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오혜림,이주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Using data from 604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were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coping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conflict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can be moderating in the effect of parental confli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s not moderated by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moderated mediating effe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부부갈등이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와 부모-자녀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이 지각한부부갈등, 스트레스 대처방식, 내면화 문제행동,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6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시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부부갈등과 부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내면화 문제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부정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부부갈등이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조절된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부갈등을 지각할 때 청소년의 내면화 문제행동의 보호요인으로 청소년의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과학영재 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한 진로관리 역량에 관한 탐색 연구

        오혜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5

        The nationwide Career Competency scale is developed to evaluate competencies in terms of career man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t is design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Relatively, few studies have examined factor structures of the scale using samples of gifted students. The current study explores gifted students’ perceived career management competencies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requir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data of 250 students of Science High School and Academy for Gifted Education. The Career Competency scale of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 II survey was tested for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Discriminative and Convergent validity). The results indicated a high level of Cronbach’s alpha, and the analysis of the three-factor-model (Understanding Occupation,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lan and Preparation) resulted in good model fit.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upport discriminative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Understanding Occupation and Career Explor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ir perceived career management competencies are high. The level of perceptions in their second year of highschool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level of perceptions in their third year of high-school.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STEM subjects. 전국 고등학생들의 역량을 진로관리 차원에서 평가하고, 학교 진로교육의 성과를 측정하는데 진로개발역량 척도가활용되어 왔지만, 과학영재의 진로역량 내적 구조에 기초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 차원에서 요구되는 과학영재의 진로개발역량 개념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과학영재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관리 역량구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한국교육고용패널II 조사의 진로관리 역량 문항에 대해 과학고등학교와 영재학교 학생 250명의 답변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신뢰도 분석과 구인타당도 분석 결과,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와 준비도’로 구성된 하위요인 간 내적 합치도 지수가 높았으며, 진로관리 역량 모형에 대한 측정모형의 합치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이해와 진로탐색 요인의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성은 낮았다. 과학영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관리 역량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인식 수준은 고등학교 3년 차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고등학교 시기 과학영재의 진로관리 역량지도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과업 관여도가 다른 네 코너 어휘차트 활동이 초등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오혜림,홍선호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9 초등영어교육 Vol.25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our Corners Vocabulary Chart activities with different task-induced involvement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elementary English. The Four Corners Vocabulary Chart is a personal dictionary which has the target word written on the front, with four different things on the back. Sixty six learners of forth grade-level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learned vocabulary using the Four Corners Vocabulary Chart activities with different task-induced involvement, while the controlled group learned vocabulary implicitly using text books. The data included vocabulary knowledge tests, surveys and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ere are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1) The Four Corners Vocabulary Chart activities had effect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elementary English; (2) The activities with high task-induced involvement were more effective in the acquisition of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3)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better interest and confidence on vocabulary learning; (4) Learners with high and middle leve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aspect of vocabulary knowledge. In addition, learners’ affective respons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bility levels. This study provides teacher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the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method in EFL context.

      • KCI등재

        마이데이터 사업 참여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오혜림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4

        최근 기업의 빅데이터 전략은 여러 기업·기관의 정보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개인데이터를 결합·분석하여 개별고객의 상황과 소비수요를 예측하고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과 상품을 제공하는 초개인화에 기반한 비즈니스모델로 진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방대한 개인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이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중요해짐과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 규제 및 활용 정책이 데이터 관련 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과 같은 개인데이터 개방·활용 정책은 기업의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혁신을 가능하게 하여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반면, 기업간 경쟁을 심화시켜 기업의 가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거나 부정적일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사건연구(event study) 방법론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거래소 및 코스닥에상장된 기업들의 마이데이터 사업자 선정 발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이데이터 사업 참여로 인해 사건 공시 당일 기업가치가 시가총액 기준으로 평균 171억원 (주가 수익률기준으로 평균 0.54%)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자자들은 40건의 마이데이터 사업자 허가 공시 중 약 26건(65%)에 대해 마이데이터 사업자 선정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전환으로 급변하는 산업구조에서 데이터 개방·활용 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공헌과 기업의데이터 관련 투자의사 결정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