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버마스의 변증법적 사회이론과 판넨베르크의 보편사적 해석학

        오승성(Seung Sung Oh) 한국기독교학회 201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6 No.-

        Habermas` basic interest is a search for the historical totality as the objective connection grasped by dialectic. But, for Pannenberg, this historical totality is no more than a myth of totalitarian reason, because it is the metaphysical principle which must be realized through historical process. In Pannenberg`s view, totality is constructed not through the concept of action but through the experience of meaning. Pannenberg grasps dialectic in the strict point of view. However, it needs apprehending within the interpretive point of view, if we take Habermas` postmodern intention which tries to build a base of critique in the nonfoundational way. Both Habermas and Pannenberg try to acquire totality. However, for latter, any attempt that goes beyond the experience of meaning to reach totality is not appropriate. Habermas, who introduces a concept of self-reflection as a critique of ideology into his critical theory, holds that we cannot free ourselves from ideology only within the hermeneutic experience of meaning. But Pannenberg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otality in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f meaning supplemented by the eschatological anticipation. But, Pannenberg`s eschatological anticipation does not seem to overcome Hegel`s self-identical teleology. According to Pannenberg, revelation is open to everyone, because it is disclosed indirectly through historical process. We do not have to own faith to grasp God`s revelation. In this point, he seems to get rid of a place of the Holy Spirit in his theology of history. Therefore, his from-below theology should be mediated with the from-above theology such as Barth`s. Pannenberg understands the apocalyptical eschatology within a hermeneutical point of view. But, primarily, it should be grasped within a social-revolutionary point of view.

      • KCI등재

        토대주의로의 은밀한 복귀

        오승성(OH Seung-Su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3

        우리는 지금 근대적인 토대주의(modern foundationalism)와 탈근대적인 반토대주의(postmodern antifoundationalism)를 넘어 그 둘을 비판적으로 중재하는 횡단적인 후기 토대주의(transversal postfoundationalism)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후기 토대주의는 객관주의적인 관점을 취하는 토대주의처럼 인식의 확실한 토대를 찾지도 않으며, 주관주의적인 관점을 취하는 반토대주의처럼 아무 창문도 없는 전통에 꼼짝 없이 갇혀 다른 전통과의 그 어떤 대화도 시도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후기 토대주의는 전통을 경험의 제약 조건이 아니라 경험의 가능조건으로 보고, 양립은 가능하지 않지만 비교는 가능한 다양한 전통들 사이를 종횡으로 가로질러 ‘일치 없는 수렴’과 ‘흡수 없는 통합’이 가능한 대화적 합리성을 구성하고자 한다. 필자가 보기에, 한국의 신학자 중 후기 토대주의적인 합리성을 자신의 신학방법론으로 설정한 대표적인 학자들 중의 하나가 바로 한상화이다. 그러나 한상화의 신학은 그 기본적인 ‘의도’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후기 토대주의적이지만 그 ‘결과’에 있어서는 후기 토대주의적인 합리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해 결국 신앙주의적인 토대주의(fideistic foundationalism)에 머물렀다. 즉, 그녀는 은밀하게 다시 토대주의로 회귀한 것이다. 이 논문은 한상화가 어떤 지점에서 토대주의로 은밀하게 회귀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신학이 대화적 합리성을 신학적으로 올바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We should accept the postfoundationalism which is based upon the dialogical rationality such as the transversal rationality, going beyond not only the modern foundationalism which makes use of the apparently given but also the postmodern antifoundationalism which asserts the contextuality of knowledge. Postfoundationalism seeks for various dialogical truths through interpreted experiences. At this point, it mediates the objectivistic foundationalism and the subjectivistic antifoundationalism. To my regret, some of Korean theologians fall into covert foundationalism which brings an epistemological regression into the Korean theology, not developing postfoundational rationality.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ological methodology of Han Sang Hwa which does not show the rationality of postfoundationalism correctly. This work will help the Korean theologians with avoiding the fideistic foundationalism.

      • KCI등재

        온라인 예배도 예배인가? : 코로나19 이후의 평신도-민중의 해방적인 역량

        오승성(Seung-Sung Oh)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1

        이 논문은 코로나19라는 전 지구적인 재앙을 맞아 ‘온라인 예배도 예배다’고 선언함으로써 기존의 사고방식에 이의를 제기하고, 기존의 사고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해방의 영역으로 조심스럽지만 확고한 소망을 가지고 나아가려는 평신도-민중이 가진 창조적이고 해방적인 역량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탐구이다. 위기의 상황에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평신도-민중이 가진 해방적 역량으로 인해 코로나19 이후 한국 교회는 구조적인 모순에서 벗어나 복음의 정직한 선포와 더불어 사회적인 책임 또한 올바르게 감당하는 교회가 되어 하나님 나라 건설에 이바지할것이다.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는 종교 개혁의 원리는 여전히 유효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평신도-민중이 가진 해방적인 역량을 신학적으로 해명한 후, 그에 근거하여 코로나19 이후 한국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회 개혁에 일조할 것이다. This essay tries to investigate the emancipatory capability of the laity- Minjung who create spheres of liberation beyond pre-existing limitations, declaring that online worship is also worship. The Korean churches, overcoming structural contradictions that make them severely sick, are able to contribute to a construction of the Kingdom of God, based upon the emancipatory capability of the laity-Minjung. The creative laity-Minjung makes the sphere of liberation by looking at the world a little differently. Still efficient is the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that the reformed church must be always reformed (ece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 This essay will help the Korean churches with reforming themselves by suggesting various ways that they can rid themselves of structural contradictions in the theological, political, economic, and soci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하버마스의 공론장과 기독교 신앙

        오승성(Oh Seung-Sung) 한국신학연구소 2013 신학사상 Vol.0 No.162

        하버마스는 공론장에서 공적 이성을 함양하려고 한다. 그러나 공론장에서의 윤리적인 주체는 무속박적인 주체로서 공동체의 덕을 함양하는 연대감과는 본질적인 관련이 없다. 다문화 사회로 접어든 우리 사회가 무엇보다 필요로 하는 것은 차이와 다양성까지를 포용하도록 우리에게 책임감을 부여하는 연대감이다. 이러한 연대감은 하버마스가 제시하는 이상적인 담화상황 같은 탈형이상학적이고 탈종교적인 사유로는 가능하지 않다. 도리어 성육신처럼 차이와 다양성을 아우를 수 있는 연대감을 동기화할 형이상학적이고 종교적인 사유가 절실히 요청된다. 하버마스는 종교를 형이상학적인 것, 신비적인 것, 무반성적인 것과 연관시킨다. 그러나 종교는 자기비판적이기에 그런 것들과 연계될 수 없다. 자기비판적인 종교는 그 자체로 이성적이기에 우리는 기독교가 가진 특수한 종교 전통을 비판적으로 유지하면서 공론장에 참여하여 공적 이성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점에서 공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서 사적인 종교를 버릴 필요는 없다. It is an obvious ethical requirement in the postmoden era that we should take part in the public sphere which is founded upon a general possibility of communicative praxis aiming at a mutual consensus. Jürgen Habermas tries to develop a public reason with a liberal point of view in the public sphere, suggesting that we reach a communicative agreement by a democratic discussion beyond a concrete tradition or context. For liberalists such as Habermas, religion as a specific form of life has nothing to do with a justification of ethical principle in a public sphere. But, distinct from Habermas' thinking, religion can play a crucial role in motivating the right in the concrete context. Habermas' discourse ethics, which admits solidarity in so far as it supports the right in a practical aspect, identity-centric. Therefore, it has a weak point in accepting diversity and difference. At the neo-liberal era when a social polarization gets worse and worse, we need the solidarity that can accepts the socially weak. The Christian tradition, as a teleological principle which fosters such a solidarity, for example, through the Incarnation, can complement the weak point disclosed in Habermas' liberal ethics.

      • KCI등재

        후기 토대주의적인 변증학을 향하여: 코넬리우스 반틸의 전제주의 변증학을 넘어서

        오승성 ( Seung Sung Oh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7 No.-

        우리는 지금 전통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합리성이 아니라 전통 사이에서 교차적으로 국지적인 합리성이 존재한다고 보는 후기 토대주의적인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코넬리우스 반틸의 전제주의 변증학은 반토대주의에 기초하여 경험을 해석하는 틀로서 기독교 전통을 전제한다는점에서는 옳으나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에 빠져 그 전제를 정당화 하지않음으로써 고백주의적 신앙주의에 빠졌다. 우리는 윌러드 콰인의 가류주의를 받아들여 반틸의 신앙주의를 교정할 수 있다. 콰인은 반틸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전제의 오류가능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반틸과 차이가 난다. 브루스 마샬은‘포괄적인 동화력’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그 차이점을 적극 수용하여 전제의 수정까지도 가능한 방법으로 기독교 전통을 정당화 한다. 후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ad hoc 변증학을 좀 더 후기 토대주의적인 방식으로 수정한 마샬처럼 기독교 전통은 국지적인 합리성에 근거하여 교차적인 방식으로 정당화되어야 한다. Evidential apologetics, which is based upon modern foundationalism, holds that the Christian beliefs should be justified by a logical inference from basic belief. Therefore, it is not a suitable apologetics in the postfoundational era, because the postfoundational spirit suggests that experience be dependent upon theory. Contrary to modern apologetics like evidential apologetics, the presuppositional apologetics of Cornelius Van Til accepts a theory-ladenness of experience, but falls into a confessional fideism because of its radical rela-tivity. Van Til suggests an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owing to an irreconcilable incommensurability between traditions. But, in my view, incommensurability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an impossibility of comparison or contrast. A local rationality is made possible, since comparison is done by intersubjective criteria in spite of being incommensurable. Ad hoc apologetics of postliberal theologians like Hans W. Frei or George A. Lindbeck tries to justify the Christian beliefs through an explanatory power like the assimilative power which absorbs alien beliefs from other tradition into its own conceptual network through a transversal dialogue. The inclusive and assimilative power of Bruce D. Marshall is also one of such an explanatory power. It has a selfrevision by accepting alien beliefs and transforming its own conceptual scheme. Therefore, it shows postfoundational traits based upon the transversal rationality between traditions.

      • KCI등재

        하이데거의 ‘전회’가 갖는 철학적인 의미의 신학적인 수용: 슐라이어마허와 틸리히의 주체중심적인 중재신학을 넘어서

        오승성(Oh Seung-S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3

        근대의 주체는 인간의 역사에서 전무후무한 인간중심적인 사고를 불러 일으켰다. 슐라이어마허의 중재신학과 틸리히의 상관신학은 이러한 주체중심적인 사고의 신학적인 산물이었다. 중재신학과 상관신학은 인간의 경험 가능성을 중시하여 신학과 철학, 복음과 상황, 계시와 이성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려고 하였다. 초월과 내재의 중재는 정당한 신학적 작업이다. 그러나 슐라이어마허의 중재신학과 틸리히의 상관신학은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 실패한 근본적인 원인은 그들이 근대의 주체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근대의 인간중심적인 주체를 극복할 단서는 후기 하이데거의 철학적 전회에서 찾을 수 있다. 전기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실존론적 존재 이해를 통해서 존재 자체를 이해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인간중심적이다. 그러나 후기 하이데거는 존재 자체를 통해서 현존재를 이해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전기의 인간중심적인 사유를 극복한다. 이렇게 현존재 중심에서 존재 중심으로 전회를 하여 후기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인간적인 범주로 왜곡되지 않은 존재 자체의 진리를 드러내고자 한다. 인간중심적인 신학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하이데거의 전회를 신학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인간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가 먼저 말을 걸어온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하나님께 먼저 말을 거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먼저 우리에게 말을 걸어온다. 우리는 먼저 우리에게 전해지는 하나님의 말을 들음으로써만 자기 자신의 실존을 보다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즉, 초월적인 계시를 먼저 알 때만이 우리는 우리 자신의 본질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신학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이다. 우리는 이런 하나님을 신앙을 통해서만 알 수 있고, 이런 신앙은 성령에 의해서만 가능하기에 결국 초월과 내재는 성령 하나님에 의해 중재되어야 한다. The modern subject-centric thinking has enormously influenced modern theology. For example, Schleiermacher’ s theology of mediation and Tillich’ s theology of correlation are theological results of this subject-centric thinking. They have tried to mediate between Gospel and situation, theology and philosophy, and faith and reason. The mediation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s a key task that theology should do. But, both Schleiermacher’s and Tillich’s failed to do this task. Because they did not reject this subject-centric thinking. To construct a theology that is suitable to the message of Jesus as the Christ, we should overcome a violence of the modern subject that reduces all transcendental meanings into its own immanent categories. The true theology of mediation which correlates transcendence with immanence is impossible, if an infinite autonomy of the modern subject is not limited by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like revelation. We can find a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subject-centric thinking in Heidegger’s philosophical turn into Being itself. While the main interest of the earlier Heidegger is existential analysis of Dasein, the later Heidegger’s is truth of Being itself. Heidegger tries to overcome the modern subject-centricism through his own philosophical turn which emphasizes Being itself. Dasein can apprehend the truth of Being, only if Being discloses its own truth to Dasein. Similarly, we can know the revelation of God, only if God discloses himself to us. According to the Reformed epistemology, we can know God only by faith. But we need a merciful help of God to know God, because our reason has fallen completely because of our sin. God gives us the Holy Spirit to make us know himself. It is impossible to know God with our own reasonable ability. Only through the Holy Spirit, we can know God. Therefore, we should mediate between Gospel and situation with the pneumatological point of view. Since we can know the revelation of God onl

      • KCI등재

        반 후이스틴의 후기 토대주의적 신학 방법론: 토대주의와 반 토대주의를 넘어

        오승성(Seung Sung Oh)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3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사회적인 갈등이 나타나고 있는 우리 한국 사회가 한국의 신학에 가장 긴급하게 요청하는 것이 바로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사회를 조화롭게 통일시킬 대화적 합리성이다. 횡단적인 합리성으로서의 후기 토대주의는 바로 우리 시대에 가장 필요한 대화적 합리성을 장려하기에 보편적인 근대성과 상대적인 탈근대성의 감성을 비판적으로 중재해야만 하는 시대의 과제에 직면한 우리 한국의 기독교 신학이 반드시 적극적으로 수용해만 하는 합리성의 형식이다. 이 논문은 토대주의와 반토대주의를 비판적으로 중재하여 횡단적인 합리성을 구축하려는 웬츨 반 후이스틴(J. Wentzel van Huyssteen)의 후기 토대주의적 신학 방법론을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써 후기 토대주의적인 합리성이 우리 한국의 신학에 뿌리내리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the methodology of theology going beyond modern foundationalism and postmodern antifoundationalism and requiring that the Korean theology should accept the postfoundational methodology of theology through J. Wentzel van Huyssteen’s transversal theology. First of all, this study tries to explain epistemological traits of foundationalism and antifoundationalism concretely and their limitations, and then to introduce the transversal postfoundationalism through the philosophy of Calvin Schrag and Wolfgang Welsch. After this analysis,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ological methodology of van Huyssteen which is based upon the rationality of postfoundationalism, and suggests epistemological requir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Korean theology.

      • KCI등재

        에밀 브루너(Emil Brunner)와 칼 바르트(Karl Barth)의 자연신학 논쟁

        오승성(Seung Sung Oh) 한국기독교학회 201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2 No.-

        According to Karl Barth, God can not be grasped by epistemological categories of human beings, because God is the wholly Other. God is done by the sola gratia. For Barth, natural theology which is possible by the analogia entis is impossible because of the radical corruption of human beings. What we need is the analogia fidei in order to acquire a knowledge of God. However, Emil Brunner`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is different from Barth`s. Brunner admits a fundamental significance of general revelation in his dialectics. It becomes a presupposition of special revelation in the formal aspect of Imago Dei which signifies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ich separate them from other creatures. But, Brunner`s acceptance of general revelation is passive. Like Barth, he also admits only the sola gratia. In Barth`s view, Brunner`s thinking is in danger of falling into natural theology, because the formal image slips into the material. We can hold the Reformed principle of the sola gratia admitting an epistemological effect of general revelation, insofar as revelation is grasped within the Trinitarian point of view. The Trinitarian point of view should be accepted in all spheres of theology.

      • KCI등재

        한스 W. 프라이의 후기정초주의적 (postfoundational) 신학방법론

        오승성 ( Seung Sung Oh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5 No.-

        한스 프라이는 신학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형1은 신학이 보편적인 원리에 기초해야 한다고 보며, 유형 5는 오로지 기독교만의 특유한 종교 경험을 기술해야 한다고 본다. 유형2는 보편적인 원리도 인정하고 기독교의 특유한 종교 경험도 인정하지만 형이상학적인 원리를 상정하여 그 둘을 변증법적으로 지양하고자 한다. 유형 3은 철학과 기독교의 종교 경험 모두를 인정하지만 변증법적으로 지양하지 않고 그 둘을 중재하고 상호 관련시키려고 한다. 유형4는 전자를 후자에 종속시킨다. 프라이는 바르트 연구가이며 또 바르트의 신학을 미국에 폭넓게 확산시켰기 때문에 그의 신학 유형은 바르트 유형의 신학인 유형 4에 속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프라이가 바르트를 수용하면서도 그와 비판적인 거리두기를 시도했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프라이는 슐라이어마허를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바르트와 비판적인 거리두기를 시도했다. 역사적인 슐라이어마허와는 달리 새롭게 이해된 슐라이어마허를 프라이는 가설적인 슐라이어마허라고 부른다. 가설적인 슐라이어마허 이해를 통해 프라이는 기독교 전통 자체를 부정할 수 있을 정도로 철학과 비판적인 대화를 시도하려고 했다. 이렇게 다른 전통과의 비판적인 대화, 의사소통적인 대화를 교차적인(transversal) 방법으로 기독교 전통을 발전시키려고 했기 때문에 프라이의 신학은 후기 정초주의적인 신학방법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Hans Frei classifies theology into five types. Type 1 holds that theology should be based upon comprehensive and universal principles, while type 5 does that theology should describe a peculiar experience of Christian community. Type 2 admits universal and comprehensive principles for example as expressed in philosophy as well as a distinct grammar of Christian community that rules Christian form of life, but tries to sublate both of them through a dialectical method based upon a common transcendental philosophy. Distinct from type 2, type 3 tries to mediate both of them without sublating them into a superior metaphysics. In type 3, the former and the latter make an interrelation without losing their autonomy. Type 4 subordinates the former into the latter. It accepts the former insofar as the former contributes to describing a belief- grammar of Christian community. The theological methodology of Hans Frei seems to belong to type 4, because he introduced Barth`s theology into the American Society, and had a crucial influence on it. But this interpretation of his theology seems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he criticized Barth`s self-contained theology. he tries to amend a historical Schleiermacher through his hypothetical Schleiermacher that actively criticizes the Christian tradition by a communicative dialogue with other traditions. In this point, his theology is postfoundatio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