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에 대한 잠재전이분석

        오종현(Oh, JongHyun),오보라(Oh, BoRa),김우성(Kim, Woo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s of class adjustment for university students over time. Although there ar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lass adjustment, there are little studies exploring longitudinal changes in class adjustment. This study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 on class adjustment to university in March and May 2016 for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rea. The data of 262 students who answered both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atent profiles, the class adjustment’s profiles were classified into Adjustment_difficulty , Adjustment_medium , and Adjustment_high The results of latent transition analysis on the class adjustment shows that the students had difficulty adjusting to the class over tim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predictive of class adjustment behavior profiles at Time 1 or transitions in class adjustment from Time 1 to Time 2, gender and high school’s tracks(liberal arts vs science) were incorporated into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model. The result shows that female students are 3.236 times more likely to be in ‘ Adjustment_difficulty ’ state than male students.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differs between latent states on class adjustment. Lastly ,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 y were discussed. 본 논문에서는 잠재 전이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의 수업 적응도 변화를 탐색한다. 지금까지 학업 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었으나, 개별 수업에서의 적응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표본은 경북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도 3월과 5월, 2회에 걸쳐 수업 적응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1·2차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학생 262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는 ‘적응_어려움’, ‘적응_중간’, ‘적응_높음’이라는 3개의 잠재 프로파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으며, 학생들은 학기 초 보다는 학기 말에 수업에 적응하는 것을 더 어려워함을 관찰하였다. 잠재전이모형에 성별과 고교계열을 공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수업적응도 1차에서 ‘적응_어려움’ 잠재상태에 속할 확률이 3.235배 더 높았다. 또한. 수업 적응도 2차 잠재상태에 따라, 학업 성취의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황화몰리브덴을 촉매로 활용한 막 전극 조립체 열 압축 최적화에 대한 연구

        오종현 ( Jonghyeon Oh ),김진선 ( Jinsun Kim ),김기범 ( Kibum Kim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22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36 No.2

        Recently, Prot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zer Cell (PEMEC) is drawing attention as a hydrogen energy production device. However, the high price of platinum used as a catalyst for the Gas Diffusion Electrode (GDE),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PEMEC, is making it difficult to commercialize. Therefore, the use of alternative catalysts in GDE and the optimization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which is a combination of GDE, are essential. Accordingly, the MEA was optimized using a hot pressing method as a catalyst molybdenum disulfid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8 conditions using the 2<sup>3</sup> design of experiment method. In order to fabricate the MEA,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main parameters of hot pressing, such as process time, pressure, and temperature, as variables. The temperature was set to 100-120℃, the pressure was 35-105 bar, and the process time was 1-3 minutes. After hot pressing, cyclic voltammetry was performed 10 times for stabilization, and then the current density was measured through chromoamperometry. Based on this,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minitap softwa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emperature had the most major influence on performance, and the optimal conditions were 100℃, 35 bar, and 1 minute.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have an impact on the activation of various types of catalyst research that will be applied to PEMEC in the future.

      • 온라인 게임 과용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오종현(Jong-Hyun Oh),손정우(Jung-Woo Son),이상익(Sang-Ick Lee),신철진(Chul-Jin Shin),김시경(Sie-Kyeong Kim),주가원(Ga-Won Ju),임태정(Tae-Jung 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3 사회정신의학 Vol.18 No.1

        목 적 : 본 연구는 성인 온라인 게임 과용자와 일반 사용자 사이에서 게임 이용시 실재감, 해리 경험 민감도, 게임 이용 특성에 차이와 상기한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방 법 : 게임 이용시간을 기준으로 과용군 17명, 대조군 19명 총 36명의 피험자가 모집되었으며 피험자들은 실재감 척도(MIP), 해리경험 척도(DES),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KIAPS)를 이용해 평가되었다. 실험 결과는 독립 표본 t-검정을 먼저 시행하였으며 이후 각변인에 대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실재감 척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과용군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해리 경험 척도에서는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과용군에서 가상현실 지향성, 내성과 몰입,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인식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상관분석에서는 대조군이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과용군에서는 해리 총점이 원격실재감, 가상현실 지향성과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 찰 : 본 연구의 결과는 해리 경험이 실재감, 중독적 게임 이용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결과는 해리 경험에 민감한 사람이 온라인 게임에 과도하게 노출되었을 때 더 많은 실재감을 느껴 더 중독적 이용을 할 수 있다는 가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향후 추가적 연구를 통해 이런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온라인 게임 중독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as to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mediated presence during online game, sensitivity of dissociation experience and game use pattern by targeting adults using online game excessively and general online adult gamers and additionally,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mediated presence and game using features and dissociation experience. Method : Total 36 subjects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over-use group (N=17) and control group (N=19) based on use time. The subjects were made to perform mediated presence scale (MPS), dissociation experience scale (DES) and Korean internet addi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KIAP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18.0 was used, independent T-test between two group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of each group were performed. Results : In MPS, overu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telepresence (t=2.537, p=.016) and social presence (t=3.300, p=.003). In KIAPS, overu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inclination toward virtual reality (t=2.258, p=.031), tolerance and preoccupation (t=2.630, p=.013) and self-awareness of internet use (t=3.412, p=.002). In overuse group, D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lepresence(r=.488, p=.047), inclination toward virtual reality (r=.521, p=.031) and tolerance and preoccupation (r=.507, p=.038), respectively but in control group, any correlation was not represented Conclusion : In view of this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dissociation experience may have correlation with increased mediated presence during game use and increased addictive tendency. As a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a hypothesis that when a person sensitive to dissociation experience is exposed to online game, he (she) may experience more mediated presence leading to game addition. Through future study, a study on causality for these variables may be required and this effort would be helpful for preventing game addition.

      • 음성 분지 일대 지하수의 물-암석 반응에 따른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평가

        오종현(Jong-Hyun Oh),고동찬(Dong-Chan Koh),조병욱(Byong-Wook Cho),염병우(Byoung-Woo Yum),김성원(Sung Won Kim),유용재(Yongjae Yu)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자연에서 기원한 오염물질로 사람들이 겪는 피해사례로 인해 예전에 비해 자연중금속 및 자연방사능 물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자연적인 유해원소들이 어디서 기원하고 어떻게 분포하고 움직이는지 알아야 유해원소로부터 안전한 지역이 어디인지 알 수 있고 유해원소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지역은 공주 단층의 북단에 위치하며 화강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상과 복잡한 단층계를 가진 음성 분지 및 주변지역으로 음성군 대부분 지역, 진천군 동부, 증평군 북부, 괴산군 북서부 일부에 해당한다. 음성 분지 주변의 암상으로는 선캠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과 호상편마암이 있고 이를 쥐라기에 관입한 화강암이 있다. 음성 분지 내부 암상으로는 백악기에 분지 형성된 이후 퇴적된 역암, 이암, 사암 등의 퇴적암들과 현무암, 안산암 등의 화산암들이 있다. 지하수는 암반관정 55개, 충적관정 17개 포함 총 72개소를 조사하였으며 암상에 따라 크게 화강암, 편마암, 퇴적암 분포지역으로 구분하였다. 현장수질특성을 보면 온도는 12~19°C 정도로 일반적인 지하수의 특성을 잘 반영하며 pH는 5.79에서 8.97로 약산성에서 약알칼리성까지 다양하지만 평균은 7.04로 중성에 가깝다. EC는 111~1214 μS/cm로 넓은 범위를 보여주며 1000 μS/cm 이상의 일부 시료를 제외하면 대부분 180~650 μS/cm의 범위이다. DO는 1.4 mg/L에서 10.3 mg/L의 범위를 보여 대체로 호기성 환경을 지시한다. 주요 용존항목 분석 결과는 알칼리도는 38~847 mg/L의 범위이며 700 mg/L이상의 두 지점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은 37~300 mg/L 범위로 일반적인 지하수와 비슷하게 나온다. 화강암질 대수층에서 대표적인 물-암석 반응 지시자인 불소(F) 농도는 거의 대부분 먹는물 수질 기준인 1.5 mg/L 이하이며 6개 지점에서는 1.5 mg/L보다 높은 농도를 보여주는데 암상과 관계없이 단층대 주변지역에서 선상으로 분포하고 대체로 알칼리도가 높은 관정에서 불소도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어 고불소 지하수는 심부에서 오랫동안 주변 암석과 반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축구를 통한 독일 통일의 명과 암

        오종현 ( Oh Jonghyu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1 No.-

        독일의 통일은 ‘서독화’로 압축될 수 있다. 동독의 기존 사회 시스템과 문화에 서독의 가치관과 시스템을 덧입힘으로써 하나의 공동체를 구성해 내고자 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동독에 자리 잡고 있던 사회 구성요소가 점차 붕괴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거시적인 분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여가나 놀이와 같은 작은 분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축구계 또한 그 영향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축구는 오늘날 독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독일 내에서 가장 큰 협회와 인프라를 지닌 분야이다. 통일 이후 동독지역 축구계의 변화를 통해통합의 전개와 결과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유럽 축구계는 80년대 중·후반부터 상업화 조짐을 보였으며 90년대에 이르러서는 거대 시장이자 엔터테인먼트 영역으로 변화하게 된다.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자국 내 시청층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시청층이 확보되면서 축구는 세계 시장을 가진 콘텐츠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리그와 컵의 가치가 증대되었으며 축구클럽의 운영 또한 과거와는 다른 ‘경영’의 모습을 띄게 되었다. 일련의 변화 속에서 동독 출신 축구선수에게 통일은 큰 축복으로 다가왔다. 인신구속에서 자유로워졌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이적이 가능해졌으며, 더 높은 연봉을 수령 할 수 있게 되었다. 축구선수의 지위가 노동자로 규정되어가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대우는 더욱 좋아졌다. 반대로 동독 클럽에게 통일은 큰 재앙으로 다가왔다. 대다수 동독 기업은 갑작스러운 자본주의 체제로의 변환으로 인해 도산하게 되었다. 클럽 또한 동일하였는데 선수의 이적과 관리에 있어서 미숙함을 보이면서 경제적 위기를 겪게 되었다. 또한 키르히메디아의 파산이라는 독일 축구계 전체의 고난 속에서 동독 클럽은 더욱 큰 위협을 받게 되었다. 여기에 팬층의 경제적 몰락과 구매력 하락은 클럽의 소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German reunification’ can be condensed into ‘West Germanization’. It was intended to form a community by adding West German values and systems to the existing social system and culture of East Germany. In the process, the social components that had been established in East Germany gradually collapsed. Changes are the same not only in the macroscopic field, but also in small fields such as individual leisure and play. And the world of professional football could not be free from its influence. Today, football is the most popular sport in Germany and has the largest association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Germany. After reunification, it is possible to gauge the progress and results of integration through the changes in the football field in East Germany. The European football industry had signs of commercialization from the mid-and late 80s, and by the 90s, it became a huge market and entertainment area.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not only has it secured a domestic viewer but also a global viewer, so football has grown into a content with a global market. As a result, the value of the league and the cup increased, and the operation of the football club also took on a “management” different from the past. Renification came as a great blessing to East German soccer players. Not only was it free from personal confinement, but it was also possible for individuals to transfer and to get higher annual salaries. While the status of football players is becoming more defined as workers, the social and economic treatment of them has improved. On the contrary, reunification came as a disaster for East German football clubs. Most East German companies went bankrupt due to the sudden transition to the capitalist system. Football clubs faced an economic crisis because of its immaturity in the transfer and management of players. Also in the midst of the hardships of the entire German football community, the bankruptcy of Kirchmedia, the east german football clubs were further threatened. In addition, the economic downturn of fans and the decline in purchasing power of fans played a role in reducing the club´s income.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평가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류

        오종현(Jong Hyun Oh),나은영(Eun Yeong Na),강병덕(Byung Deok Ka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H대학교 학생들의 핵심역량 진단 결과(이하 K-CESA)를 잠재 프로파일 모형을 사용하여 분류한 연구이다. 분석결과, H대학 학생들의 K-CESA 잠재집단은 ‘전반적 저조’, ‘전반적 보통’, ‘전반적 우수’,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중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H대학 신입생들이 각 잠재집단에 소속될 확률은 교수와 학생 간 교류, 능동적·협력적 학습, 학업적 도전, 수업준비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중심 집단은 다른 잠재 집단에 비해 교수와 학생 간 교류, 학업적 도전, 수업에 대한 준비가 높고 능동적·협력적 학습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적 도전이 높은 신입생일수록 전반적 보통 집단 보다 전반적 우수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에, 전반적 저조 집단과 전반적 보통 집단, 전반적 저조 집단과 전반적 우수 집단을 변별하는 유의한 학습과정 변수를 찾을 수 없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맞는 시사점과 교육적 피드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H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K-CESA us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 students are classified as ‘overall low-level skill’ group,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and ‘cognitive function and communication oriented’ group. A se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udent faculty interaction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level of academic challenge and class prepara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atent profile membership. Students who reported high level of student faculty interactions, academic challenge, and class preparation, but low level of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than other latent groups. High level of academic challenge was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than the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learning process variable to discriminate multiple groups: ‘overall low-level skill’ versus ‘overall mid-level skill’ group and ‘overall low-level skill’ versus ‘overall high-level skill’ group.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nd educational feedback were suggested in terms of latent profil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