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王码查字法的研究和应用 《汉字有序论》 : 为汉字建立“可读性数码序列”

        王永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국제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In 1926, Mr Hu Shi, who had a thorough knowledge of both western and Chinese learning and was awarded 26 PhD titles, said that arranging Chinese characters is the most difficult thing,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to be done. Firstly, classifying and ordering Chinese characters … … the sequence of Chinese characters is the basis of all kinds of indexes. The difficulties mentioned above arise from the fact that Chinesecharacters are unordered. Neither of precedent nor present methods that trying to order Chinese characters by radical, Pinyin, number or stroke, cannot make the breakthrough. One of the core technology of numerical Wangma ‘first and remaining radical’ coding method, could digitalize the Chinese character graph in one step. It is not only an easy-learning input method, but also an easy-learning ordering method featuring good uniqueness. This technology makes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compatible with dictionary lookup method, and gives Chinese characters a ‘readable numeric sequence’. This is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sequence’.

      • KCI우수등재

        이주민 사회통합 과정의 갈등관리 사례 분석:2021년 아프간 난민 국내 수용 과정에서 탈안보화(desecuritization) 메커니즘 발현의 ‘인과적 과정추적 분석’

        왕영민,서종근,이명석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4

        Using causal process tracing methods, argument analysis, and competing hypotheses analysis (ACH), this study examines the mechanisms of “de-securitization” of security concerns that occurred during the in-country hosting of Special Contributors in Afghanistan in 2021.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cue and entry,” “community acceptance,” “stay and resettlement support,” and “social reac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discourses. The sentiments associated with the main discourses in the case were positive at the beginning of the special contributors’ arrival in the country, but negative sentiments began to emerge as the discussion of the case became linked to Muslim culture. Second, there was not enough evidence to collectively substantiate the proposition of politicization as a precursor to securitization. Third, we found that the processual mechanisms of “immediate acceptance of the issue into the government's policy agenda” and “audience support for the government's early response” allowed the issue of social conflict caused by the influx of migrants into the country to no longer be perceived as an existential threat by the public, and thus allowed for an early transition to the “de-securitization” stage.

      • KCI우수등재

        미디어에 의한 공공부문 부패 심각성 인식의 강화 효과: 실험조사 방법을 활용한 미디어 효과의 실증

        왕영민,박준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3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and quantify the magnitude of the “media effect” on perceptions of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much the echo-chamber of media framing and discourse actually changes people’s perceptions of corruption. To this purpose, we designed an experimental survey study using a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to demonstrate changes in perceived severity of corruption among respondents, who viewed either normal or sensational corruption-related media materials. We also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hat were susceptible to the media effect; i.e., those whose perceived corruption severity was “increased” to a great extent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rruption percep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tested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in corruption severity percep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found that the average response to the pre-question (Q11)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3.574 (out of 5), and the average response to the same question (Q40)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4.660, a very large increase of about 1.085 points, confirming that media exposure has a clear effect on the respondents’ corruption severity perception process. Second, we checked the difference in the change in the subjects’ perception of the severity of corrup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experimental stimulus (i.e., the normal type of material [newspaper articles] and the sensational type of media material [so-called “Tabloid Tales”]), and found that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he group exposed to normal news articles (average increase of 1.217 poi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exposed to sensational material (average increase of 0.954 point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rd, we find that the groups with a higher percentage of respondents with a greater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the severity of public corruption (an increase of more than 2.0)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are those who perceived that the level of punishment for corruption criminals in the public sector was insufficient and those who have a lower level of trust in the traditional media.

      • 미디어에 의한 정부부문 부패 심각성 인식의 강화 효과 연구 : 실험조사 방법을 활용한 미디어 효과의 실증

        왕영민,박준 한국행정학회 202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2

        본 연구는 미디어에 의한 프레임이나 담론의 반향실(反響室: echo-chamber)이 실제로 사람들의 부패 인식을 ‘얼마나’ 변화시키는지에 관한 질문을 바탕으로, 부패 심각성 인식에 미치는 ‘미디어 효과’의 크기를 양화하여 실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부패와 관련된 일반적 형태 또는 자극적 형태의 미디어 자료에 노출된 응답자들에게 작동하는 부패 심각성 인식의 변화를 실증하기 위한 ‘통제집단 사후 조사 설계(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방식을 응용한 실험 조사 연구를 설계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디어 효과가 나타난 집단, 즉 실험 처치 후 부패 심각성 인식이 ‘높아진’ 집단에서 보이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접변수들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패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실험 처치 전후의 부패 심각성 인식변화 차이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사전질문(Q11)에 대한 응답값 평균이 3.574점(5점 만점 중)에서 실험 처치 이후 동일한 질문(Q40)에 대한 응답값 평균이 4.660점으로 약 1.085점 증가하여 매우 큰 폭의 증가 수준을 보여,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이 응답자들의 부패 심각성 인식과정에 분명한 반응을 촉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험 자극의 유형(즉 일반적 형태의 자료(신문기사) 및 자극적 형태의 미디어 자료(소위 ‘찌라시’))에 따라 피험자들의 부패 심각성 인식 변화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반적인 뉴스기사에 노출된 집단의 인식변화량(평균 1.217점 증가)이 자극적인 자료에 노출된 집단의 인식변화량(평균 0.954점 증가)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라고 여겨지는 전통적인 미디어에 노출되는 경우의 심각성 인식의 증가 폭이 더 큰 것은 오늘날 부패 담론의 생산 및 유통 경로가 양적으로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언론매체와 이들이 생산하는 뉴스들에 더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실험 처치 이후 공공부문 부정부패 심각성 인식의 변화 폭이 큰(2 이상 증가) 응답자 비율이 더 큰 집단은, ‘부정부패에 대한 처벌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는 집단과 ‘전통적인 미디어에 대한 신뢰 수준’이 낮은 집단임을 확인했다. 공공 부패의 심각성 인식 과정에서 작동하는 ‘미디어 효과’는 미디어에 대한 낮은 신뢰와 사회의 불공정성 인식을 통해 매개되어 강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특히, 전통적인 미디어를 신뢰하지 않고, 부패에 대한 처벌이 미흡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부정부패 심각성 인식이 그들이 노출된 미디어 정보에 의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은, 공공부패 심각성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부패범죄 처벌 강화 및 미디어 신뢰성 강화를 지향하는 정책적 개입을 통해 반부패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사회 전반의 공정성 인식 수준을 제고할 수 있다는 기대를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입시상담 챗봇 설계와 챗봇을 활용한 입시상담 업무 간소화의 효용성 분석

        왕영민,오동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9

        Intelligent service using data is to create new value through IT technology. If a service called a chatbot is introduced to simple and repetitive tasks such as college entrance exam counseling,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questions 24 hours a day, and to provide sophisticated and prompt answers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service. In this paper, the frequently asked questions are listed by analyzing the questions generat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counseling, and the chatbot, an intelligent service, is introduced through the consultation of the related parties. This is a research paper on how the number of questions on bulletin boards and consulting work have changed efficiently by introducing chatbot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hatbot,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take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consultation board was reduced and the number of questions on the board was reduced. It was confirmed that if intelligent services are introduced to public institutions in the futur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ransparency can be provided to public institutions. 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서비스는 IT 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일이다. 대학교 입시상담과 같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들에 챗봇이라는 서비스를 도입하게 된다면 질문에 대한 24시간 대응할 수 있고 서비스의 수정과 보완을 통하여 정교하고 신속한 답변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입시상담에서 생성되는 질문들을 분석하여 자주 묻는 질문들을 목록화하였고 상담 관련된 관계자들의 자문을 통하여 지능형 서비스인 챗봇을 도입하여 실제 수험생들이 베타테스트를 통하여 시범 운용을 하고 가능성을 확인한 후 실제 챗봇을 도입하여 게시판의 질문 횟수와 상담 업무가 어떻게 효율적으로 변화되었는지 연구한 논문이다. 챗봇 도입 후 입시상담 게시판에 걸리는 시간을 줄였고 게시판의 질문 횟수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에 지능형 서비스가 공공기관에 도입된다면 업무 효율성 향상과 공공기관에 투명성을 제공해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경향 분석

        김영준,왕영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conduct meta-analysis on 605 published papers in the field of socio-nuclear studies from 1957 to 2016 in Korea through network analysis of author-provided keywords. The findings lead to several straightforward conclusions. First, socio-nuclear studies including policy research have mostly been conducted by universities, while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led by public organizations. Second, it is apparent that the Fukushima accident has provoked major engagement among social scientists in nuclear issues as the remarkable growth of the knowledge network after 2011 signify. Third, the research topics have been diversified as a result of growing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Finally, there is between sub communities in the socio-nuclear knowledge network in terms of network properties. This article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future researchers with a wealth of inform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socio-nuclear studies. For policy makers, this meta-analysis is likely to provide guidance on what we need and do not need.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socio-nuclear knowledge network in Korea is well-structured or not. provide an impetus for comparative studies with overseas cases in order to evaluate the network and its soundness.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이론을 통해 원자력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의 경향적 특징을 파악하고, 동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와 세부 연구분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195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분야 연구논문 605건으로, 저자가 제시한 키워드 간 관계망 형성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원자력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는 1957년부터 시작되어 꾸준히 수행되다가 2011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으며, 주로 법학, 행정학, 정책학, 정치학 분야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지식 네트워크 구성결과 국내 원자력에 관한 사회과학 지식 네트워크는 무척도 네트워크로, 연결중심성이 높은 소수의 연구주제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확대되어 왔다. 한편,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 ‘탈핵’, ‘독일’ 등의 키워드가 부상하면서 새로운 연구주제들이 부상했다. 셋째, 지식 네트워트의 세부 연구분야 도출결과, 밀도가 가장 높은 법학 관련 연구주제들은 상호간 연계되어 독립적 연구분야로 자리매김해왔으며, 핵안보 분야는 북핵문제를 중심으로 양자간 혹은 지역 내 문제를, 핵비확산 분야는 주로 국제 제도적 차원의 연구주제들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과학계량학적 차원에서 문헌정보를 기반한 네트워크 분석틀을 특정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거시적 차원의 연구경향 특징을 실증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원자력을 바라보는 대중의 시선이 아닌 학자들의 인식을 그들의 연구성과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