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인권의 국제인권법적 고찰 -인권관련 법률의 적용과 분석, 그리고 인권개선을 위한 법률가의 역할-

        원재천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01

        In December 2009,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North Korea) received Universal Periodic Review by UN Human Rights Council. This journal article paper has applied various treaty standards as well as North Korean national laws to examine current human rights practices of North Korea. As it turned out, North Korea is a party to four key human rights treaties and Geneva Conventions of 12 August 1949 and Additional Protocols -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s a treaty party, North Korea has a duty to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nd this paper discusses North Korea’s treaty obligation discrepancies by examine some of the known state practices and transgressions. It has been observed that North Korea has a very rigid sociological and political caste system based on Juche and Kimilsungism. These state ruling ideologies were translated into extreme discriminatory policies and those policies were implemented by means of fear and caused brutal suppression of political prisoners and their families. Many political prisoners and their families have ended up in North Korean Gulag(Political Concentration Camp). This article presented a convincing case that certain practices of North Korean government have met each and every element of particular crimes of Genocide and Crime Against Humanity. Moreover, the article examined status of religious freedom, challenges of protecting North Korean refugees in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issue of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paper further discussed role of human rights advocates and lawyers in improving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by utilizing already available UN protection mechanism. 1990년대 북한의 식량난 이후 생겨난 많은 수의 탈북자들의 증언으로 우리는 북한인권상황을 접하게 되었다. 증언들은 자연 재난의 피해로 발생한 식량부족으로 야기된 북한주민들의 참혹한 삶의 현실을 그대로 전해 주었을 뿐 아니라, 정치, 사회적 가족내력을 기반으로 인도의 카스트제도보다 철저한 신분 차별국가로서의 사회적 폐쇄성과 국가적 이념에서 조금의 일탈도 용납하지 않는 봉건사회 같은 개인 독재 국가의 폐해를 확인해 주었다. 정치범들 가족에 대한 연좌제와 구소련에서 볼 수 있었던 정치범 수용소는 이미 반인륜적 범죄의 수위를 넘고 있지만, 북한은 아직도 국가안보와 체제유지라는 거대 담론으로 이를 정당화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북한의 인권문제는 더 이상 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다. 현 국제사회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한 국가의 인권 유린사례를 더 이상 그 나라의 내부 문제로만 보지 않는다. 21세기를 맞이하여, 과거 체제 경쟁을 통한 한판의 승부수에 연연했던 남북관계도 어느덧 동반 생존 및 발전 그리고 점진적인 협력이라는 성숙한 관계로 발전해 가고 있다. 결국 남한도 북한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사회의 일정한 룰을 적용 받는다. 이는 정의로운 법치 (Rule of Law)를 의미하며, 북한도 시대에 맞게 선진 제도의 도입과 법령제정 및 이행으로 국가의 공권력을 행사하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09년 12월 북한인권상황에 대한 유엔의 정례검토를 계기로 북한의 인권문제를 국제적․보편적인 기준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제도권 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와 부담을 법률가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 KCI등재

        국제규범적인 접근을 통한 남북이산가족문제 해결방안 ― 국제인도법과 국제적십자위원회 활용을 기반으로 ―

        원재천,이수효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서울법학 Vol.23 No.1

        본 연구는 이산가족에 대한 문제를 국제 규범적 접근으로 고찰한 논문이다. 이산가족의 정의와 권리 그리고 국가적 책무를 검토하고 국제인권법적으로 이산가족 현안을 재조명하였다. 또한 국제인도법상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의 지원규정을 중심으로 이들의 국제법적 권리를 탐색했고, 특별히 제네바 협정과 국제적십자위원회로 대표되는 국제기구가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이산가족에 대한 책무와 관할권을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방향을 바탕으로 국제적십자위원회를 통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이산가족문제를 UN 관련 위원회들에게 보내는 청원서(Petition) 등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공론화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특히, 국제적십자위원회의 심인사업 소개와 대표적인 사례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ICRC의 중재와 위탁을 필요성을 강조하고 중앙심인사업본부(Central Tracing Agency)의 활동을 중요성을 논하였다. 또한, 국제사회 및 해외교포 사회와 국내외 대북 인권 및 인도지원 그리고 민간․종교채널과 UN 및 국제인권 구제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이산가족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ddresses North and South Korea’s separated family reunion issues. The paper take a “normative approach” to resolving separated families’ reunion issue. The paper frames the separated family as a human rights issues rather than humanitarian issue. The updated definition and legal rights of separated families in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gal context was examined. The duty and legitimate obligation of states and its breach of duty was discussed. Furthermore, lawful rights of the separated families based on international norms and treaty party obligation was discussed in particular compelling regul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ICRC) was examined. Especially, paper argues for the Fourth Geneva convention(1949), Protocol I additional to the Geneva Conventions(1977) and Resolutions of the XXIV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Red Cross to confirm valid responsibilities and authorized jurisdiction of ICRC as well as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area of separated family. Moreover, practical remedy measurements, mainly UN human rights petitions and activity of ICRC Central Tracing Agency were introduced. Especially, via in-depth analysis of historic cases and introduction of the family tracing business of ICRC, the paper discussed challenge and necessity of officially activating arbitration and engagement from ICRC’s Central Tracing Agency for Korean situation. Furthermore, the paper call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promoting the rights of Korean separated family by actively utilizing oversee Korean society, and utilizing domestic and foreign North Korea human rights NGOs and humanitarian assistance networks as well as private, religion channel, U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 Lastly, Governmental-academic-civil societies collaboration must be formed in order for effectively advocating for rights of separated families as international human rights issues of concern rather than a local Korean humanitarian issue.

      • KCI등재
      • KCI등재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 이행보고서에 나타난 북한여성인권

        원재천,박소영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江原法學 Vol.61 No.-

        North Korea became a state party to the U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CEDAW) on February, 2001. In 2016, North Korea submitted the 2nd, 3rd, and 4th state party’s combined to the UN CEDAW Committee. The CEDAW Committee reviewed North Korea and issued the concluding observation on 2017. The UN CEDAW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reaties since it is a representative treaty on the human rights of women. The CEDAW not only has demanded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in women’s rights and women’s lives, but also has concrete details that specify the areas wher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as persisted, and needed to be improv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integrated reports submitted by North Korea to the U.N. Committee of CEDAW, this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CEDAW has comprehensively reviewed current situation of women’s rights in North Korea, the committee overlooked essential factors that undermined the overall status of Human Rights of Women in North Korea. The factors include authoritarianism and patriarchy for the construction of a socialist state, which North Korea has long adher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first strategies and human rights, and Songbun Socio-Political Caste System. As a party to the U.N. CEDAW, this uniqueness, which hinders North Korea from complying with the convention, should not be condoned or exempted in implementing universal human rights standards because North Korea has the legal duty and obligation to mak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efforts to guarantee women’s rights. The U.N. Committee should continued to recommend that as a state party, North Kore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disseminating and educating the content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Women’s Discrimination and laws related to women’s human rights among women, so that North Korean women themselves can develop an awareness of their rights and able to take an initiative to abolish discriminatory practice in North Korea in order to bring about meaningful improvement of women’s status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standards. 북한은 2001년 2월 여성차별철폐협약의 당사국이 되었다. 이후 북한은 2002년부터 2015년까지의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이행 사항을 다룬 제2ㆍ3ㆍ4차 통합보고서를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2016년에 제출하였으며 그 다음해에 위원회를 통해 검토 및 최종견해를 받았다.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은 여성인권에 대한 대표적인 조약으로 여성인권과 여성의 삶 전반에서 차별철폐를 요구하는 포괄성을 가질 뿐 만 아니라 여성에 대한 차별이 지속되어 온 분야를 구체적으로 적시했다는 점에서 다른 조약과 구별 된다. 본 연구에서 북한이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제출한 제2ㆍ3ㆍ4차 통합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여성차별철폐협약이 북한여성인권의 현 상황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북한 여성인권 상황이 열악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 요인들을 간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요인으로는 북한이 오랫동안 고수해오던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위한 권위주의와 가부장주의, 주체형 선군전략과 인권의 관계, 국가차원의 성분별 차별시스템이라는 특수성이 해당된다.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의 가입한 당사국으로써 북한은 여성인권 보장을 위해 제도적, 실천적 노력을 해야 하는 책무가 있으므로 협약을 준수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특수성은 보편적 인권실행에 있어서 타협하거나 면제할 부분이 아니다.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북한 당사국이 유엔여성 차별철폐협약의 내용 및 여성인권 관련법제를 개선 및 교육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지도록 권고함으로써 북한 여성 스스로가 차별철폐의지를 갖고 보편적 인권 및 법적 지위 향상을 위한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난민협약상 난민 인정을 위한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의 요건과 아동 중심관점의 기준 -미동반 아동 난민신청자를 중심으로-

        박소영,원재천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법학논고 Vol.- No.80

        Half of the world's refugees are children, and the number of unaccompanied children is increasing. Recognizing that unaccompanied children are most vulnerable and face particular risk of persecution, it has been agreed among the State Parties to the Refugee Convention that children have independent legal standing as refugee petitioners in refugee proceedings and calls for comprehensive and child-friendly refugee determinant consideration. As a refugee petitioner, an unaccompanied child has the burden of meeting the standard of the requirement of 'well-founded fear,' according to the Refugee Convention. The 'well-founded fear' requirement has traditionally been employing the dual approach in proving the case by objective risk and subjective apprehension tests. This article makes a case that the subjective testimonies of unaccompanied children seeking asylum should be mitigated or waived due to a child’s lack of capacity. The article introduces the child-centered perspective needed in evaluating the completeness and consistency of testimonies. The child-centered perspective utilizes and prioritizes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principle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n demonstrating the 'well-founded fear' requirement in the Convention. Accordingly, if the testimony of an unaccompanied child is inconsistent or incoherent, proof of the requirement of 'well-founded fear' should reflect the principle of 'benefit of the doubt’ on behalf of the child’s petitioner in compliance with the UNHCR Handbook. In general, the responsibility and duty to collect material information regarding well-founded fear requirements is co-shared share with the examiner and the refugee applicant. In the case of an unaccompanied child applicant, the examiner bears the further burden to ascertain relevant objective facts regarding the clear risk to the unaccompanied child. Since unaccompanied children may lack sufficient knowledge regarding persecution in their country of origin, the examiner needs to obtain available up-to-date information on the unaccompanied child's country of origin. The maturity, emotional and cognitive abilities, psychological state,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must also be taken into account i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claim of “well-founded fear“. In short, the child-centered approach in proving the “well-founded fear” requirement would further ensure unaccompanied children refugee applicants realize international legal protection rights following the Humanitarian principle and the Refugee Convention 전 세계 난민의 절반이 아동이며, 보호자가 없는 미동반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미동반 아동이 가장 취약하고 특히 박해의 위험에 직면해 있음을 인식하고, 난민협약 당사국들은 아동이 난민 절차에서 난민 청원자로서 독립적인 법적 지위를 갖는다는 데 동의하고 포괄적이고 아동 친화적인 난민인정절차를 고려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미동반 아동이 난민신청 주체일 경우 성인과 마찬가지로 난민정의의 핵심인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의 요건을 증명해야 한다.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요건은 전통적으로 객관적 위험과 주관적 인식을 포함한 엄격한 이중적 접근으로 해석되었다. 본 논문은 미동반 아동 난민신청자의 경우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 요건의 이중적 엄격성을 완화하고 증언의 완전성과 일관성평가에 있어서 아동중심의 관점을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논하였다. 아동중심의 관점은 협약상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요건을 증명하는 데 있어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아동 최선의 이익’ (best interests of child)원칙을 준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동반 아동의 증언이 일관적이지 못한 경우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 요건의 증명은 객관적인 위험 기준을 토대로 아동에게 ‘유리한 해석에 의한 이익’(benefit of the doubt)의 원칙을 반영하여 난민결정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제난민법상 일반적으로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요건을 충족하는 관련정보를 수집할 책임은 난민신청자와 심사관이 공유하고 있다. 미동반 아동 난민신청자의 경우, 심사관에게 미동반 아동이 처할 특정박해와 관련한 객관적 정보를 수집할 의무가 더 부여된다. 또한 미동반 아동은 자신의 국적국에서 발생하는 박해상황과 인권실태에 대한 지식이 부재할 수 있으므로 심사관은 미동반 아동의 국적국과 관련한 최신정보를 획득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요건의 증명과 관련하여 심사관의 의무는 객관적 증거의 수집 차원을 넘어 아동 최선의 이익을 반영하는 것이다. 미동반 아동은 협약의 근거에 해당하는 피해 위험의 본성을 식별하고 설명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변호사 및 후견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는 반드시 부여되어야 하며 심리상담적 개입의 전문성을 지닌 정신과 의사, 사회복지사, 심리사, 통역사와 및 기타 전문가와 의견을 폭넓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요건을 증명하는 데는 미동반 아동의 성숙도, 감정적 및 인지적 능력, 심리상태, 개별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는 아동중심의 관점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궁극적으로 아동중심의 관점을 반영하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 공포요건’의 적용은 미동반 아동이 박해의 위험이 있는 국가로 강제송환 되지 않고 인도주의 원칙과 난민협약을 통한 국제법적 보호를 현실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