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원지영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The development of career knowledge and career attitude in adolescence is significant to achieve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ffects of family income and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experience on changes in career maturity during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The study used data from Youth Panel 2007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data included 456 adolescents who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and third waves of survey and college students in the fifth wave of survey. The results suggested that family incom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experience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while in high school had a sustained and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even after entering college. Therefore, career education in the secondary educational system should expand continuously. 청소년기 진로에 대한 의식 및 태도의 발달은 성인기 진입과 함께 정서․사회․경제적 자립을 성취하는데 주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 변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Youth Panel 2007) 데이터 중 1차시기와 3차시기 고등학생, 5차시기 대학생으로 유형 분류된 456명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생 시기 가구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대학 재학 시기까지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가구 소득이 청소년의 진로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등학생 시기 진로지도 및 상담의 경험이 청소년의 대학 진학 이후까지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중등교육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이 계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및 교사 학습공동체 경험 유무에 따른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 비교

        원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 관련 교사연수 및 교사 학습공동체를 경험한 교사들과 그렇지 않은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을 비교하고 스마트교육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및 학교 수준의 지원 방안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견해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권성호 외 (2012)가 스마트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수업 성찰을 위하여 개발한 <스마트교육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스마트교육의 핵심 특성을 교사들이 학교 수업에서 어느 수준으로 실 천하고 있는지 확인 하였다.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연구 문제를 검증하고 다 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교육 관련 교사연수 경험 유무에 따른 교사의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스마트교육 관련 교사공 동체 경험 유무에 따라 교사의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마트교육 실천을 위하여 현직교사들이 희망하는 국가 및 학교 수준의 지원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연수 및 학습 공동체의 설계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econdary teachers’ smart education teaching practice by their experience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 smart education.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First, does the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art education affect secondary teachers’ practice of smart education? Second, does the experience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affect their practice of smart education? Finally, what are secondary teachers’ needs on the assistance that they like to get from their schools and government for better practice of smart education. The survey was developed using the <Checklist for self-evaluation on teachers’ practice of smart education> and conducted with 322 secondary teachers in the area of Chungcheong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mart education did not affect teachers’ practice of smart education. Second, teachers involved in learning communities for smart education better-implemented smart education compared with teachers who have no experience of learning communities for smart education. Finally, several important teachers’ needs for better practice of smart education were analyzed.

      • KCI등재후보

        사회계층에 따른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 : 부의 학력과 직업·진로교육이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원지영 한국사회적질학회 2020 사회적질연구 Vol.4 No.4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07년부터 수집한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직업·진로 교육 경험이 성인기 초기에 해당하는 청년들의 취업 여부 및 임 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20대 초반에서 중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아버지의 높은 학력은 청년 자녀들의 취업 가능성을 낮추는 반면, 20대 후반에 이르게 되면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청년 자녀의 취업률 격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의 학력은 청년 자녀의 임금 수준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청년 자녀의 임금 수준도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산층 이상에 해당하는 청년들의 경우 부모의 비공식적 지지 하에 취업 시기를 미루고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보다 양질의 일자리를 획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아버지의 학력과 청년 자녀의 임금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자녀가 30대에 진입한 이후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학교유형에 있어서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청년들의 경우 일반 고등학교 졸업자들과 비교하여 취업 시기는 빠르지만 낮은 임금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위치에 놓인 청년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보다 나은 양질의 일 자리로 이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대안 모색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affected the employment status and wages of young people in early adulthood, using the Youth Panel (YP 2007)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ince 200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high educational attainment of fathers lowered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for youth during their early to mid-20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rates by fathers’ education levels became insignificant when they reached the late 20s. In addition,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ffected the wages of young people. For example, the higher the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the higher the wage levels of young peopl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young people of the middle class or above delayed thei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nd invested time in more education and training, relying on parental support. As a result, they later had better jobs than those from lower clas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eir children’s wages was still significant even after the children were in their 30s. In addition,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entered the labor market earlier but showed lower wages compared to those who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who were relatively vulnerable in the labor market and provided clues for finding alternatives to help them transition to quality jobs.

      • KCI등재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서 대학생들이 인식한 실재감의 자기평가 및 팀 평가 예측 검증

        원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ether or not three types of presence: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 self evaluation and team evaluation when university students are engaged in a team-based project learning by using KakaoTalk(One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used in Korea). The subjects were 107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guided to finish a team project by performing a collaborative interaction as a group of 3 or 4 students using KakaoTalk.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k the levels of three presences: social, cognitive, and teaching presence that students perceive while they collaborate through KakaoTalk. Also, students were asked to self-evaluate and team-evaluate their collaborative learning that they preformed through KakaoTalk.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presence predicted self-evaluation. Second,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ed team evalua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tudents perceive high levels of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in order to experience the qualitative team-based project learning through KakaoTalk.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팀 과제를 수행하는 대학생들이 모바일 상에서 형성된 학습공동체의 협업 과정에서 인식한 사회실재감, 인지실재감, 교수실재감이 협력 학습에 대한 자기평가 및 팀 평가를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A 대학교 사범대생 107명을 3~4명으로 구성된 팀으로 나누어 4주 동안 팀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 협력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상호작용 활동을 하면서 팀 과제를 완성하였다. 팀 프로젝트 과제를 끝내고 설문지를 통하여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상호작용 활동을 하는 동안 그들이 사회실재감, 인지실재감, 교수실재감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자기평가와 팀 평가를 실시하여 협력 학습 성과를 평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각 실재감의 자기평가 및 팀 평가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톡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서 자기평가를 예측하는 실재감은 사회실재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평가를 예측하는 실재감은 사회실재감과 교수실재감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카카오톡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 수행에서 양질의 협력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의해야 할 실재감 유형을 파악하고 그러한 실재감의 수준을 높이는 교수 전략을 제언하였다.

      • 사회자본의 측면에서 한국 기독교의 현황과 과제

        원지영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3 교회와 사회복지 Vol.21 No.-

        본 논문은 사회자본의 측면에서 기독교의 기능을 살펴보고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한국 기독교의 긍정적 영향력을 저해하는 요인과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자본을 크게 개인적 사회자본과 집합적 사회자본으로 분류하고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가져오는 집합적 사회자본으로서 기독교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기독교는 정의로운 사회 실현을 위해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돕는 사회행동 기능과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사회봉사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시민문화의 성숙을 통해 전체 사회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그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기독교가 가진 개교회주의, 개인구원중심주의, 수직적 신앙주의는 집합적 사회자본으로서의 기독교의 기능을 저해하고 있으며 복지를 선교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한다는 사회적 불신 또한 폭넓게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한국기독교가 집합적 사회자본으로서 전체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이웃 사랑의 실천을 통해 그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수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study assessed Christian churches as a potential source of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individual vs. collective social capital. Christianity can be a good source of collective social capital that promotes positive social changes and volunteering, and thereby contributes to build a mature civic culture that positively affects all members of the society. However, Christian churches in South Korea have tended to be individualized and overemphasized self salvation and vertical belief. These tendencies prevent Christianity from fulfilling its social responsibility as a source of social capital and increase a public distrust of Christian churches. Therefore, Christian churches of South Korea should make further efforts to fight against social injustice and practice loving our neighbor as ourselves. These efforts w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social trust, and eventually promoting the well-being of all members of society.

      • KCI등재

        자기선물 동기가 공연관람의 인지된 가치 및 자기선물 의향에 미치는 영향

        원지영,정창모,Hyun Sang Shin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5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rt performance market as well as the overall consumption trend. With the proportion of one-person viewers in the form of viewing the performance nearly half, the new term “Hongongjok” is widely used. Representing the trends of ‘one-person consumption’ and ‘consumption for me’ is the concept of ‘self-gift’ that consumes special for myself.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self-gift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 new group of performance viewers who lavishly investing in consumption for one’s sake. It also demonstrated how self-gift motivation affects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tention of self-gif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tivation for reward, therapeutic personal disappointment, and therapeutic negative mood reduction of the self-gif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self-gift through the perceived value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In addition, it was also revealed through the multi-group analysi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lf-gift motivation factors between a single viewer and two or more accompanying view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act that the art performance industry can be provided the first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se customer group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onsumption trend for one-person viewers. It also offer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stagnant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by framing the art performance as a self-gift.

      • KCI등재

        학력과 구직경로가 청년들의 첫 일자리 임금수준과 전공일치에 미치는 영향

        원지영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학력 수준과 학교를 통한 구직 정보 획득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청년 취업에서의 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한국 고용정보원에서 2007년과 2008년에 수집한 청년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그 청년 자녀의 첫 일자리 임금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졸업이라는 학력과 취업 정보 획득을 위한 학교의 공식적‧비공식적 자원 활용이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완전히 소멸시키지는 못하지만 여전히 청년들의 사회진출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대학교 진학은 학력의 측면 뿐 아니라 취업 정보 획득의 기회 면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This study assessed the hypothesis that young people who earned a bachelor's degree and obtained career information from schools would get a job that was highly paid and suit their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family background. The study utilized the data of Youth Panel originally gather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Center. The study found that young people's wages in their first job differed by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young people who earned a bachelor's degree and used a social relationship formed in schools as a source for job information tended to have a better job in terms of salary and education-job match. These positive effects of a bachelor's degree and informational support from schools were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youth's preparation for employment.

      • KCI등재

        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자발적 이직 결정 요인

        원지영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3 사회적질연구 Vol.7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interactions among job satisfaction, job competency and perceptions of the external employment environment affect voluntary job turnover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movement capital including human and social capital was utilized to measure job competency, considering unique conditions of the disabled.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1,437 wage workers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between 2019 and 2021. The result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and movement capital such as family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 skills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workers’turnover behavior. Wage workers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current jobs and had high levels of movement capital were more likely to decide to change their job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ability to build and maintain supportive social relationships can be a key factor of movement capital for disabled wage workers. In addition, the findings propose that interventions focusing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jobs may not solve the problem of frequent job turnover among disabled wage worker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take the approach that experience in the same job contributes to accumulating human capital,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promoting upward mobility of workers.

      • KCI등재

        위키를 활용한 온라인 협동학습 전략이 대학생들의 학습과제 수행 결과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원지영,한승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web 2.0 환경을 새로운 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존의 다양한 교육공학적 연구들의 연속선 위에서, 위키 기반 온라인 협동학습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의 공유가 학습자들의 학습과제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데 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84명의 대학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위키를 활용하여 3주 동안 공동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위키 기반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학생 상호 간의 피드백 제공 전·후 과제 보고서 내용을 평가하여 동료학생 피드백이 학생들의 학습과제 수행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위키를 활용한 협동학습 환경 및 효과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위키 환경에서 학생들이 동료학생들에게 제공한 피드백은 공동과제 수행 결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t=4.48, p<.05), 둘째, 3주 동안 학생들이 위키 내용을 변경한 총 횟수와 최종 과제 평가 결과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r=.549, p<.05). 셋째, 본 연구의 많은 학생들은 위키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동과제를 수행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niversity students perform their group coursework when they utilize wiki as a tool for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is study, eighty-four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hree-week-long group course work activity. As a group, they produced the first draft of the group assignment and with the peer students feedback, they edited their first draft of the assignment and finalized the assignment as a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iki-ba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using the same rubric, the first draft and the finalized one of the group assignment were evaluated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in the wiki-ba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peer feedback on the first draft of the group coursework improved the grade that students got on the finalized group assignment(t=4.48, p<.05). Second, there was a corelation between the quantity of edits on the assignments in wiki and the result of the group coursework performance(r=.549, p<.05). Third, through the students survey results, students showed that they favored the use of wiki for their group coursework because wiki enabled them to work on the assignment together effectively offering valuable feedbacks on each other s ideas. Key Words : wiki,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collective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