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추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오예람,송원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2 인지행동치료 Vol.22 No.1

        이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해 우울이 발생 및 유지되는 심리적 과정을 정서와 인지, 행동 방향성의 순서에 따라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전국의 성인 2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은 특질 상위-기분 척도(TMMS), 반추적 반응 척도(K-RRS), 자기효능감 척도(SES), 우울 척도(CES-D)로 구성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해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PROCESS Macro 3.4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해 간접 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과 반추 및 반추의 하위척도인 자책 과 숙고, 자기효능감, 우울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 사이에서 자책과 자기효능감의 이 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 사이에서 숙고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 효과는 유 의하지 않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써 정서인식명확성과 반추,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반추를 자책과 숙고, 두 가지 하위차원으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효과가 나타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을 경험하는 성인에게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치료적 방향의 기초를 강구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시사점과 한계점, 치료적 방안을 모색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 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rumination(brooding/reflection)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among adult. For this, 261 participants across the country conducted the survey through online form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include TMMS, K-RRS, SES, and CES-D. For the collected data, SPSS(23.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bootstrapping was performed by using PROCESS Macro(ver.3.4)’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rumination(brooding/reflection), self-efficacy, depression had meaningful correlations. Secondly, emotional clarity affects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Third, emotional clarity affect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brooding,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Fourth, emotional clarity affect depression, reflection, and self-efficacy did not mediated. This study revealed that rumination and self-efficacy are dually mediated i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o this, when rumination was divided into brooding and reflection, different mediation results have appeared.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limitation, and sugges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예람,송원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0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를 탐색하였다. 전국의 성인 201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Ⅱ, 우울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을 실행하였고,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정서표현 양가성, 경험회피 는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을 높이는 변인으로써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 정서표현 양가성, 경험 회피, 우울의 통합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경험 회피를 이용한 치료적 방안 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socially-perfectionism on depression by mediat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For this purpose, 201 participants across the country conducted the survey, a measure of MPS, AEQ-K, AAQ-Ⅱ, CES-D. Th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path coefficient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The indirect effect was examined using bootstrap in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variables ha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Secondly, When socially-perfectionism affects depress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mediated. As a resul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후 청년여성의 일과 사랑-임옥인의 『젊은 설계도(設計圖)』(《조선일보》, 1958.6.15.~12.14.)론-

        예람(Kim, Ye-ra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서강인문논총 Vol.- No.61

        본 논문은 임옥인의 『젊은 설계도(設計圖)』(《조선일보》, 1958.6.15.~12.14.) 작품론으로서 임시수도 부산에서 서울 환도 이후 한국사회에서 새롭게 부상한 ‘청년여성’이라는 사회적 주체의 일과 사랑이라는 주제와 1950년대 여성작가에 의해 창작된 대중문학의 민주주의적 상상력을 밝혔다. 『젊은 설계도』는 윤리적 질서가 붕괴된 임시수도 부산과 윤리적 질서가 재건되는 서울의 공간적 이동과 대비를 통해 기성의 가부장적 모럴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형태의 민주주의적 모럴을 선명하게 제시한다. 특히 전후 한국사회에서 약진한 청년여성이라는 사회적 주체를 부각하면서 한국사회 저류에 흐르던 재신성화를 향한 움직임을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통해 적확하게 포착하고 일과 사랑이라는 영역에서 탐색되는 새로운 모럴을 신선한 감각으로 그려내고 있다. 『젊은 설계도』는 일의 영역에서 청년여성의 대중 친화적 직업관과 개별성이 전제된 조건에서 이뤄지는 여성에 의한 여성의 계몽이라는 새로운 계몽 구도로서 커리어우먼 간의 사제 관계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랑의 영역에서는 청년여성의 일과 사랑의 양립 가능성의 타진과 젊은 설계도로 비유되면서 남녀 상호 간의 공적 영역에서의 활동이 대등하게 존중되는 민주주의적 가정의 모색을 제시한다. 『젊은 설계도』는 1950년대 후반 담론장에서 가부장적 질서가 다시 공고화되던 시기에 직장에서,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민주주의적 가치관을 실현하고자 했던 청년여성들의 존재를 선명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이러한 청년여성 인물형은 여류(女流)라는 호명을 통해 문단의 비주류로 밀려나던 1950년대 여성작가들이 주도적으로 창작한 대중문학이 전후 한국사회에 대해 고유하게 확보한 소설적 설명력이며, 이후 4・19혁명의 또 하나의 밑바탕과 추동력이 되었을 민주주의적 주체들이다. 본 논문을 토대로 1950년대 여성작가들이 창작했던 대중문학의 작품론을 축적해나간다면 한국문학사에서 그동안 조명되지 않았던 대중문학의 위상은 분명하게 자리매김되고 가치매김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Im, Ok-in"s A Young Blueprint(Chosunilbo, 1958.6.15.~12.14.). The theme of this text is the work and love of a social subject called a young woman which has entered in Korean society since returning to the capital city Seoul from the temporary capital city Busan. This text shows the democratic imagination of popular literature created by woman writer in the 1950s. A Young Blueprint clearly presents a new democratic moral, distinguished from a established patriarchal moral through spatial movement and contrast between the temporary capital Busan, where ethical order has collapsed, and Seoul, where ethical order is rebuilt. In particular, it highlights the social subject young woman, who advanced in post-war Korean society, and accurately captures the movement toward the resacralization of Korean society through melodramatic imagination. It describes a new moral explored in work and love with a fresh sense. In work, A Young Blueprint suggests a public-friendly view of young woman and an apprentic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women as a new enlightenment structure and enlightenment by women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an individuality is premised. On the other hand in love, a democratic family is suggested where young woman"s work and love are compatible and both men and women"s activities are equally respected in the public sphere. A Young Blueprint clearly represents the existence of young woman who wanted to realize democratic values at work, at home, and in society during the late 1950s when patriarchal order was reconsolidated in the discourse field. In addition, the characterization of "young woman" created by woman writers in the 1950s, who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of the literary field because of their gender, is a unique explanatory power of popular literature toward post-war Korean society and a democratic subject who would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pril 19 revolution. In this sense, this article can contribute the clarity of popular literature"s status and value, which were created by woman writers in the 1950s but did not receive atten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김동리의 「무녀도」 개작 연구

        예람(Chae, Ye-Ram)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8 No.-

        김동리(1913∼1995)의 작품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랫동안 거론되는 작품은 「무녀도」(1936)이다. 「무녀도」가 여전히 다양한 방식으로 사유의 장에 떠오른다는 것은 그 서사가 다양한 해석을 허락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무녀도」가 다양하게 전유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개작’에 있음을 밝히며 출발한다. 김동리 작품 해석에서 개작은 중요한 문제이며, 이 글의 목표는 「무녀도」의 거듭된 개작에서 드러나는 작가 김동리의 의도와 개작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작품의 균열을 포착하려는 데에 있다. 「무녀도」의 개작은 ‘무’의 세계, 즉 조선의 고유한 얼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이루어졌다. 김동리는 ‘무’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기독교를 서사 전면에 끌어들였는데, 오히려 이 전략이 「무녀도」를 종교 간의 대립으로 파악하게끔 만들었다. 즉, 「무녀도」는 개작을 거듭할수록 주제가 선명해지기보다는 어떤 판본을 읽느냐에 따라 다르게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개작은 조선의 고유한 것으로서 ‘무’의 실제를 드러내는 방식이기보다는 기독교적인 것의 대타항으로써의 ‘무’가 강조되도록 만들었다. 김동리는 「무녀도」를 몇 번이고 고쳐 쓰는 작업을 보여주며 끊임없이 작품의 완성도를 추구하는 작가적 순수성을 획득한다. 하지만 동시에 작품의 고쳐쓰기 전략이었던 근대/정치적 기제인 기독교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김동리는 본인의 ‘순수문학’ 자장 밖으로 위치 지어졌다. 「무녀도」는 김동리가 일생동안 주장한 ‘순수문학’의 기획이 ‘정치과잉의 논리’라는 모순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작품이다. Munyeodo(1936) is one of Kim Dong-ri(1913∼1995)’s works that have been discussed for the longest years in his creative world. It is still discussed at the venue of ideas in various ways because its narrative is in a form that allows for diverse interpretations. This study began by demonstrating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diverse appropriations for the novel was “adaptation,” which is an important matter in the interpretations of his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 intentions revealed in the repeated adaptations of the novel and its cracks observed in the adaptation process. Its adaptations were intended to emphasize the world of “Korean Shamanism” or the unique soul of Joseon. Kim brought Christianity to the front line of its narrative to put an emphasis on “Korean Shamanism.” This strategy caused readers to understand the novel as a confrontation between different religions. The topic of the novel did not become clear according to repeating adaptations. Instead, it got to have the possibilities of being rea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editions. Adaptation was not a way of revealing the truth of “Korean Shamanism” as something unique to Joseon, but an antithesis to something Christian to emphasize “Korean Shamanism.” As a writer, Kim obtained the purity of seeking after the completeness of his works constantly through rewriting. At the same time, however, he failed to grow out of the Christian domain that was a modern/political mechanism as his rewriting strategy, thus being placed outside the magnetic field of his pure literature. Munyeodo is one of his most important works to show that his planning for “pure literature,” which he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had the contradiction of “political excess” connoted in it.

      • KCI등재

        解放期 廉想涉과 少年 – 채석장의 소년 을 중심으로–

        예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articl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 Sang-seop’s writing and juvenile characters, focusing on his only juvenile novel, The Boy in the Quarry (SoHakSaeng, 74~79, 1950.1.~6; PyeongBeomSa, 1952). The Boy in the Quarry was written to extend Yeom, Sang-seop’s point of view on juvenil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ization of juveniles and respect for the uniqueness of children’s literature.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 present study, the work was also written to show the author’s interest in the educational system during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This novel was also published as a result of the atmosphere of this period, when many juvenile novels were written to meet the need for high-quality children’s reading materials, and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SoHakSaeng and the educational system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n the juvenile novel genre, The Boy in the Quarry was written by reflecting the author’s ideology and moral lessons toward contemporary juvenile readers, for literary communication with them. The storylines of the juvenile characters in The Boy in the Quarry embody the educational values that Yeom, Sang-seop tried to convey to contemporary juvenile readers. Furthermore, in this novel, the author depicts worlds of juveniles and adults which are woven together with equal narrative importance. Additionally, the family meetings in the novel are presented in a specific way which respects the individuality and the personality of juvenile in the family system as they practice family democracy. Consequently, Yeom, Sang-seop characterizes the ideal type of juvenile through The Boy in the Quarry―juvenile characters learn universal virtues at school and are raised as citizens of a democratic society at home. 김예람, 2022, 해방기 염상섭과 소년, 어문연구, 195 : 247~286 본 논문은 염상섭의 유일한 소년소설 채석장의 소년 (<소학생> 74~79, 1950.1.~6; 평범사, 1952)을 중심으로 염상섭과 소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채석장의 소년 은 염상섭의 소년관, 문필활동 초기부터 평문의 형태로 개진된 소년 인물 형상화에 관한 교육적 태도, 아동문학 장르의 독자성에 관한 존중, 그리고 특히 해방기 소년 세대 교육에 대한 관심의 연장선에서 쓰인 것으로, 소년소설이 범람했던 해방기 아동문학장의 분위기, 양질의 유소년독물의 필요성, <소학생>이 한국어 교재로서 지닌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으로부터 고무된 결과다. 즉 채석장의 소년 은 염상섭이 소년소설에 관한 장르적 자의식 위에서 동시대 소년 독자와의 문학적 의사소통을 염두에 두고 그들을 향한 자신의 교훈과 전망을 투영하여 소설화한 사례다. 채석장의 소년 에 등장하는 소년 인물들의 이야기-선은 염상섭이 소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교육적 가치들을 구현하며, 나아가 소년의 세계와 어른의 세계를 동등한 서사적 비중으로 교직하여 가족제도 내에서 소년의 개성과 인격을 동권적으로 존중하고 민주주의를 실천할 구체적 방법으로 가족회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전도부인(Bible Woman), 한국 근대소설 속 신여성(New Woman) 이전의 여자들

        예람(Ye-ram Kim)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본 논문은 개화기 신소설부터 일제 식민지기 근대소설에 이르기까지 신여성(New Woman)에 앞서 기독교를 통해 근대성을 내면화하기 시작한 전도부인(Bible Woman)에 착안하여 전도부인이 구여성과 신여성을 매개하는 과도기적 여성 인물이자, 근대작가들로 하여금 한국 여성과 일상화된 기독교 사이에 존재했던 여성주제들에 대한 탐색을 심화시킨 문학적 제재였음을 밝혔다. 신여성 작가의 소설과 신여성 모델소설이 창작되기 이전 전도부인은 석진형, 김일엽, 전영택의 소설에서 구여성에게 전통적 여성의 삶과 획기적으로 구분되는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여성계를 대표하는 직업여성으로 부각된다. 나아가 전도부인은 신여성 인물이 정착한 이후에도 여러 장편소설에서 기독교 농촌계몽운동, 기독교적 혼인율, 여성해방과 기독교에 관한 다양한 여성주제를 탐색하도록 만든 유용한 소재였다. 전도부인 최용신(崔容信)을 모델로 한 심훈의 『상록수』는 채영신을 세속화된 전도부인으로 형상화하여 종교적 열정을 농촌계몽운동에 수렴시킨 소설이고, 김말봉의 『밀림』은 전도부인 삽화를 통해 신자 간의 결혼만을 허용하는 기독교적 혼인율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 작품이며,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는 봉건적 부덕을 상징하는 소재로서 전도부인을 설정하여 그와 대립하는 여성해방의 주제를 전달한 소설이다. 전도부인은 근대적 여성 인물의 모색이라는 소설사적 과제에 과도기적 역할을 담당한 문학적 전형이자, 신여성에 편중된 근대적 여성상의 한 측면을 새롭게 드러내는 역사적 존재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ible Woman(傳道婦人), who began to internalize modernity through Christianity before the New Woman(新女性), from the New Nove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modern novel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ible Women were transitional female characters that mediated between old women and New Women. By the Bible Women as subject matters, modern writers deepened their literary exploration on feminist themes existed between Korean women and generalized Christianity. Before modern novels by New Women writers and roman à clefs on real New Women, Bible Women presented old women with new life possibilities that were radic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women's lives as well as stood out as career women representing the women's world in the novels of Jin-hyeong Seok, Il-yeop Kim, Young-taek Jeon. Even after New Woman characters were settled in Korean modern novels, Bible Women, in addition, proved to be useful matters for a number of novels to explore a variety of feminist themes; Christian v narod movement, Christian marriage law, women's liberation. Modeled on Bible Woman Yong-shin Choi(崔容信), Hoon Shim's Evergreen Tree is a novel that concentrates religious fervor on v narod movement by characterizing Young-shin Chae as a secularized Bible Woman. Mal-bong Kim's Jungle raises ethical questions about the Christian marriage law, which only allows marriages between believers by means of the episode of the Bible Woman character. Man-sik Chae's After Leaving A Doll's House is a novel that conveys the theme of women's liberation by characterizing the Bible Woman as a symbol of the virtues of feudal women. To conclude, the Bible Woman is a literary type that played a transitional role in the Korean modern novel's historical task of finding a modern female character, and a historical being that reinforced an aspect of the modern female figure that was biased toward the New Woman.

      • KCI등재

        『토지』와 ‘신체화된 마음’ - 텍스트-로컬리티로서 1부-

        예람 ( Chae Ye-ra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0

        이 글은 『토지』 1부에서 ‘알 수 없는’ 상태로만 표현되는 몸을 ‘몸’ 담론으로 분석하고, 그것이 『토지』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토지』 1부에는 등장인물이 인지하지 못하는 몸의 변화가 있고,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충동으로 채워지는 몸의 현장이 등장한다. 다시 말해 ‘알 수 없는’ 몸이라 표현할 수밖에 없는, 특정한 감정·정서를 부여하기 어려운 몸의 현장이 있다는 것이다. 『토지』의 ‘알 수 없는’ 상태의 몸에 언어를 부여하는 과정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 것은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이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제2세대 인지과학 흐름이다. 이 글에서 참조하는 구체적인 관점은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성과로 그는 대사 작용, 기본 반사, 면역계 등 생명 활동을 유지하고 생존을 촉진하는 항상성 체계에 주목한다. 그리고 항상성 조절 체계에 정서를 포함시킨다. 그에 따르면 정서를 포함한 몸의 조절 체계로부터 시작된 느낌은 마음과 자아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으로 이어진다. 이 글에서는 다마지오의 신체화된 마음이라는 관점을 참조하여 『토지』에 등장하는 몸과 마음을 분석했다. 특히 등장인물이 스스로 몸의 변화에 대해 ‘알 수 없는’ 상태라고 표현한 경우에 한정하여 1부의 ‘치수’와 ‘수동’을 조명했다. 도무지 ‘알 수 없는’ 마음 가운데 긴장하고 길항하는 치수의 몸과 주종 관계로부터 형성되는 종(從)의 정체성에 균열이 난 수동의 몸의 향방은 다마지오가 ‘항상성’이라 부르는 건강 또는 안녕이라 부르는 존재적 풍요로움의 상태에 대한 노력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여지가 있다. 『토지』속 ‘알 수 없는’ 몸들을 ‘알 수 있는’ 몸으로 해석하는 작업의 목표는 『토지』 독해를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을 부여하기 위함이며, 작가가 남겨둔 섬세한 묘사와 통찰에 비로소 이해의 언어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문학 텍스트 분석에 과학적 관점을 더하여 몸을 통찰하는 일은 텍스트의 안과 밖 모두에서 유효한 이야기일 수 있다. 몸을 주목하는 일은 성격이나 감정처럼 한 인물의 특성으로 국한되지 않는 인간의 문제를 논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 글은 『토지』의 생명력을 이어나가기 위한 또 하나의 시도로서, 그간의 연구 성과들에서 포착되지 않았던 것을 조망하고 『토지』를 독해하기 위한 또 하나의 매개로써 ‘몸’을 제안한다. This text aims to analyze the body that is expressed only as ‘unknown’ in the novel Toji Part 1 and to clarify its meaning in the novel in terms of the discourse on the body. In Part 1 of Toji there are scenes where the body undergoes changes that the characters are not aware of and where the body is filled with uncontrollable impulses. In other words, there are scenes where the body is difficult to assign specific emotions or feelings and can only be described as an ‘unknown’ body. The second-generation cognitive science trend, represented by the term “embodied mind,” provides important clues to the process of assigning language to the ‘unknown’ body in Toji In this text, a specific perspective referred to by Antonio Damasio's achievements is examined, and he pays attention to the homeostatic system that maintains life activities such as metabolism, basic reflexes, and the immune system, including emotions in the regulatory system. According to this, feelings that originate from the body's regulatory system, including emotions, lead to mechanisms that shape the self. In this text, the perspective of Damasio’s embodied mind is used to analyze the body and mind that appear in Toji In particular, the dimensions and passivity of Part 1 were highlighted in cases where the characters themselves described their bodily changes as ‘unknown.’ The direction of the passive body with cracks in the identity of the follower fo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e and the passive body, which cannot be understood in the ‘unknown’ mind,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orts for the state of existential richness called health or peace, which Damasio calls “homeostasis.” The goal of interpreting the ‘unknown’ bodies in Toji as ‘known’ bodies is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Toji and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to give language to the subtle descriptions and insights that the author has left behind. Finally, incorporating a scientific perspective into the analysis of literary texts to gain insight into the body can be a valid stor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text. Focusing on the body can be a human issue that is not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 individual, such as personality or emotion. This text proposes the body as another medium for understanding Toji and as another attempt to continue the vitality of Toji.

      • KCI등재

        Flavones with inhibitory effects on glycogen synthase kinase 3b

        예람,신순영,이영한,임융호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60 No.3

        Because glycogen synthase kinase-3 (GSK-3) activity is linked to various human diseases, it has been targeted in new drug development. Flavonoids, including luteolin, apigenin, and quercetin, inhibit GSK-3b;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tructural properties and inhibitory effects are unclear. We measured the inhibitory effects of 34 flavonoid derivatives on GSK-3b and calculated hologram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to provide information on pharmacophores for designing novel compounds with better activities. The in vitro binding effect of flavonoids was confirmed using Western blotting for myricetin, which showed the best inhibitory activity, and the binding mode between myricetin and GSK-3b was elucidated using in silico docking.

      • KCI등재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현존감의 영향

        예람,박남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s for using SNS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s, and their impacts, along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on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t also looked into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se satisfaction. Using an online survey, the study found the motivations of information seeking,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and escape from reality. These motivations except for social itneraction affected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ness, self-presentation, and self-disclosure affected the outcome variables as well. In addition, social pres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se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motivations, personal characteristic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the context of newly introduced SNS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s. 본 연구는 기존의 소셜미디어에서 새롭게 제공되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이용동기를 밝히고 이용동기와 이용자 개인적 특성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적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를 사회적 현존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N = 400), 이용동기로는 정보추구, 사회적 상호작용, 오락/즐거움, 현실도피가 도출되었다. 이들 이용동기 중 정보추구, 오락/즐거 움, 현실도피는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 특성의 개혁성, 자기표 현, 자기노출은 모두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현존감은 개혁성, 자기표현, 자기노출 성향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뉴미디어 동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용동기와 개인적 특성,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사 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기존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SNS 실시간 동영상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기존의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겠다.

      • 한미 양국의 기후 변화 교육 프로그램 분석

        예람,신동훈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기후 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한국 기후 변화 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NEED(National Energy Education Development Project)에서 나온 기후 변화 교재와 SESE나라에서 나온 창의적 체험․재량활동 프로그램 교재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EED 교재가 SESE나라 교재보다 체계적인 인지 중심 교재이다. 둘째, SESE나라 교재가 한국 교육현장의 요구를 잘 반영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교육 현장에 맞는 기후 변화 교육 교재와 프로그램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재의 기후 변화 교육 비중을 늘려야 한다. 둘째, 기후 변화 교육의 과학적 지식의 양을 늘려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