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련결사 보현도량의 의미에 관한 고찰

        오지연(Oh, ji-ye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백련결사와 정혜결사는 한국불교사에서 대표적인 두 결사이다. 정혜결사의 뜻은 간화(看話)의 선맥을 통해서 지금까지도 계승되어 오고 있지만, 법화예참도량이었던 백련결사의 취지는 오늘날 찾아보기가 힘들다. 원묘의 비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보현도량을 열어서 널리 선관[禪]과 송경[誦]을 행하도록 권한 것은 처음이었다고 한다. 백련사의 보현도량은 근본적으로 법화 일불승(一佛乘)의 뜻을 천명하며 그것을 실현하고자 한 도량이었다. 그것을 네 측면으로 말하면, 삼승의 가르침들을 묘법(妙法)으로 회통해내는 교일(敎一), 송경(誦經)과 선정 등의 여러 수행법들이 모두 한결같이 성불도(成佛道)라고 하는 행일(行一), 모든 사람이 신분차이나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모두 부처와 다름없다고 인식하는 인일(人一), 사(事)법과 이(理)법이 둘이 아니라고 깨닫는 이일(理一) 등의 네 가지 일승[四一]을 그대로 실현하고자 한 도량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re have been two famous and important Buddhist practice communities in Korean dynasties, one was the practice community of the Meditation and wisdom (定慧結社) by Ji-nul (知訥), the other was the practice community of White Lotus (白蓮結社) by Yo-sae (了世). Even if the point of the former still exists through Koan meditation, the purpose of the latter which was the gathering of the repentance method of the Lotus Samadhi would be hard to find these days. The epitaph of Yo-sae, the first president of the community of White Lotus, says: ‘It was the first time to recommend dhyāna-contemplation (禪觀) and reciting sūtras (誦經) to the public through opening the practicing site of Samantabhadra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In essence, the community of White Lotus was the meeting to clarify and actualize the essential of the One Vehicle in Lotus sutra. Again in four aspects, the four ones [四一]: the first, to unite the three other teachings in one subtle dharma is called ‘the teaching of one vehicle (敎一)’, the second, including many other practices like recitation or meditation are one and the same way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called ‘the sole Buddha procedure (行一)’, the third, the thinking that everybody regardless of sex, age or class is none other than Buddha is called ‘men all and only as Buddha (人一)’, the fourth, the understanding that Noumenon and phenomena are non-dual is called ‘one ultimate truth of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理一)’.

      • KCI등재

        오가피장척탕을 사용하여 급성 운동 축색돌기 신경병증으로 진단받은 태양인 호전 1례

        오지연,김원영,임은철,Oh, Ji-Yeon,Kim, Won-Young,Lim, Eun-Chul 사상체질의학회 2021 사상체질의학회지 Vol.33 No.3

        Objectives This case report is about a Taeyangin patient with Acute Motor Axonal Neuropathy identified as Hae-Yeok pattern using Ogapijangchuk-tang. In this study, we repor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lower extremity weakness and pain of this patient afte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Methods The patient was identified as Taeyangin Hae-Yeok pattern and treated with Ogapijangchuk-tang. Guillain-Barre Syndrome disability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patient. The Numeral Rating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change of lower extremity pain. Also the change of lower extremity weakness was measured by patient's expression and graded by Manual Muscle Test. Result and Conclusion After treatment with Ogapijangchuk-tang, patient's symptoms were improved. And there was not any side eff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an be effective treatment for Taeyangin patient with Acute Motor Axonal Neuropathy.

      • 천태 지의와 원효의 만남 ― 일심삼관(一心三觀)을 중심으로 ―

        오지연 ( Oh Ji-yeon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7 불교 철학 Vol.1 No.-

        천태 지의와 원효는 각각 중국과 한국의 불교를 대표하는 큰 성인이다. 천태 지의보다 80여년 후에 활동한 원효에게는 천태가 접하지 못하였던 유식과 여래장사상 등 사상사적 보완이 있었으나, 불교에 대한 근본적 관점은 법화일승(法華一乘)의 측면에서 일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불경전체에 대한 이해인 교판(敎判), 일승도(一乘道)의 실천론에서 상통하고 있다. 천태는 일찍이 『보살본업영락경』에 설해진 삼관(三觀)에 주목하여, 일심삼관(一心三觀)이라는 원돈(圓頓)의 실천문을 확립하였다. 원효도 『금강삼매경론』에서 삼관설(三觀說)에 의거하여, 자리(自利)의 관행(觀行)을 넘어선 이타(利他)의 교화행으로서 일심삼관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금강삼매경론『에서는 일심삼관을 행하는 주체가 십회향(十回向) 이후의 보살로 국한되며, 중생교화행으로 설해진 일심삼관과 그 이전에 행하는[內行] 이관(理觀)이 분리되어 서로 회통되는 지점을 찾기 어렵다. 천태의 경우는 별교(別敎)의 계위인 십신(十信)이상의 모든 보살이 (次第 또는 一心의) 삼관을 행하며, 특히 원교의 일심삼관에서는 십승관법(十乘觀法) 중 관부사의경(觀不思議境)-기자비심(起慈悲心)-교안지관(巧安止觀)의 3법이 불가분이므로 관행과 교화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천태는 주로 불교의 법사, 선사, 외도에게 올바른 불도(佛道)를 제시하며 그들을 경책하기 위하여 실천법을 설했다면, 원효는 불교도[內道]나 외도의 선근은 모두 한결같이 무상보리에 이른다고 하여 외도까지도 일승도(一乘道)에 포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Tiantai Chih-i and Wonhyo are the greatest masters of Buddhism i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Wonhyo, who was active after 80 years than Tiantai, studied more 唯識 and 如來藏 philosophy, which Tiantai couldn't have connected. Nonetheless, their fundamental views on Buddhism are consistent in the respect of Ekayana of Lotus sutra(法華一乘). Tiantai early had taken note of three-insights(三觀) thought in Beads necklace Sutra(瓔珞經), so he said the three-insights in one-mind(一心三觀) which represents of complete and immediate Samatha-vipasyana(圓頓止觀) practice system. In The commentary of Vajra-samadhi Sutra(金剛三昧經論), Wonhyo also told the three-insights in one-mind(一心三觀) as a altruistic behavior(利他行) beyond a self-profit practice(自利行), based on three-insights thought(三觀 說) in Beads necklace Sutra(瓔珞經) like Chih-i. But in his saying, the people who practice it are restricted to bodhisattva above ten-parinamana(十回向). Moreover the three-insights in one-mind as a altruistic behavior and inner practice performing before it are sequential, not simultaneous. By comparison in the case of Tiantai, all the bodhisattva above ten-faith(十信), who are in the different-teaching(別敎) of Four-teaching(四 敎) in Tiantai, can do three-insights(三觀)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in one mind. Especially in the three-insights in one-mind in the complete-teaching(圓敎), inner insight practice and altruistic behavior are achiev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중국 종파불교에 나타난 미륵신앙의 수용

        오지연(Oh, Ji-Y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0

        미륵신앙은 도솔천 왕생을 기원하는 미륵상생신앙과 미륵의 용화세계를 염원하는 하생신앙을 말한다. 경전으로는 주로 미륵삼부경에 의거하며, 불교의 종파로는 유식학파 계열의 법상종과 관련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불교 미륵사상의 전개에 있어서 여러 종파들에서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미륵불에 관한 교설은 초기 경전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석가모니불 당시부터 설해져왔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중국에 와서 여러 종파가 형성되었으나, 미륵신앙은 실제로 법상종뿐 아니라 어느 종파에서나 다 행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즉 미륵불은 석존이 정법을 부촉한 미래불이므로, 종파와 상관없이, 모든 불교대중들이 자연스럽게 당래불인 미륵불을 신앙해 온 것이다. 중국 미륵신앙의 전개 가운데 큰 하나의 줄기는 『법화경』 신앙과의 결합이다. 기존에 미륵신앙은 주로 유식을 종지로 하는 법상종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그 이전에 『법화경』의 번역과 동시에 일찍부터 행해진 법화신행 가운데 미륵신앙이 융합된 형태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보현보살권발품」에서 ‘『법화경』을 받아 지녀 독송하고 그 뜻을 이해한다면, 그는 목숨이 다할 때 도솔천의 미륵보살이 계신 곳에 태어날 것이다.’라고 설한 것에 의거하여, 법화행자들은 미륵보살의 도솔천에 상생하기를 기원해 왔다. 선종에서도, 전법과정에서 가사를 전하는 전통[付法傳衣]이 궁극적으로는 석존이 마하가섭에게 가사를 전하며 그것을 미래의 미륵불에게 반드시 전하도록 부촉한 뜻에 근거하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여타의 종파들이 침체하였던 당말오대에는 포대화상이라는 선사가 미륵불의 화신으로 존경받았던 것이, 현재까지도 중국에서 신앙되어져 오고 있다. 천태종에서 가장 강력한 미륵신앙을 보였던 것은 천태지의의 스승인 남악혜사인데, 『입서원문』에는 말법시대에 대한 자각과 미륵신앙이 잘 나타나 있다. 천태지의는 석성사의 미륵대불상 앞에서 입적하며, 의발을 나누어 미륵불에게 공양하였다. 그로부터 문도들은 스승이 미륵의 도솔천궁에 나셨을 것으로 믿게 되었으며, 그에 의거한 미륵신앙의 모습이 보인다. 특히 좌계현랑의 제자이자 천태종 제9조인 형계담연은 선종에서 인도로부터 온 달마대사를 초조로 삼는 것에 상대하여, 미륵의 화신으로 회자되던 부대사를 천태종의 증명법사로 내세웠다. 그리하여 석존의 정법이 미륵의 화신인 부대사를 통하여 천태종까지 면면히 계승되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of various Buddhist sects in the development of the Maitreya faith in China. Specifically, I will focus on the role of the Maitreya faith among the followers of Lotus-sutra and the Tiantai sect. The lessons of Maitreya had been preached from early Buddhism, so the Maitreya faith exists in all Buddhist sects in China, not just in East Asian Yogacara. The early faith of Lotus-sutra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aitreya faith in China. There is the saying in the 28th chapter of Lotus sutra: “If you always read and site this sutra and furthermore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utra, you will certainly be born in Tusita where the Maitreya lives after death.” Based on this saying, the followers of Lotus-sutra wished to be born in Tusita-deva where the Maitreya lives. This is the religious style that appears with the introduction of Lotus-sutra in China, far ahead of the uprising of East Asian Yogacara. In the Tiantai sect which is based on the Lotus sutra, Huisi慧思 who was the teacher of Zhi-i had very strong faith in Maitreya. However, this cannot be asserted because the annotations of Maitreya-sutra by Zhi-i are not transmitted now. Nevertheless, he died in front of the Maitreya statue in Shichengsi, and since then his disciples believe that their teacher Zhi-i was born in Tusita of the Maitreya. On the basis, Maitreya faith of Tusita-born had come down with Lotus faith in Tiantai. Specially, Zhanran 湛然, the 9th master in Tiantai, had attempted to connect Fudashi, who had been called an incarnation of Maitreya in China and was an ancestor of his teacher Xuanlang to Tiantai, to deal with the Zen sects Bodhidharma.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오지연 ( Oh Ji Yeon ),박지선 ( Park Ji Sun ),박일우 ( Park Il W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자료의 종류와 그 역할, 사회-기호학적 특징을 알아보고, 향후 교과서 개발 및 개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3∼6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교과서 분석 결과에 대해 학생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자료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1차적 시각자료가 도표와 같은 2차적 시각자료에 비해 그 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만화의 비율이 2007년 개정 과학 교과서에 비해 증가하였다. 둘째, 시각자료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시각자료가 예시적 또는 설명·보충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5, 6학년의 장식적 역할의 시각 자료의 비율이 2007년 개정 과학 교과서에 비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시각자료의 사회-기호학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대부분의 시각자료가 학생과의 인식론적 거리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면과의 구분에 따른 분석 결과만 예외적으로 인식론적 거리감이 먼 유형의 시각자료가 많이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roles, and socio-semiotic features of the visual material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g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or revising the textbooks. To investigate the types, roles, and socio-semiotic features,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r the first semester cour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 of textbook analysis, student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how the features of visual materials in the textbook affect student lear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primary visual materials such as photographs or pictures has a higher than that of second visual materials such as diagrams.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cartoons was increased compared to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result that analyzed the role of visual materials showed that most of visual materials has either an exemplary or complementary role. The visual materials that has a decorative role has increased compared to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result of analysis in socio-semiotic features showed that most of visual materials presented in the textbooks has less epistemological isolation between readers and images. However, the proportion of the visual materials that has no background is higher than that of the visual materials that has its own background. The visual material that has no background has strong tendency in epistemological isol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미술교육프로그램 분석연구

        오지연 ( Ji Yeon Oh ),남상문 ( Sang Moon N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문화예술활동을 구성주의 교육관과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효과요인에 초점을 맞춰 학습과정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청소년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 활동 중 문화예술영역의 청소년 수련활동 인증제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운영하였다. 운영 이후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및 목표분석에서의 학습자들은 미술감상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기 때문에 감상과 실기수업에 두려움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교사의 직접 시범이나 시각자료를 활용해 학습자들의 관심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수, 자료의 선정 및 활용 분석결과 작가와 작품을 시각자료와 음악자료를 통해 미적체험을 경험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참여 유도 및 평가 분석에서 학습자들은 단순히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이 미술교육의 목적이 아니라 자기를 나타내는 활동임을 알게 되었다. 미적체험이 정서를 풍요롭게 하고 긍정적 사고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통해 작품에 대한 이해와 창작활동에 대한 동기유발 자극 계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매체활용에 대한 평가의 경우, 시각자료의 만족도가 높았고 토론의 만족도도 향상되었다. 학습자들은 새로운 미술재료에 대한 체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학습자들은 벽화제작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꼈고, 학습자들간 활발하고 긴밀한 소통과 교류가 작품 완성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학습자들은 미술과 재능기부라는 두 가지 영역이 융합되는 과정에서 자신의 재능을 사회참여활동을 통해 발현할 수 있음을 알았다. This study aims to help adolescents voluntari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 activities, by analyzing learning processes and programs of the youth culture and art activity, focusing on its effect factor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view of education. Thus, this study selected the art education program of the youth training activity accreditation system in the culture and art area of the youth activities, and analyzed the program after planning and operating it.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first, as the learner and learners of the target analysis had no experience of having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before, they had fear and difficulties in appreciation and practice classes. Thus, this study tried to arouse learners` interest by showing demonstration of teachers or using visual material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selection and use of teaching materials, they had esthetic experiences of artists and artworks through visual and musical materials. Third, in the analysis of induci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and evaluating it, learners realized the aim of art education was not to simply draw pictures well but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a fact the esthetic experience made our emotion rich and was of help to positive thought, this study prepared an opportunity to stimulate motivation of creative activity and understanding of artworks. As for the evaluation of media utilization, satisfaction of visual materials was high and satisfaction of discussion was also improved. Learners also positively evaluated experience of new art materials. They felt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mural painting, and recognized a fact clos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m were of help to completing artworks. This study found out their talents could be revealed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two areas, art and talent donation, being converged. Through this, a concern over a problem that can lead participation in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voluntary motivation of learners should be preceded.

      • KCI등재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주목성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오지연 ( Oh Ji Yeon ),성열홍 ( Sung Youl H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4 No.-

        최근 기업에서는 자사 브랜드 또는 제품에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나 캠페인 활동을 전략적으로 펼치고 있는 사례가 많아졌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상의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해외에서는 이미 활성화 되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SNS상에서의 인플루언서 유형과 제품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측면에서는 선행연구가 희박하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소비자들이 SNS상에서의 제품 광고나 마케팅을 접하였을때 느끼는 정도는 인위적인 차원인데 반해, 인플루언서 즉 영향력 있는 1인을 내세워서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스며들어 제품을 보여주는 형태일때의 만족감이나 호기심, 주목성, 긍정적인 반응 등의 차원이 어떠할지 그 결과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세부적으로 알아보는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상에서의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소비자들의 평가를 조사하고자 인게이지 되는 유형중 사전조사를 통한 결과로 주목성이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목성의 고집단에서는 전문가가 더 높은 영향이 있으며, 저집단에서는 유명인이 높은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주목성을 더 끌어올리기 위해서 인플루언서 유형을 유명인에서는 자사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와 일치하거나 전문성이 있는 유명인, 또는 제품의 전문가를 적절히 활용하면 소비자 평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높아질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방향에 따른 결과로 기존의 전통 미디어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웹 2.0 시대에 맞는 미래지향적인 미디어로 SNS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진정성, 신뢰감 및 공감을 형성시켜, 기업의 제품이나 브랜드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companies are strategically engaged in marketing or campaign activities that utilize influencer documents in their brands or products. In particular, influencer marketing on social networks has already been activated overseas, and consumer response to the type and product of influencer statements in Korea is relatively low. In general, the degree to which local consumers feel when they are exposed to product advertising or marketing on SNS is artificial, whereas inflationary, or an influential person, is a positive form of response to the consumer's lifestyle. The study examined how products using influencer on social networks were accep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the impact of attention on product behavior and purchasing intent was as a result of a prior survey of the types that consumers would expect. As a result, experts have a higher impact on the stubbornness of attention and celebrities have a higher impact on low-income group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ppropriate use of the type of influencer statement by celebrities to match images of their products or brands, or of professional celebrities or experts in products, will increase the positive effects of consumer evalu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direction, we believe that SNS marketing strategies will help consumers develop authenticity, trust and empathy for products and brand marketing activities in a future-oriented society that is changing rapidly with the traditional media.

      • KCI등재

        지속가능한 상생도시를 위한 젠트리피케이션 브랜드 디자인 제안

        오지연 ( Oh Ji Yeon ),박정아 ( Park Jung A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한국은 관광지 개발 및 지역에 대한 상권개발 발전이 상당히 빠른편이며 그에 따라 트랜드 및 기타 변화에 민감한 나라이다. 대규모 프랜차이즈나 상업자본이 들어오면서 매우 유동적이며 이동이 많아지는 상권이 될수록 기존 고유의 지역특성 및 독립문화가 상실된다. 무분별한 패션거리나 주류 및 식음료 등의 소비문화공간으로 변화되면서 임대료는 무한히 치솟게 된다. 결국 원주민이 내몰리면서 지역 정체성을 잃게 되어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성을 고유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지역의 주민과 건물주 임차인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상생도시를 향해나아가야 할 것이다. 상생도시로서 지역주민의 발전에 문화예술교육을 접목시켜 주민과 함께하는 지역으로 더 큰 발전을 이룰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지역의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대책 지역 사례를 분석하였다. 젠트리피케이션 징후가 일어나는 지역을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조사된 성동구를 지정하여 젠트리피케이션을 넘어 지속가능발전구역에 대한 브랜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구역인 성동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하여 브랜드 전략 및 슬로건, 브랜드 키워드, 색상 스타일 방향을 설정하여 디자인 컨셉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동구는 건물주와 상인, 지역의 상생협약을 통해 지속적인 상권 유지와 원활한 참여를 위한 조례와 제도,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속가능한 상생도시를 위한 젠트리피케이션 브랜드 디자인 제안’으로 성동구 지역의 긍정적인 정책 심볼 이미지 구축 및 성동의 발전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Korea is a country that is highly sensitive to changes in trend and market development in tourist areas and areas. As large chains and commercial capital flow enter the market,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Tongnimmun will be lost. The rent will rise to an unlimited extent as it changes into a culture of consumption, such as fashion issues, liquor and food and beverage. Eventually, the indigenous people are driven out of control, making them lose their local identity, causing gentrification. It is necessary to steer its direction toward a win-win city, one in which residents and building owners of local buildings can jointly move towar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ir own areas. As a win-win city, I believe it will develop into an area with residents by incorporat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ase study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and the case for prevention of gentrification was analyzed in the area where the Gentrification occurred. Seongdong-gu examined through scientific data to propose a brand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as beyond gentrification. The Seongdong-gu, a sustainable development zone, proposed a design concept by setting up brand strategies, slogans, brand keywords and color style direc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brand identity. Through this research, Seongdong-gu believes it will help create ordinance, institutions and culture for maintaining and smoothly participating in commercial areas under a win-win agreement between building owners and merchants. We hope that the “General-marketing Brand Design Proposal for Sustainable and Sustainable City” will help build positive policy symbol images in the Seongdong-gu region and boost development of Seongdong.

      • KCI등재

        예술계 고등학교 국악 전공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오지연(Ji-yeon Oh)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3

        전국에 국악 교육을 하는 예술계 고등학교는 국악을 전문으로 교육하는 학교와 예술고등학교 안에 국악 전공을 선발하는 학교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예술계 고등학교의 국악 전공 전문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이에 대한 교육과정의 차이점을 밝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계 고등학교는 전문예술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표에 걸맞게 실기의 수업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실기는 음악적 지식을 바탕으로 길러지는 만큼 음악이론, 음악사, 시창·청음 등 기초 교과에 비중을 두어 실기와 기초 교과를 균형 있게 편성하여야 한다. 셋째, 예술계 고등학교는 학교의 특성이 드러나는 다양한 교과를 편성하여 교육해야 한다. 넷째, 예술고등학교에서는 국악 전공자의 정원과 상관없이 국악을 전공한 전임 교사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결과는 국악 전공을 위한 예술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보다는 학교 운영 별로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토대로 서로 교육되어야 할 내용과 음악가로 성장하고 배워나갈 수 있는 교육과정을 조정하고 정리하여 서로 상생해 나가 지역별 균등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e arts high school, which teaches Korean traditional music, is operated in various forms because there are schools that specializ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chools that select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in art high school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rofessional curriculum of art high school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urriculum for this, and to find an efficient operation plan based on the educational problems of art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skills classes should be systematically strengthened to meet the goal of cultivating professional artists in art high schools. Second, since practical skills are cultivated on the basis of musical knowledge, the practical skills and basic subjects should be organized in a balanced manner with emphasis on basic subjects such as music theory, music history, poetry and listening. Third, art high schools must organize and educate various subjects tha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Fourth, a full-time teacher who major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secured in art high school regardless of the numb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art high school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 High school is an important time to develop musical qualities and basic skills. Therefore, rather than judging the right or wrong of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each school s operation should be coordinated with each other and the curriculum that grows and learns as a musician. I look forward to the education.

      • KCI등재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가(正歌) 관련 내용 분석 및 문제점 고찰

        오지연(Ji-Yeo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정가(正歌) 교육 현황을 살펴보는 첫 단계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를 중심으로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가(正歌)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여 정가(正歌)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범위는 학년급의 성취기준과 학습 요소가 위계화되어 있는 공통 교육과정인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가(正歌)의 제재곡과 영역별의 구성 현황 등을 살펴본 후, 하위별로 표현⋅감상⋅생활화의 영역에 제시된 교수⋅학습에 대한 내용을 초등학교와 중학교로 나누어 검토하여 학교급별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가(正歌)의 현황에 따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조의 제재곡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중복되어 수록되어 있다. 둘째, 정가(正歌) 가운데 가사(歌詞)는 풍류 음악의 일환으로 언급만 하고, 구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셋째,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 음악의 요소와 개념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거나 모호한 표현으로 학습 목표를 제시하여 성취기준의 목표를 이루는데 어려움이 있다. 넷째, 대부분의 교과서는 표현과 감상 영역별에 따른 활동 내용으로 가곡과 시조의 음악적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다섯째, 학습 활동은 영역별로 하나의 성취기준에 편중되어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한 학습 활동은 표현 영역과 감상 영역에서 음악 요소와 개념을 구별하고,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노래부르거나 연주한다. 생활화 영역은 세계 속의 국악의 위상에 대해 조사하도록 하여 유네스코에 등재된 음악 문화 유산에 대한 내용만 다루고 있다. 결론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악곡의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강조한 활동을 중요시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 가운데 풍류음악인 정가(正歌)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와같은 이유로 정가(正歌)의 교수⋅학습 자료가 다양하고 정밀하게 개발되어 활용되어야 하며, 추후 정가(正歌)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in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Jeongga education aft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Jeongga education by considering. Methods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urses, which are common curriculums in which grade level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elements are hierarchically structured.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After examining the chords of Jeongga in the music textbook and the composition of each area,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presented in the areas of expression, appreciation, and everyday life were divided in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reviewed for each school level. was derived. Results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tatus of Jeongga included in music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SiJo song is duplicat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econd, Among the Jeongga, Gasa is only mentioned as part of Pungryu music, and no specific learning is being done. Thir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explanation of the elements and concepts of music is omitted or the learning objectives are presented in ambiguous expressions. Fourth, Most textbooks focus on understanding the musical structure of Gagok and SiJo, with activity content according to each area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Fifth, Learning activities are concentrated on one achievement standard for each domain. The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most textbooks distinguish music elements and concepts in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rea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piece of music, and sing or perform. In the Music in of daily life, the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orld is investigated, and it is the content of the cultural heritage of music registered in UNESCO. Conclusions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laces importance on activities that emphasize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music,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learn Jeongga among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For this reason,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the right family should be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made and utilized with pr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