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문 활용 교육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와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숙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understanding disability using the newspapers on the general children's recognition and attitudes of dis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was to execute experimental treatment as an object of 40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in full in two classes C kindergarten located on Y city. From the result of t-test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newspaper in education(NIE) program understanding disability had higher score in the recognition of disability than the scor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newspaper in education(NIE) program understanding disability had higher score in the attitudes of accepting the disability than the score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as to the disabled's ability, its recognition was chang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disabled could not do anything to the recognition that the disable could do everything positively. This researcher could think of the similarity with the friend with the disability. Third,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newspaper in education(NIE) program understanding disability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bfields of prosocial behavior like 'leadership', 'offering help', 'communication', 'leading consideration', 'trying to approach', 'dividing', and 'empathy and control' than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본 연구는 신문 활용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장애 인식 및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Y시에 소재한 C유치원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처치를 실시하여 t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 활용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장애 인식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문 활용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장애 수용태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문 활용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친사회적행동의 하위영역인‘지도성’,‘도움주기’,‘의사소통’,‘주도적 배려','접근시도하기’,‘나누기’,‘감정이입 및 조절’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기반 갯벌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오숙현 한국도서(섬)학회 2023 韓國島嶼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반 갯벌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관련 문헌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분석, 프로그램 시안 선정, 프로그램 평가 및 최종 프로그램 선정 순으로 진행하였다.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필요성은 유아 발달, 유아 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이슈, 교육적 요구 등을 분석하고, 관련 문헌 분석 및 2019개정 누리과정 분석을 통해 이론적 기반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환경, 경제,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시작은 영유아기가 효과적이라는 발달적 적절성 측면에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아기에 시작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어린이들의 자연스러운 호기심과 학습에 대한 열정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성의 기본 개념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협력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며, 환경, 사회, 경제의 균형 잡힌 이해를 통해 유아가 복합적인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목표와 관련된 2019개정 누리과정 내용을 분석하였다. 2019개정 누리과정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건강과 웰빙, 양질의 교육, 성 평등, 좋은 일자리와 경제성장,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 기후행동, 해양 생태계 보호,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등의 목표가 연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 목표와 연계되는 누리과정 내용을 갯벌체험교육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이 지속가능발전교육 목표라는 명료한 토대 위에서 구성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본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과 누리과정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에 기초하여 수립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학습 모형은 발견하기(Discovering), 함께 배우기(Learning Together), 나누고 표현하기(Sharing and Expressing) 등 3단계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반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2019개정 누리과정 내용 분석을 기초로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총 12가지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반 갯벌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이론과 실천이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된다. 셋째, 유아교육에서 지속가능성 개념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환경 교육의 모델을 제공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숙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 30명이다.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이 증진되어 적절한 발문 및 반응을 하는 경향이 증가되었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예비교사의 교사교육에 있어서 언어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OnExpo HOT&COOL / COOL COMPANY 어뮤즈텍

        오숙현,O, Suk-Hyeon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3 디지털콘텐츠 Vol.12 No.-

        음악을 더 재미있게! 더 편리하게! 종이악보에도 디지털 바람이 불었다. 그리고 그 바람의 선두에는 뮤즈북 스코어(www.musebook.co.kr)가 있다. 뮤즈북 스코어는 최근 개발 된 태블릿 PC를 이용해 수만 장의 악보를 저장해 연주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음악인식기술을 이용한‘음악인식 전자악보’이다. 피아노 악보대에 종이악보 대신 태블릿 PC를 올려놓고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MusicXLM 전자악보들을 마음대로 불러서 사용하는 뮤즈북 스코어는 피아노를 연주 하면 태블릿 PC의 마이크로 소리를 듣고 분석해 자동으로 페이지를 넘겨준다. 사용자의 연주속도 가 빨라지거나 느려지더라도 현재 연주위치를 계 속 추적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연주에만 집중할 수 있다.

      • 2004 eBook OnExpo- “전자책과 함께 이 가을을 보내다”

        오숙현,O, Suk-Hyeon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4 디지털콘텐츠 Vol.11 No.-

        IDC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2004년까지 전자책 콘텐츠 판매량은 연평균 127% 성장이 추정되며, 2004년도에는 출판시장의 10%인 39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 전자출판 시장규모도 1,000억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2003년도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 시장조사 보고서,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 KCI등재후보

        유아 교수-학습 계획안 작성 및 활용 실태 연구

        오숙현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교수-학습 계획안 작성 및 활용에 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유아교사로 하여금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정을 보다 밀도있게 계획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도시와 도시, 농촌의 교사 304명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계획안 작성 및 활용 실태를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연간계획안, 월간계획안, 주간계획안을 작성하고 활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일일 교수-학습 계획안의 작성 및 활용 비율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계획안이 실제 수업에 잘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시간과 자료의 부족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수준별 교육계획안 작성 및 일관성 있는 계획안 작성에 있어서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measure to establish and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eaching-learning plan, which is a framework for the class, by investigating about current address of documenting and using teaching-learning plans on the si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304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cities and in farming villages about current conditions of documenting and using teaching-learning plans through a survey. High proportion of teachers documented and used annual, monthly . and weekly plans and low proportion of teachers used daily teaching-learning plans. High proportion of teachers used teaching-learning plans. However, in many cases, teachers had wrong perception about teaching-learning plans focusing on group and activity as teacher-oriented teaching-learning and did not utilize teaching-learning plans. Many teachers responded that lack of time and information were the reasons why teaching-learning plans are not used in actual classes. And it was proven that teachers faced difficulties in documenting educational plans for each grade level and in writing up coherent plans.

      • 소집단 텃밭가꾸기 활동이 통합학급 발달지체유아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효과

        오숙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소집단 텃밭 가꾸기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Y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의 발달지체유아 3명이다.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텃밭 가꾸기 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표현언어를 증가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집단 텃밭 가꾸기 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반응적 표현언어를 증가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집단 텃밭 가꾸기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표현언어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s’ vegetable gardening on language 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 in integrated classes. The research subject is the three four-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 who go to Y Day Care Center located in G, Jeonnam.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design was used for test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small groups’ vegetable gardening had the positive effect on increase of spontaneous language 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 Second, small groups’ vegetable gardening had the positive effect on increase of reactive language 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small groups’ vegetable gardening can be the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y to increase language 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오숙현,조홍중,방그레 한국재활심리학회 2008 재활심리연구 Vol.15 No.2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48 special teachers in Gwangju and Jollanam‐do in order to survey their perception on the role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perception on the role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as generally higher in female teachers than in male ones, but male teachers recognized higher the importance of assistants’ role in ‘assistance with class teaching.’ By age, the perception was highest in teachers aged between 40~49, and teachers aged less than 30 recognized high the importance of assistants in ‘assistance with office works.’ By teaching experience, the perception was highest in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and by school type, it was highest i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nd particularly high in the importance of assistants’ roles in ‘assistance with class teaching’ and ‘assistance with office work.’ By class type, the perception was highest in teachers of preschooler class, but the importance of ‘assistance with class teaching’ was recognized most highly by teachers of middle school class and the importance of ‘assistance with office work’ by teachers of preschooler class.

      • OnExpo HOT&COOL / HOT COMPANY 소리아이

        오숙현,O, Suk-Hyeon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3 디지털콘텐츠 Vol.11 No.-

        리아이는 차세대 모바일 컴퓨팅 시대를 이끌어갈 PDA폰 및 스마트폰용 모바일 게임을 개발,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 전문 업체로 유무선 연동 기술을 기반으로 유선 인터넷 사용자와 무선 인터넷 사용자간 네트워크 게임이 가능한 유무선 연동 게임포탈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미 2002년 엔씨소프트와 인공지능(AI) 기법의 바둑 및 장기 프로그램의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가 있으며,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Nexio PDA에 보드게임들을 출시해 사용자들로부터 큰 호평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