하여 부정적인 구매의도를 가지게 되었다. 노스탤지어의 역할을 살펴본 실험 2에서는 노스탤지어가 소비자들의 지불 고통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스탤지어는 아트 인퓨전 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비자들의 지불 고통을 완화시켜 아트 인퓨전의 효과를 더 높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마지 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revious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effect of art infusion in inserting art images into product design or package design tended to show only the positive effects of art infusion based on luxury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insufficient interest from previous research on the negative effects that may occur due to art infusion, and as a result, they provided limited implications to compan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at art infusion can make consumers experience all the conflicting emotions related to consumption, pleasure of consumption and spending pain,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infusion and consumption emotions.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roles of self-construal and nostalgia.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an art image is infueed into the product design, consumers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experience the pleasure of consumption and have positive purchase intentions for the product, whereas consumers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experience spendign pain and have negative purchase intentions. And the results of Study 2, which examines the role of nostalgia, showed that nostalgia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spending pain of consumers. In other words, nostalgia played a role in enhancing the effect of art infusion by lowering the spending pain caused by art infusion. Finally, we presen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경기 일부지역 육용 양돈작업장의 분진 및 내독소 농도

        유동호,김형아,허용,성재혁,이한기,박용규 한국산업위생학회 2003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1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xposure to dust and endotoxin produced while working at swine confinement buildings. The dusts and endotoxin may cause adverse health effects on humans. Fourteen swine farms located at Yong-In, I-Cheon and Yeo-Ju of onggi-do were investigated. Husbandry workers form the farms were requested to wear personal sampler to measure respirable dust levels. Area samplings for total and respirable dust were also conducted at swine confinements buildings by season (summer under window open, winter under window close.) Gravimetric analyses and Limulus Amebocyte Lysate assay for measu- rement of dust level and endotoxin, respectively. The highest geometric mean (GM) concentration of airbome dusts was 7.47mg/㎡ for area respirable dust. and 10.35mg/㎡ for personal respirable dust. For respirable dust levels, seven farmers exceeded level of ACGIH, 3mg/㎥. The highest GM of endo- toxin was 5745.40 EU/㎥ for personal respirable dust.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 of total dust (p〈0.001) and endotoxin in area total dust was observe with winter samples compared with those of summer. Area total dust and area respirable dust (r-0.622, p〈0.0001) was very significantly correlated in winter. Swine husbandry worker may have a considerable risk of ill health whenexposed to level of dust or endotoxin demonstrated at this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